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본문내용
호사다마
좋은 일에는 방해(妨害)가 되는 일이 많음
虎死留皮
虎 범 호 死 죽을 사
留 머무를 유(류)皮 가죽 피
호사유피
「범이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사람도 죽은 뒤에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
虎視眈眈
虎 범 호 視 볼 시
眈 노려볼 탐眈 노려볼 탐
호시탐탐
「범이 먹이를 노린다」는 뜻으로,
①「기회(機會)를 노리며 형세(形勢)를 살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②날카로운 눈으로 가만히 기회(機會)를 노려보고 있는 모양(模樣)
浩然之氣
浩 넓을 호, 술 거를 고 然 그럴 연/불탈 연
之 갈지 氣 기운 기, 보낼 희
호연지기
①도의(道義)에 근거(根據)를 두고 굽히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바르고 큰 마음
②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정기(精氣)
③공명정대(公明正大)하여 조금도 부끄럼 없는 용기(勇氣)
④잡다(雜多)한 일에서 벗어난 자유(自由)로운 마음
胡蝶之夢
胡 되 호/오랑캐 이름 호/수염 호
蝶 나비 접 之 갈 지夢 꿈 몽
호접지몽
사물과 자신이 한 몸이 된 경지. 莊周之夢(장주지몽)
①자아(自我)와 외계(外界)와의 구별(區別)을 잊어버린 경지(境地)를 말함
②사물(事物)과 자신(自身)이 한 몸이 된 경지(境地)
呼兄呼弟
呼 부를 호 兄 형 형, 두려워할 황
呼 부를 호 弟 아우 제, 기울어질 퇴
호형호제
서로 형, 아우라부를 정도로 가까운 친구 사이
惑世誣民
惑 미혹할 혹 世 인간 세/대 세
誣 속일 무 民 백성 민
혹세무민
세상(世上)을 어지럽히고 백성(百姓)을 속이는 것
魂飛魄散
魂 넋 혼 飛 날 비
魄 넋 백, 재강 박, 영락할 탁散 흩을 산
혼비백산
넋이 날아가고 넋이 흩어지다라는 뜻으로,몹시 놀라 어찌할 바를 모름
渾然一致
渾 흐릴 혼/뒤섞일 혼 然 그럴 연/불탈 연
一 한 일致 이를 치/빽빽할 치
혼연일치
차별(差別) 없이 서로 합치함
昏定晨省
昏 어두울 혼, 힘쓸 민 定 정할 정/이마 정
晨 새벽 신省 살필 성, 덜 생
혼정신성
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아침에는 문안(問安)을 드린다는 뜻으로,자식(子息)이 아침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안부(安否)를 물어서 살핌을 이르는 말
忽顯忽沒
忽 갑자기 홀 顯 나타날 현
忽 갑자기 홀 沒 빠질 몰
홀현홀몰
문득 나타났다가 홀연히 없어짐
紅爐點雪
洪 넓을 홍 爐 화로 로(노)
點 점 점, 시들 다 雪 눈 설
홍로점설
①뜨거운 불길 위에 한 점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듯이 사욕(邪慾)이나 의혹(疑惑)이 일시(一時)에 꺼져 없어지고 마음이 탁 트여 맑음을 일컫는 말
②크나큰 일에 작은 힘이 조금도 보람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
畵龍點睛
畵 그림 화 龍 용 룡(용)
點 점 점, 시들 다睛 눈동자 정
화룡점정
용을 그려 놓고 마지막으로 눈을 그려 넣음. 즉 가장 긴요한 부분을 완성함
蛇添足
그림 화, 蛇 긴 뱀 사, 구불구불 갈 이
添 더할 첨足 발 족, 지나칠 주
화사첨족
뱀을 그리고 발을 더한다는 뜻으로,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하거나 필요(必要) 이상(以上)으로 쓸데 없는 일을 하여 도리어 실패(失敗)함
花容月態
花 꽃 화 容 얼굴 용
月 달 월 態 모습 태
화용월태
「꽃다운 얼굴과 달 같은 자태(姿態)」라는 뜻으로,아름다운 여자(女子)의 고운 자태(姿態)를 이르는 말
畵中之餠
