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표면 온도
3. 크기
4. 거리
5. 등급의 결정
2. 표면 온도
3. 크기
4. 거리
5. 등급의 결정
본문내용
은 별을 1등성, 가장 어두운 별을 6등성으로 구분하여 별을 밝기별로 구분하였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천문학이 체계화됨에 따라 보다 정확한 장비를 이용해 1등급 차이가 나는 별의 밝기 차이를 2.5배로 맞추고 천구에 떠있는 여러 종류의 별의 겉보기 등급을 체계적으로 확정하였다. 별의 등급은 크게 절대등급(absolute magnitude)과 겉보기 등급(apparent magnitude)으로 구분된다. 절대등급은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별을 지구로부터 10pc의 위치로 옮겼을 때 나타나는 밝기이다. 절대등급은 별의 실제적인 밝기를 의미하므로 별의 절대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별의 광도(luminosity)이다. 스테판-볼츠만(Stephan Boltzmann) 법칙에 따라 별의 광도는 천체의 반지름과 표면 온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별의 절대등급은 천체의 반지름과 표면 온도에 대한 함수이다. 다음으로 별의 겉보기 등급은 우리 눈에 보이는 별의 등급을 말한다. 별의 겉보기 등급은 별의 절대등급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지구로부터 천체까지의 거리(d)에 영향을 주로 받는다. 이러한 절대등급과 겉보기 등급, 그리고 거리에 대한 식은 포그슨 방정식으로 귀결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