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들어가며
1. <1장 난롯가, 그리고 살라맨더>
2. <2장 체, 그리고 모래>
3. <3장 타오르는 불꽃>
1. <1장 난롯가, 그리고 살라맨더>
2. <2장 체, 그리고 모래>
3. <3장 타오르는 불꽃>
본문내용
거지. 체면치레가 된단 말씀이야. 오 하느님, 저길 좀 봐요!”(200-201)
몬태그를 찾을 수가 없었던 당국은 밤에 길을 걷던 사람을 임의대로 몬태그로 지명하고 공격을 가하는 모습을 텔레비전에 보여주며, 몬태그가 공격으로 사망했다고 발표한다. 작가는 이 모습을 통해, 몬태그에 대한 거짓 추격 방송이 단순히 일어나지 않은 미디어쇼로 일축한다.
몬태그는 Book people과 이들의 지도자인 그레인저(Granger)를 따라 다른 도시를 찾아 가는데, 이를 통해 작가가 작품 전체를 통해 말하는‘다시 시작하는 것’은 지식을 되살리는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다시 시작하는 이미지는 몬태그가 종종 피닉스에 비유되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몬태그는 피닉스가 스스로 자신을 불태운 재에서 새로운 탄생을 거듭하듯이 새로운 문명을 탄생시키고 지식을 수호하는 인물임이 암시된다.
Book People의 대표인 그레인저는 책을 읽고 지식을 공유하는 사람이다. 그는 강의 반대편 숲 속에서 모든 것이 부족하나 삶에 만족하며 산다. 비티 서장이 책을 통해 지식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책과 함께 보내면서도, 자신이 가진 지식을 통해 지식이 없는 사람들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반면, 그레인저는 지식의 복구를 위해 애쓰고, 나중에 몬태그를 Book People에 합류하도록 돕는다. 그레인저를 비롯한 Book People도 역시 책을 태우는데, 책을 읽고 암기를 하면 태워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Book People은 책이 발각되는 것을 원치 않고, 이동이 잦은 생활 때문에 방화수가 하듯이 책을 태워버리고, 대신 각자가 맡아 외우고 있는 책이 있다. 몬태그는 성경의 전도서를 외우고 있는데, 머릿속에 남아 있는 책의 내용은 지식이라는 것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과, 성경을 외우고 있는 몬태그가 앞으로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임을 암시한다.
<<화씨 451>>는 지식의 제한, 정보의 일방적 주입이라는 현대의 정보 사회의 결과를 담고 있다. 주인공의 아내 밀드레드는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철저히 결박당한 채 수동적이고 피상적으로 살아가고 비티서장 역시 지식과 정보의 확산과 공유를 차단하는 데 앞장선다. 주인공 몬태그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려진다. 그는 지식이 통제된 도시를 탈출하여 Book People 사이에서 성경의 전도서 자체가 된다.
현대의 정보 사회는 책의 소유에 대한 자유는 물론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가 넘쳐나고 개인의 지식수준도 정보 사회 이전의 사회보다 더 향상되었을 거라고 믿는다. 하지만 오히려 많은 양의 정보 속에서 텔레비전과 사회가 주입한 정보에 따르며 비판의식 없이 살아간다. 또한,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훑어 읽고, 간추리는 능력을 발달시키게 되었다. 작가 레이 브래드베리는 <<화씨 451>>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하며, 능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여 개별적으로 지식화하기 어려운 현대인의 모습을 보여주며, 현대의 테크노폴리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우리의 모습을 성찰하게 만든다.
몬태그를 찾을 수가 없었던 당국은 밤에 길을 걷던 사람을 임의대로 몬태그로 지명하고 공격을 가하는 모습을 텔레비전에 보여주며, 몬태그가 공격으로 사망했다고 발표한다. 작가는 이 모습을 통해, 몬태그에 대한 거짓 추격 방송이 단순히 일어나지 않은 미디어쇼로 일축한다.
몬태그는 Book people과 이들의 지도자인 그레인저(Granger)를 따라 다른 도시를 찾아 가는데, 이를 통해 작가가 작품 전체를 통해 말하는‘다시 시작하는 것’은 지식을 되살리는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다시 시작하는 이미지는 몬태그가 종종 피닉스에 비유되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몬태그는 피닉스가 스스로 자신을 불태운 재에서 새로운 탄생을 거듭하듯이 새로운 문명을 탄생시키고 지식을 수호하는 인물임이 암시된다.
Book People의 대표인 그레인저는 책을 읽고 지식을 공유하는 사람이다. 그는 강의 반대편 숲 속에서 모든 것이 부족하나 삶에 만족하며 산다. 비티 서장이 책을 통해 지식을 갖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간을 책과 함께 보내면서도, 자신이 가진 지식을 통해 지식이 없는 사람들을 지배하고 통제하는 반면, 그레인저는 지식의 복구를 위해 애쓰고, 나중에 몬태그를 Book People에 합류하도록 돕는다. 그레인저를 비롯한 Book People도 역시 책을 태우는데, 책을 읽고 암기를 하면 태워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Book People은 책이 발각되는 것을 원치 않고, 이동이 잦은 생활 때문에 방화수가 하듯이 책을 태워버리고, 대신 각자가 맡아 외우고 있는 책이 있다. 몬태그는 성경의 전도서를 외우고 있는데, 머릿속에 남아 있는 책의 내용은 지식이라는 것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과, 성경을 외우고 있는 몬태그가 앞으로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임을 암시한다.
<<화씨 451>>는 지식의 제한, 정보의 일방적 주입이라는 현대의 정보 사회의 결과를 담고 있다. 주인공의 아내 밀드레드는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철저히 결박당한 채 수동적이고 피상적으로 살아가고 비티서장 역시 지식과 정보의 확산과 공유를 차단하는 데 앞장선다. 주인공 몬태그는 이와는 대조적으로 그려진다. 그는 지식이 통제된 도시를 탈출하여 Book People 사이에서 성경의 전도서 자체가 된다.
현대의 정보 사회는 책의 소유에 대한 자유는 물론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가 넘쳐나고 개인의 지식수준도 정보 사회 이전의 사회보다 더 향상되었을 거라고 믿는다. 하지만 오히려 많은 양의 정보 속에서 텔레비전과 사회가 주입한 정보에 따르며 비판의식 없이 살아간다. 또한, 많은 양의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훑어 읽고, 간추리는 능력을 발달시키게 되었다. 작가 레이 브래드베리는 <<화씨 451>>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조차 알지 못하며, 능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여 개별적으로 지식화하기 어려운 현대인의 모습을 보여주며, 현대의 테크노폴리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우리의 모습을 성찰하게 만든다.
추천자료
김훈의 남한산성 을 읽은 감상문(보고서)
[독후감, 독서록, 독서감상문] 청소부 밥을 읽고
생텍쥐 페리의 '인간의 대지'에 대한 독후감(A+서평)
중 고등학생의 독후감, 독서결과물에 대한 지도방법 및 독서교육 증진방안[A+ 평가 레포트★★★★★]
<언어의 비밀>을 읽고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
[독후감] 청소부 밥(The Janitor) _ 토드 홉킨스(Todd Hopkins) & 레이 힐버트(Ray Hilbe...
[독후감] 헬레네 노르베리의 오래된 미래”를 읽고
화씨 451 독후감
midnight sun 미드나잇 선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