그림 화, 그을 획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餠 떡 병
화중지병
그림 속의 떡이란 뜻으로,
①바라만 보았지 소용(所用)이 닿지 않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한 말
②보기만 했지 실제(實際)로 얻을 수 없음
③실속(實-)없는 말에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換骨奪胎
換 바꿀 환 骨 뼈 골
奪 빼앗을 탈胎 아이 밸 태
환골탈태
환골은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본떠서 어구를 만드는 것,탈태는 고시(古詩)의 뜻을 본떠서 원시(原詩)와 다소(多小) 뜻을 다르게 짓는 것을 말하며,
①옛 사람이나 타인(他人)의 글에서 그 형식(形式)이나 내용(內容)을 모방(模倣)하여 자기(自己)의 작품(作品)으로 꾸미는 일
②용모(容貌)가 환하고 아름다워 딴 사람처럼 됨
換腐作新
換 바꿀 환 腐 썩을 부
作 지을 작, 저주 저, 만들 주 新 새 신
환부작신
낡은 것을 바꾸어 새 것으로 만듦
歡呼雀躍
歡 기쁠 환 呼 부를 호
雀 참새 작 躍 뛸 약, 빨리 달릴 적
환호작약
기뻐서 소리치며 날뜀
黃口小兒
黃 누를 황 口 입 구
小 작을 소 兒 아이 아, 다시 난 이 예
황구소아
어린아이라는 뜻.참새 새끼의 황색주둥이에서 연유
荒唐無稽
荒 거칠 황, 唐 당나라 당/당황할 당
無 없을 무 稽 상고할 계
황당무계
'허황(虛荒)되고 근거(根據)가 없다'라는 뜻으로,말이나 행동(行動)이 터무니 없고 근거(根據)가 없음
膾炙人口
膾 회 회 炙 구울 자, 구울 적
人 사람 인 口 입 구
회자인구
회(膾)는 날고기, 자(炙)는 구운 고기이니,맛있는 음식(飮食)처럼 시문(詩文) 등(等)이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르내리고 찬양(讚揚)을 받는 것
會者定離
會 모일 회 者 놈 자
定 정할 정 離 떠날 리(이)
회자정리
「만나면 언젠가는 헤어지게 되어 있다」는 뜻으로,인생(人生)의 무상(無常)함을 인간(人間)의 힘으로는 어찌 할 수 없는 이별(離別)의 아쉬움을 일컫는 말
橫說竪說
橫 가로 횡, 빛 광 說 말씀 설
竪 세울 수 說 말씀 설
횡설수설
말을 이렇게 했다가 저렇게 했다가 하다,두서가 없이 아무렇게나 떠드는 것
嚆矢
엄할 학, 큰소리로 외칠 효矢 화살 시
효시
1) 우는살.
2) 사물이 시작되어 나온 맨 시초. 옛날 전쟁에서 우는살을 먼저 쏘아 보낸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는 “嚆”로도 쓴다.
後生可畏
後 뒤 후/임금 후 生 날 생
可 옳을 가, 畏 두려워할 외
후생가외
젊은 후학(後學)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후진(後進)들이 선배(先輩)들보다 젊고 기력(氣力)이 좋아, 학문(學問)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人物)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興盡悲來
興 일 흥, 피 바를 흔 盡 다할 진
悲 슬플 비來 올 래(내)
흥진비래
즐거운 일이 지나가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①세상일(世上-)이 순환(循環)됨을 가리키는 말
②세상(世上)의 온갖 일에 너무 자만(自慢)하거나 낙담(落膽)하지 말라는 뜻
③흥망(興亡)과 성쇠(盛衰)가 엇바뀜을 일컫는 말
좋은 일에는 방해(妨害)가 되는 일이 많음
虎死留皮
虎 범 호 死 죽을 사
留 머무를 유(류)皮 가죽 피
호사유피
「범이 죽으면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사람도 죽은 뒤에 이름을 남겨야 한다는 말
虎視眈眈
虎 범 호 視 볼 시
眈 노려볼 탐眈 노려볼 탐
호시탐탐
「범이 먹이를 노린다」는 뜻으로,
