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2) 윤리적 갈등상황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2) 윤리적 갈등상황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러한 상황을 마주하더라도 사회복지사도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Ⅲ. 결론
본론에서는 사회복지학과 철학 윤리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복지사에게 윤리와 철학이 왜 중요한지, 어떠한 질문이 있는지, 또 윤리강령은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로써 필자가 겪은 윤리적 갈등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사회복지사와 기관과의 관계에서 민간위탁의 문제점으로 첫째, 노조 설립이 어려운 것과 둘째, 직장 내 괴롭힘조차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 및 비민주적인 조직문화에 대해 서술하였다. 사회복지사처럼 윤리 앞에 떳떳해야 하는 사람들이 모인 집단인 사회복지 기관에서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게 비참하지만, 우리는 정면으로 마주해야 하며 그를 통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윤리적 갈등에 대한 글을 쓰려 할 때 많은 고민을 했다. 개인적으로 겪은 일화와 그를 통해 변화된 것을 적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긴 했지만, 사회복지계가 윤리적으로 갖고 있는 문제를 외면하고 싶지는 않았다.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거나 접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보고 겪었을 상황이다. 이제는 어느 정도 일반화되어버린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 사람이라도 현실을 직시하고 움직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민주주의와 사회정의를 지키는 전문가지만, 우리가 만나는 대상이 권력이 있는 사회적 강자가 아니고, 사회적 약자의 편에서 활동하기 때문에서인지 우리 스스로를 보호하고 옹호하기 위한 활동을 더욱 해야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는 본인이 하는 일에 사명감과 소명의식을 가지고 일하고 있을 정도로, 사회복지사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우리는 이 자부심이 우리가 만나는 클라이언트에게서 받는 긍정적인 힘으로부터 온다고 생각한다. 이를 지키기 위해, 또 사회복지사로서 우리 자신을 지키기 위해, 투표와 건의 등 작은 움직임을 오늘부터 시행해보려 한다. 변화된 내일을 꿈꾸며 글을 맺는다.
Ⅳ. 참고문헌
1. 도서
1)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혜민북스(2013)
2. 사이트
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http://www.welfare.net/site/ViewMoralCode.action
2) 사회복지사는 왜 노조하기 어려울까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239
매일노동뉴스, 2020.06.29
Ⅲ. 결론
본론에서는 사회복지학과 철학 윤리학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복지사에게 윤리와 철학이 왜 중요한지, 어떠한 질문이 있는지, 또 윤리강령은 어떠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사회복지사로써 필자가 겪은 윤리적 갈등 상황에 대해 이야기했다. 사회복지사와 기관과의 관계에서 민간위탁의 문제점으로 첫째, 노조 설립이 어려운 것과 둘째, 직장 내 괴롭힘조차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 및 비민주적인 조직문화에 대해 서술하였다. 사회복지사처럼 윤리 앞에 떳떳해야 하는 사람들이 모인 집단인 사회복지 기관에서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게 비참하지만, 우리는 정면으로 마주해야 하며 그를 통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윤리적 갈등에 대한 글을 쓰려 할 때 많은 고민을 했다. 개인적으로 겪은 일화와 그를 통해 변화된 것을 적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긴 했지만, 사회복지계가 윤리적으로 갖고 있는 문제를 외면하고 싶지는 않았다.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거나 접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보고 겪었을 상황이다. 이제는 어느 정도 일반화되어버린 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한 사람이라도 현실을 직시하고 움직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민주주의와 사회정의를 지키는 전문가지만, 우리가 만나는 대상이 권력이 있는 사회적 강자가 아니고, 사회적 약자의 편에서 활동하기 때문에서인지 우리 스스로를 보호하고 옹호하기 위한 활동을 더욱 해야 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는 본인이 하는 일에 사명감과 소명의식을 가지고 일하고 있을 정도로, 사회복지사에 대한 자부심이 있다. 우리는 이 자부심이 우리가 만나는 클라이언트에게서 받는 긍정적인 힘으로부터 온다고 생각한다. 이를 지키기 위해, 또 사회복지사로서 우리 자신을 지키기 위해, 투표와 건의 등 작은 움직임을 오늘부터 시행해보려 한다. 변화된 내일을 꿈꾸며 글을 맺는다.
Ⅳ. 참고문헌
1. 도서
1)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혜민북스(2013)
2. 사이트
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http://www.welfare.net/site/ViewMoralCode.action
2) 사회복지사는 왜 노조하기 어려울까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5239
매일노동뉴스, 2020.06.29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의 전문적 가치는 내가 추구하는 가치와 일치하는지 설명하시고 개인의 가치와 사회...
(가족상담및치료 공통) 가족상담 및 치료 과정에서의 직업윤리를 설명하고, 직업윤리에 위배...
윤리적 결정모델에 의거하여 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는 과정 그 상황이 자신의 개인적 가치...
사회복지실천론_사회복지실천에서 본인의 개인적 가치와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사회복지기...
[윤리적 결정모델에 의거하여 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는 과정 그 상황이 자신의 개인적 가...
사회복지윤리와철학 ) 자신의 가치 지향과 경험했던 윤리적 갈등 상황 및 해결 과정에 대해 ...
사회복지실천에서 본인의 개인적 가치와 사회복지의 가치와 윤리, 사회복지기관의 가치, 한국...
세상읽기와논술 기말] 1.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 각각에 속하는 하위 오류들의 명칭과 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