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3.물상 별과 우주-2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61~121번

정답

본문내용

없다.
③ 변화 없다.붉은색을 띤다.
④ 낮아진다.변화 없다.
⑤ 낮아진다.붉은색을 띤다.
120. 오른쪽 그림처럼 태양계가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 다고 가정할 때 관찰할 수 있는 은하수의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일신여, 영도]
① 은하수가 하늘 전체를 덮어 뿌옇게 보일 것이다.
② 은하수의 폭이 더 좁고 어둡게 보일 것이다.
③ 현재와 거의 같은 모습으로 보일 것이다.
④ 남쪽과 북쪽 하늘에서만 나타날 것이다.
⑤ 아무것도 보이지 않을 것이다.
121. 우리 은하와 같은 크기를 가진 10개의 은하가 모여서 은하군을 형성하 고 있다면, 이 은하군에는 태양과 비슷한 별이 전부 몇 개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가 ? [휘문, 과천문원]
① 2×103개② 2×108개
③ 2×1010개④ 2×1012개
⑤ 2×1015개
61. ⑤
62. ④
63. ①
64. ③
〔65~66〕표면 온도가 같을 때는 지름이 큰 별이 더욱 밝게 보이는데, 지름을 라 하면, 표면적∝이므로, 밝기는 에 비례하여 밝아진다. 즉, 반지름이 10배 증가하면 밝기는 배가 된다.
65. 0등급
66. ⑤
67. ④
별까지의 거리는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에 비해 매우 멀리 떨어져 있다.
68. ⑤
달의 공전 궤도면이 지구 공전 궤도면과 약 5°정도 차이가 있다는 것은 매달 삭과 망일 때마다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와 관계가 있다.
69. ②
D 위치는 하현달이며, 간만의 차가 작을 때이다.
70. ⑤
삭과 망일 때는 사리, 상현과 하현일 때는 조금이다.
71. ④
별의 색깔은 표면 온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온도가 낮을수록 붉게 보인다.
72. ③
별 C와 D는 같은 절대 등급으로 실제 밝기가 같은 것이다.
73. 구상 성단
구상 성단은 저온의 붉은색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74. ④
1등급의 밝기차는 약 2.5배이다. 육안으로 보이는 밝기는 실시 등급이며, 실제 밝기는 절대 등급을 비교한다.
75. ②
우리 은하는 옆에서 보면 원반 모양이고, 위에서 보면 나선형의 모양이다.
76. ③
구상 성단은 은하의 원반 밖에, 산개 성단은 원반 내에 주로 분포한다.
77. ③
사진은 성운의 중심에 있는 별들로부터 나오는 빛을 받아 스스로 빛을 내는 발광 성운이다.
78. ④
은하수는 남반구의 하늘에서도 관측된다.
79. ④
산개 성단에는 푸른색의 별이 허술하게 모여 있고 구상 성단에는 붉은색의 별이 밀집되어 있다.
80. ②
은하수는 많은 별이 모여 뿌옇게 보이는 것으로 하늘을 한 바퀴 휘감고 있다.
81. ③
성간 물질이 밀집되어 있는 것을 성운이라 하며 별이 생성되는 곳이기도 하다.
82. 구상 성단
별들이 조밀하게 모여 있는 것을 성단이라 하며, 모인 형태에 따라 산개 성단과 구상 성단으로 구분한다.
83. B
태양계는 은하 중심에서 약 3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84. ⑤
우리 은하는 지름이 10만 광년이나 되는 거대한 천체이다.
85. ③
우리 은하와 같은 은하들이 수십 개 모여 은하단을 형성한다.
86. ③
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로서 16만 광년 떨어져 있다.
87. ①
은하수는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의 집합체로 띠모양으로 보이며, 우리 은하의 모습이다.
88. ⑤
지구의 안쪽 궤도를 돌고 있는 행성을 내행성이라 한다.
89. ⑤
행성들의 공전 궤도면은 거의 황도 부근에 위치한다.
90. ①
우주의 중심이 지구이고, 모든 천체가 지구를 돌고 있다는 천동설이다.
91. ①
92. ⑤
우리 은하 속에는 태양계는 물론 수많은 성단과 성운, 별이 있다.
93. ②
태양계는 은하 중심에서 3만 광년 떨어진 나선팔에 위치한다.
94. ③
은하는 우주 공간 속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95. ①
공간∝(거리)3
96. ①
그림의 (나)를 보면 모든 점들은 서로 멀어지고 있으므로 그 중심이 어디인지 알 수 없다.
97. ②
태양계는 은하 중심에서 3만 광년 떨어진 원반 내의 나선팔에 위치한다.
98. ⑤
우리 은하는 나선 은하에 해당한다.
99. ②
100. ③
101. ③
102. ③
103. ②
104. ④
실시 등급<절대 등급 : 10pc 이내
실시 등급=절대 등급 : 10pc
실시 등급>절대 등급 : 10pc보다 멀다.
105. ③
절대 등급이 낮을수록 실제 밝기가 밝은 별이다. -3.7과 -0.7은 3등급 차이이므로 배 밝기 차이이다.
106. ④
은하수에 군데군데 검은 부분이 있는 까닭은 암흑 성운이 있기 때문이다.
107. 은하의 형태
타원 은하는 공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나선 은하는 가운데 빗장이 들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불규칙 은하는 완전 불규칙한 것과 폭발이 일어났던 흔적이 보이는 것 등이 있다.
108. ③
마젤란 은하는 일정한 모양이 없이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는 불규칙 은하의 대표적인 예이다.
109. ④
태양의 일주 운동은 지구의 자전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110. ④
별의 표면 온도에 따라 별의 색깔이 다르게 보인다.
111. ③
112. ④
113. ②
그림에서 달은 하현의 위치에 있으며, 이 때에는 태양, 지구, 달이 서로 수직을 이루고 있으므로 기조력이 약해 조수 간만의 차가 적게 된다.
114. ⑤
115. ④
달과 수성에는 대기와 물이 없기 때문에 풍화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서 지형도 변하지 않는다.
116. ②
지구에 가까이 있을수록 실제 밝기보다 더 밝게 보인다. 겉보기 등급이 절대 등급보다 밝은 별 중 등급차가 많이 나는 별을 고른다.
117. ②
별들의 일주 운동은 모두 북극성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일어나지만, 그 별을 쳐다보는 위치에 따라 일주 운동의 모양은 매우 다르게 보인다. 관찰자의 위치에서 회전을 상상해 본다.
118. ①
우리 은하는 옆에서 보면 원반형, 위에서 보면 나선형으로 보이는 나선 은하이다.
119. ②
태양이 현재의 위치보다 멀어져도 온도의 차이는 없으므로 색깔 변화는 없다. 그러나 실시 등급은 더 높아져 어둡게 보인다.
120. ①
121. ④
우리 은하 속에는 태양과 같은 별이 약 2000억 개, 즉 개의 별이 있다. 또 10개의 은하가 모여 은하단을 형성하므로
개의 별이 있다.

키워드

은하,   구상성단,   표면,   ,   핵심,   기출,   해설,   답안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