①「기회(機會)를 노리며 형세(形勢)를 살핌」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②날카로운 눈으로 가만히 기회(機會)를 노려보고 있는 모양(模樣)
浩然之氣
浩 넓을 호, 술 거를 고 然 그럴 연/불탈 연
之 갈지 氣 기운 기, 보낼 희
호연지기
①도의(道義)에 근거(根據)를 두고 굽히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바르고 큰 마음
②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정기(精氣)
③공명정대(公明正大)하여 조금도 부끄럼 없는 용기(勇氣)
④잡다(雜多)한 일에서 벗어난 자유(自由)로운 마음
胡蝶之夢
胡 되 호/오랑캐 이름 호/수염 호
蝶 나비 접 之 갈 지夢 꿈 몽
호접지몽
사물과 자신이 한 몸이 된 경지. 莊周之夢(장주지몽)
①자아(自我)와 외계(外界)와의 구별(區別)을 잊어버린 경지(境地)를 말함
②사물(事物)과 자신(自身)이 한 몸이 된 경지(境地)
呼兄呼弟
呼 부를 호 兄 형 형, 두려워할 황
呼 부를 호 弟 아우 제, 기울어질 퇴
호형호제
서로 형, 아우라부를 정도로 가까운 친구 사이
惑世誣民
惑 미혹할 혹 世 인간 세/대 세
誣 속일 무 民 백성 민
혹세무민
세상(世上)을 어지럽히고 백성(百姓)을 속이는 것
魂飛魄散
魂 넋 혼 飛 날 비
魄 넋 백, 재강 박, 영락할 탁散 흩을 산
혼비백산
넋이 날아가고 넋이 흩어지다라는 뜻으로,몹시 놀라 어찌할 바를 모름
渾然一致
渾 흐릴 혼/뒤섞일 혼 然 그럴 연/불탈 연
一 한 일致 이를 치/빽빽할 치
혼연일치
차별(差別) 없이 서로 합치함
昏定晨省
昏 어두울 혼, 힘쓸 민 定 정할 정/이마 정
晨 새벽 신省 살필 성, 덜 생
혼정신성
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아침에는 문안(問安)을 드린다는 뜻으로,자식(子息)이 아침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안부(安否)를 물어서 살핌을 이르는 말
忽顯忽沒
忽 갑자기 홀 顯 나타날 현
忽 갑자기 홀 沒 빠질 몰
홀현홀몰
문득 나타났다가 홀연히 없어짐
紅爐點雪
洪 넓을 홍 爐 화로 로(노)
點 점 점, 시들 다 雪 눈 설
홍로점설
①뜨거운 불길 위에 한 점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듯이 사욕(邪慾)이나 의혹(疑惑)이 일시(一時)에 꺼져 없어지고 마음이 탁 트여 맑음을 일컫는 말
②크나큰 일에 작은 힘이 조금도 보람이 없음을 가리키는 말
畵龍點睛
畵 그림 화 龍 용 룡(용)
點 점 점, 시들 다睛 눈동자 정
화룡점정
용을 그려 놓고 마지막으로 눈을 그려 넣음. 즉 가장 긴요한 부분을 완성함
蛇添足
그림 화, 蛇 긴 뱀 사, 구불구불 갈 이
添 더할 첨足 발 족, 지나칠 주
화사첨족
뱀을 그리고 발을 더한다는 뜻으로,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하거나 필요(必要) 이상(以上)으로 쓸데 없는 일을 하여 도리어 실패(失敗)함
花容月態
花 꽃 화 容 얼굴 용
月 달 월 態 모습 태
화용월태
「꽃다운 얼굴과 달 같은 자태(姿態)」라는 뜻으로,아름다운 여자(女子)의 고운 자태(姿態)를 이르는 말
畵中之餠
그림 화, 그을 획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餠 떡 병
화중지병
그림 속의 떡이란 뜻으로,
①바라만 보았지 소용(所用)이 닿지 않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한 말
②보기만 했지 실제(實際)로 얻을 수 없음
③실속(實-)없는 말에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
換骨奪胎
換 바꿀 환 骨 뼈 골
奪 빼앗을 탈胎 아이 밸 태
환골탈태
환골은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본떠서 어구를 만드는 것,탈태는 고시(古詩)의 뜻을 본떠서 원시(原詩)와 다소(多小) 뜻을 다르게 짓는 것을 말하며,
