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문제의식
1.2 연구의 과정과 방법
2. 본론
2.1 보도/논평 프로그램의 기능
2.1.1 지상파, 종합편성채널의 순기능과 역기능
2.1.2 유튜브 채널의 순기능과 역기능
2.2 문제점 분석
2.2.1 국내 미디어 영상의 사례
2.2.1.1 고성 산불 보도
2.2.1.2 대만 카스테라 보도
2.3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3. 결론
1.1 문제의식
1.2 연구의 과정과 방법
2. 본론
2.1 보도/논평 프로그램의 기능
2.1.1 지상파, 종합편성채널의 순기능과 역기능
2.1.2 유튜브 채널의 순기능과 역기능
2.2 문제점 분석
2.2.1 국내 미디어 영상의 사례
2.2.1.1 고성 산불 보도
2.2.1.2 대만 카스테라 보도
2.3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3. 결론
본문내용
보도를 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거나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화제에만 치중하는 경우가 많다. 상관 조정 기능에 있어서도 국내 영상 미디어는 한 쪽으로 편향된 틀을 제공하기도 한다. 사람의 관점에 따라 사건이 다르게 해석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다수의 사람들에게 보도할 때는 중립적인 관점에서 사실만 가지고 보도해야 한다.
위에서 살펴봤던 거브너의 모델을 바탕으로 국내의 영상 미디어는 사건의 왜곡 가능성을 줄여나가야 한다. 왜냐하면 보도 프로그램의 정보 전달은 빠른 시간 동안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이 잘못된 정보일 경우 사실을 바로잡기가 힘들기 때문에 처음부터 정확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건에 대해 정의를 내릴 때 즉 1차 왜곡의 가능성이 있을 때 왜곡되지 않게 올바른 해석을 해야 한다. 중립적으로 사건을 바라보기 위해 스스로 노력해야 하고 혹시라도 편향된 관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두 번째 왜곡이 일어날 수 있는 보도 프로그램 제작과 편집 과정에서도 주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도 다수의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할 것이고 보도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왜곡 없이 사건을 전달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물론 보도 프로그램도 보도를 할 때 중립을 지키며 방송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보도를 받아들이는 시청자도 지배적-헤게모니적 해석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교섭적 해석을 해야 한다.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보도 프로그램의 의도를 파악하여 비판적으로 바라본 후 정보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자신의 의견이 정해진 후에는 다양한 보도와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며 나의 의견을 고칠 수도 있고 한 사건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사건을 더 폭넓게 이해 할 수 있다. 나의 의견만 고집하고 나의 의견과 비슷한 의견만 받아들이면 편협한 시각에만 머물러 있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영상 미디어를 통해 시청자에게 사건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미디어와 시청자가 각자 해야 할 역할이 있다. 미디어는 사실에 입각한 내용만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하고 시청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한다.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룬다면 우리는 사건의 왜곡 가능성을 줄이면서 사건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봤던 거브너의 모델을 바탕으로 국내의 영상 미디어는 사건의 왜곡 가능성을 줄여나가야 한다. 왜냐하면 보도 프로그램의 정보 전달은 빠른 시간 동안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이 잘못된 정보일 경우 사실을 바로잡기가 힘들기 때문에 처음부터 정확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건에 대해 정의를 내릴 때 즉 1차 왜곡의 가능성이 있을 때 왜곡되지 않게 올바른 해석을 해야 한다. 중립적으로 사건을 바라보기 위해 스스로 노력해야 하고 혹시라도 편향된 관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다수의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두 번째 왜곡이 일어날 수 있는 보도 프로그램 제작과 편집 과정에서도 주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도 다수의 사람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할 것이고 보도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왜곡 없이 사건을 전달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물론 보도 프로그램도 보도를 할 때 중립을 지키며 방송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고 보도를 받아들이는 시청자도 지배적-헤게모니적 해석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교섭적 해석을 해야 한다.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보도 프로그램의 의도를 파악하여 비판적으로 바라본 후 정보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자신의 의견이 정해진 후에는 다양한 보도와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며 나의 의견을 고칠 수도 있고 한 사건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사건을 더 폭넓게 이해 할 수 있다. 나의 의견만 고집하고 나의 의견과 비슷한 의견만 받아들이면 편협한 시각에만 머물러 있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영상 미디어를 통해 시청자에게 사건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미디어와 시청자가 각자 해야 할 역할이 있다. 미디어는 사실에 입각한 내용만을 시청자들에게 전달하고 시청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야한다.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룬다면 우리는 사건의 왜곡 가능성을 줄이면서 사건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