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학교(3)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부학교(3)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왜 사과해야 할까?

2. 사과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3. 사과의 언어 5가지
1) 유감표명 “미안해요”
2) 책임인정 “내가 잘못했어요.”
3) 보상 “어떻게 해드리면 좋을까요?”
4) 진실한 뉘우침 “다시는 그러지 않을게요.”
5) 용서요청 “나를 용서해 주시겠어요?”

본문내용

어진 패턴이예요. 나는 변하고 싶지만 힘들다는 걸 알아요. 내가 도중에 실패해서 당신에게 다시 상처를 줄 수도 있어요. 나의 변화 노력을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도록 도와주고 격려해준다면 정말 고맙겠어요.”
Q. “뉘우침의 길은 변화를 실행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배우자를 위해 당신의 삶의 영역들 중에서 변화를 위해 계획을 필요로 하는 것들은 무엇인가?
“뉘우침은 빠를수록 좋다.
왜냐하면 너무 늦어버릴 때가
얼마나 빨리 닥칠지 모르기 때문이다.”
<토마스 풀러>
5) 용서요청 “나를 용서해 주시겠어요?”
용서 요청은 왜 그토록 중요할까?
첫째, 용서 요청이 어떤 이들에게는 관계 회복을 원한다는 마음의 표현으로 이해된다.
마음에 상처를 주는 일이 일어나면, 두 사람 간에 곧바로 감정적인 벽이 생긴다. 그 벽이 제거되기 전까지는 관계가 개선되지 않는다. 사과는 그 벽을 제거하기 위한 시도이다.
상대방의 주요 사과의 언어가 용서 요청이라면, 그것이 바로 그 벽을 제거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그 사람에게는 그것이 관계 회복을 진심으로 원함을 보여주는 증거다.
둘째, 그것이 당신이 잘못을 깨달았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것은 당신이 고의적으로든 비고의적으로든 상대방에게 상처를 입혔음을 나타낸다. 용서를 구한다는 것은 죄를 인정한다는 뜻이다.
셋째, 용서를 구한다는 것은 앞으로의 관계를 기꺼이 피해자의 손에 맡김을 나타낸다. 용서는 배우자의 선택에 달린 것이다. 앞으로의 관계도 그 결정에 달려 있다.
용서를 구하기 힘든 이들이 있다. 지배적인 성격이 강한 이들에게는 용서 요청이 특히 힘든 일이다. 이들은 어떤 상황을 주관하지 못할 때 매우 불안해한다.
거절을 두려워하는 이들에게도 용서 요청은 힘든 일이다. 하지만 관계를 소중히 여긴다면 기꺼이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억제하며 관계를 치유하기 위한 노력을 할 것이다.
*용서를 구하는 말
“당신에게 그렇게 말해서 미안해요. 험하게 소리를 지르고 말았군요. 당신은 그런 말을 들을 필요가 없었어요. 순전히 내 잘못이에요. 나를 용서해 달라고 요청하고 싶어요.”
“내가 한 일이 당신에게 깊은 상처를 주었어요. 다시는 나와 얘기하고 싶지 않겠지만, 나는 진심으로 사과합니다. 나를 용서해주시기 바랍니다.”
“상처를 입힐 의도는 없었지만 그러고 말았군요. 이제야 그 점을 깨달았어요. 비록 내가 장난으로 한 행동이지만 그건 잘못된 게 분명해요. 감정을 상하게 한 행동을 즐거워할 순 없으니깐요. 다시는 그러지 않도록 노력할게요. 부디 나를 용서해주세요.”
Q. 5가지 사과의 언어들 중에서 어느 것이 당신의 주요 사과의 언어라고 생각하십니까?
나의 배우자가 나의 사과를 가장 진실 되게 받아들이는 사과의 언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5가지 사과의 언어
내가 사용하는 사과의 언어
배우자가 원하는 사과의 언어
유감표명
“미안해요”
책임인정
“내가 잘못했어요.”
보상
“어떻게 해드리면 좋을까요.”
진실한 뉘우침
“다시는 그러지 않을께요.”
용서요청
“나를 용서해주시겠어요?”

키워드

부부,   기독교,   교회,   가정,   믿음,   동반자,   학교,   자녀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11.01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88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