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팽창우주][우주][은하계][태양계][은하의 개념][은하의 종류][은하의 발견][은하의 역사][은하로 말하는 팽창우주]은하의 개념, 은하의 종류, 은하의 발견, 은하의 역사, 은하로 말하는 팽창우주 분석(은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은하][팽창우주][우주][은하계][태양계][은하의 개념][은하의 종류][은하의 발견][은하의 역사][은하로 말하는 팽창우주]은하의 개념, 은하의 종류, 은하의 발견, 은하의 역사, 은하로 말하는 팽창우주 분석(은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은하의 개념

Ⅲ. 은하의 종류
1. 나선은하(spiral galaxy)
2. 타원은하(elliptical galaxy)
3. 막대나선은하(barred spiral galaxy)
4. 불규칙은하(irregular galaxy)
5. 렌즈형은하(lenticular galaxy)
6. 충돌하는 은하(colliding galaxy)
7. 활동 은하

Ⅳ. 은하의 발견과 역사
1. 고속도별
2. 흡수문제
3. 나선성운의 해결
4. 반마넨의 실수

Ⅴ. 은하로 말하는 팽창우주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진다. 성운이란 가스나 먼지들이 모여서 별 사이에서 마치 구름처럼 뿌옇게 보이는 것들을, 성단은 별들이 모여 덩어리로 아름답게 보이는 것들을 말한다. 은하들의 지름은 10만 광년 정도이나, 은하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 은하는 모양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크게 타원 모양을 한 타원 은하, 소용돌이 모양을 하고 있는 나선은하, 특별한 형태를 취하지 않고 있는 불규칙 은하 등 세 가지로 나뉜다. 개개의 은하들이 어떻게 태어나서 어떻게 진화하는가에 대한 문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은하들이 분포하는 대우주의 모습을 연구하는데 가장 결정적인 문제는, 우주 공간의 대부분이 우리에게 안 보이는 물질로 채워져 있다는 사실이다. 천문학자들이 관측하는 물질들은 아무리 낙관적으로 추산하여도 우주 공간을 채운 물질의 10%가 채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우주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보이지 않는 물질을 천체 물리학자들은 \'암흑 물질\'이라고 부른다. 20세기 초반 유명한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은 윌슨산 천문대에서 은하들을 연구하다가 놀라운 우주의 비밀을 알아냈는데, 그것은 곧 모든 은하들이 우리에게서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허블이 내린 결론은 거리가 먼 은하일수록 빠른 속도로 후퇴한다는 것이었다. 오늘날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우주를 팽창 우주라고 부른다. 따라서 영화 필름을 거꾸로 돌리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거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경우 이번에는 먼 은하일수록 더 빨리 우리에게 접근해 와서 어느 시점에 이르면 모든 은하가 한 곳에 모이게 된다. 바로 그 순간을 우리는 \'태초\'라고 부른다. 허블이 우주의 팽창을 발견하기 전, 아인슈타인은 독자적인 우주론을 세우면서 무척 고민을 많이 하였다. 왜냐하면 아인슈타인이 이론을 세울 당시 우주가 팽창을 할 수 있는 동적인 존재라는 생각을 꿈에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당시까지 관측된 우주의 모습은 정적이었고, 아인슈타인은 정적인 우주의 모습을 기술하려고 애를 썼다. 하지만 중력으로 엮인 은하들만으로는 정적인 우주를 만들 수가 없었다. 따라서 유한 개의 은하를 가지고 정적인 우주를 엮어놓으면 그 우주는 중력에 의해 한 곳으로 모여들어 바로 붕괴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허블에 의해 우주가 정적일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아인슈타인의 고민은 자연스레 해결되었다. 왜냐하면 아인슈타인이 세운 일반 상대성 이론의 방정식 속에는 동적인 우주를 기술하는 답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허블의 팽창 우주에서 주의할 것은, 우리 은하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뜻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팽창 우주는 풍선이 커지면 풍선에 찍어 놓은 점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반대로 풍선의 공기가 빠지면 표면의 어떤 점에서 보더라도 주위의 점들이 점점 가까워지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시간이 거꾸로 흐른다면 어떤 은하에서 보더라도 주위의 다른 은하들은 그 은하를 향하여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태초의 우주는 엄청나게 밀도가 크고 무지막지하게 뜨거웠을 것이다. 우주의 모든 물질이 한 점에 모여 있으니 이는 당연하다. 그 상태에서 대폭발(빅뱅)을 일으켜 팽창 우주가 되었다는 것이 현대 우주론의 정설이다.
참고문헌
마샬맥루한, 임상원 역 / 쿠텐베르크은하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민영기·우종옥·윤홍식 / 교양천문학, 형설출판사, 1993
박창고·박수인·안중호·권석민 / 우주와 지구, 1998
스티븐 호킹 / 우주에도 생명이 존재하는가, 우리시대사
이상우 / 또 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1998
채동현·안성민 / 쉽게 배우는 천문학, 교육 과학사, 1999
한창희·박문석 / 살아있는 우주, 형설출판사, 2001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