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 시네마 리포트(수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들뢰즈 시네마 리포트(수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미지와 시간
3. 기억과 잠재성의 개념
4. 결론

본문내용

는 순수한 지각을 현시한다. 이는 일반적 시간 진행이 아니라 뒤죽박죽 섞여 있는 시간으로 이미지화 된다. 시간의 빗장이 풀려버린 것이다. 이러한 비선형적 시간개념은 일탈적인 운동을 예고한다.
4. 결론
들뢰즈의 이미지론은 자연화되고 익숙한 이미지의 허구성을 폭로하는 것에 있다. 운동-이미지는 이미지를 동적인 것으로 파악하여 주체의 정체성으로 포착하지 못한 비인격적 운동의 역동성과 지속을 보여준다면 시간-이미지는 현재 세계의 절대적 바깥인 잠재성의 영역을 가정하는 시간에 대한 직접적 사유를 드러낸다. 두 이미지 개념은 영화라는 몸을 얻음으로써 인식론적 차원으로부터 정치적 차원으로 나아간다. 이 개념들을 통해 들뢰즈는 사실주의적 흐름의 영화들에 나타나는 특수한 의미화 과정의 기만성을 비판한다. 특히 파시즘의 광기가 휩쓴 전후 삶의 무력감과 상처는 영화적 상황에도 반영이 된다. 요컨대 운동-이미지가 “사유의 권능, 사유의 권력에 절대적으로 의지하고” 있다면, 시간-이미지는 “사유의 무력함, 사유 속의 사유불가능성을 드러내”는 것이다(김지영, 153). 영화의 기본 조건으로서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가 새로운 사유와 삶의 근원적 원리가 되는 이유다.
인용문헌
김지영, 「이미지의 잠재성: 들뢰즈의 『시네마2:시간-이미지』를 중심으로」. 『비평과 이론』. 13.1, 2008: 129-158.
앙리 베르그손, 『물질과 기억』 박종원 옮김, 아카넷, 2005.
질 들뢰즈, 『시네마1:운동-이미지』 유진상 옮김, 시각과 언어, 2002.
질 들뢰즈, 『시네마2:시간-이미지』 이정하 옮김, 시각과 언어, 2005.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10.18
  • 저작시기202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7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