①옛 사람이나 타인(他人)의 글에서 그 형식(形式)이나 내용(內容)을 모방(模倣)하여 자기(自己)의 작품(作品)으로 꾸미는 일
②용모(容貌)가 환하고 아름다워 딴 사람처럼 됨
換腐作新
換 바꿀 환 腐 썩을 부
作 지을 작, 저주 저, 만들 주 新 새 신
환부작신
낡은 것을 바꾸어 새 것으로 만듦
歡呼雀躍
歡 기쁠 환 呼 부를 호
雀 참새 작 躍 뛸 약, 빨리 달릴 적
환호작약
기뻐서 소리치며 날뜀
黃口小兒
黃 누를 황 口 입 구
小 작을 소 兒 아이 아, 다시 난 이 예
황구소아
어린아이라는 뜻.참새 새끼의 황색주둥이에서 연유
荒唐無稽
荒 거칠 황, 唐 당나라 당/당황할 당
無 없을 무 稽 상고할 계
황당무계
'허황(虛荒)되고 근거(根據)가 없다'라는 뜻으로,말이나 행동(行動)이 터무니 없고 근거(根據)가 없음
膾炙人口
膾 회 회 炙 구울 자, 구울 적
人 사람 인 口 입 구
회자인구
회(膾)는 날고기, 자(炙)는 구운 고기이니,맛있는 음식(飮食)처럼 시문(詩文) 등(等)이 사람들의 입에 많이 오르내리고 찬양(讚揚)을 받는 것
會者定離
會 모일 회 者 놈 자
定 정할 정 離 떠날 리(이)
회자정리
「만나면 언젠가는 헤어지게 되어 있다」는 뜻으로,인생(人生)의 무상(無常)함을 인간(人間)의 힘으로는 어찌 할 수 없는 이별(離別)의 아쉬움을 일컫는 말
橫說竪說
橫 가로 횡, 빛 광 說 말씀 설
竪 세울 수 說 말씀 설
횡설수설
말을 이렇게 했다가 저렇게 했다가 하다,두서가 없이 아무렇게나 떠드는 것
嚆矢
엄할 학, 큰소리로 외칠 효矢 화살 시
효시
1) 우는살.
2) 사물이 시작되어 나온 맨 시초. 옛날 전쟁에서 우는살을 먼저 쏘아 보낸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는 “嚆”로도 쓴다.
後生可畏
後 뒤 후/임금 후 生 날 생
可 옳을 가, 畏 두려워할 외
후생가외
젊은 후학(後學)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후진(後進)들이 선배(先輩)들보다 젊고 기력(氣力)이 좋아, 학문(學問)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人物)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興盡悲來
興 일 흥, 피 바를 흔 盡 다할 진
悲 슬플 비來 올 래(내)
흥진비래
즐거운 일이 지나가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①세상일(世上-)이 순환(循環)됨을 가리키는 말
②세상(世上)의 온갖 일에 너무 자만(自慢)하거나 낙담(落膽)하지 말라는 뜻
③흥망(興亡)과 성쇠(盛衰)가 엇바뀜을 일컫는 말
추천자료
CJ 햇반 마케팅 성공사례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특징,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ㄱ~ㄷ), 고사성어(사...
한자성어(사자성어, 고사성어)사례(ㄱ~ㄴ), 한자성어(사자성어, 고사성어)사례(ㄷ~ㄹ), 한자...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 사례(ㄱ~ㄴ, ㄷ~ㄹ), 사자성어(고사성어, 한자성어) 사례(ㅁ~...
[한글 아][고사성어][한자성어][한자숙어][사자성어][격언][명언][사훈][속담]한글 아 고사성...
[교훈 사례][교훈][지혜][정직][인성][활력][충][한자성어]교훈 사례1(지혜), 교훈 사례2(정...
[한글][차][한글 차 고사성어][한글 차 한자성어][한글 차 명언][한글 차 사자성어][한글 차 ...
[교훈글][이야기][명상][인내심][인간가치]교훈글 사례1(이야기), 교훈글 사례2(명상), 교훈...
[한글][차][한글 차 속담][한글 차 명언][한글 차 격언][한글 차 한자성어][한글 차 고사성어...
[한글 차, 한글 차 명언, 한글 차 고사성어, 한글 차 사자성어, 한글 차 한자성어, 한글 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