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중국종교사
2) 한국종교사
3) 일본종교사
4) 한국과 중국의 종교 비교 – 공통점과 차이점
5) 한국과 일본의 종교 비교 – 공통점과 차이점
6) 중국과 일본의 종교 비교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중국종교사
2) 한국종교사
3) 일본종교사
4) 한국과 중국의 종교 비교 – 공통점과 차이점
5) 한국과 일본의 종교 비교 – 공통점과 차이점
6) 중국과 일본의 종교 비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토속신앙인 신토와 융합되는 결과로 나타나게 되엇다.
Ⅲ. 결론
동아시아 삼국의 종교는 대체로 비슷한 시기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각국의 역사 및 정치적 상황, 토속종교 등의 영향으로 인해 융성하는 시기, 정착화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동아시아 삼국 모두 불교가 매우 융성했고 지금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데, 각국의 기본적인 토착신앙과 연결되고 지배층의 입맛에 따라 다소 조율되는 양상이 나타났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유교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융성시기가 차이 날 수밖에 없는 종교이기에 동아시아 삼국 모두 융성했던 시기가 정해져 있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도교의 경우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은 중국을 제외하면 종교화를 하지 못했다.
우리나라에서 종교로 인해 나타나는 특색도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19세기 중엽 이전만 해도 종교는 사실상 불교와 유교밖에 없었다. 그런데 기독교와 천주교 들어오게 되면서 3대 종교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우리나라 사람들만 가지고 있는 특색이 있다. 교회를 다니는 사람 중에 상당수가 제사를 지내는 경우가 많은데, 교회에서는 원래 이단숭배를 금지하기 때문에 행하지 않는 것이 원래 맞다. 이외에도 유교적인 색채는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조선시대 때 강력했던 유교적인 색채가 지금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도교가 완전한 종교화되지 못했지만, 도교적 색채 역시 매우 강하게 남아있다. 여전히 신내림을 받는 사람들이 많으며, 이들에게 점사를 받는 사람들 역시 많다. 그리고 도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풍수지리 역시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풍수지리를 통해 집과 묘소를 잡는 상류층들이 여전히 많으며, 규모가 큰 기업들도 풍수지리를 믿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상당수의 가정이 인테리어 풍수 매거진한경, 배현정,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101203783c 참조.
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가 중국과 일본의 일상생활에 침투해있는 종교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주로 겉으로 나타나는 것, 역사적인 사실 위주로 비교를 행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다소 상세하게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현재, 종교를 믿는 절대인구 수가 감소하고 있고 유교적 색채 역시 상당히 약화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지금보다 약 10~20년 후에 동아시아 삼국의 종교상황을 비교한다면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Ⅳ. 참고문헌
박규태, 2016, \"일본 신도(神道)와 도교 -천황 및 이세신궁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제76집 제1호, 23-52.
남춘모, 2016, \"종교문화 교류유형으로 본 일본의 유교 수용과 습합 및 정착과정\" 일본근대학연구 52호, 215-246.
류성민, 2007, \"한·중·일 삼국의 종교정책 비교\" 종교연구 46집, 35-75.
정조근, 송영민, 2004, \"장묘법제의 한중일 비교연구\" 토지법학 20호, 3-24.
능인선원, \"불교의 역사-중국불교\" http://www.nungin.net.
성균관, \"중국의 유교\" http://www.skk.or.kr.
김정룡, \"중국문화의 뿌리는 도교에 있다\" 동북아신문
http://www.db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75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
동북아역사넷, http://contents.nahf.or.kr.
디지털불교, 최병헌, http://kr.buddhism.org.
매거진한경, 배현정,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
Ⅲ. 결론
동아시아 삼국의 종교는 대체로 비슷한 시기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각국의 역사 및 정치적 상황, 토속종교 등의 영향으로 인해 융성하는 시기, 정착화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동아시아 삼국 모두 불교가 매우 융성했고 지금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데, 각국의 기본적인 토착신앙과 연결되고 지배층의 입맛에 따라 다소 조율되는 양상이 나타났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유교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융성시기가 차이 날 수밖에 없는 종교이기에 동아시아 삼국 모두 융성했던 시기가 정해져 있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도교의 경우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은 중국을 제외하면 종교화를 하지 못했다.
우리나라에서 종교로 인해 나타나는 특색도 존재한다. 우리나라는 19세기 중엽 이전만 해도 종교는 사실상 불교와 유교밖에 없었다. 그런데 기독교와 천주교 들어오게 되면서 3대 종교를 이루고 있는 상황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우리나라 사람들만 가지고 있는 특색이 있다. 교회를 다니는 사람 중에 상당수가 제사를 지내는 경우가 많은데, 교회에서는 원래 이단숭배를 금지하기 때문에 행하지 않는 것이 원래 맞다. 이외에도 유교적인 색채는 매우 강하게 나타난다. 이는 조선시대 때 강력했던 유교적인 색채가 지금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도교가 완전한 종교화되지 못했지만, 도교적 색채 역시 매우 강하게 남아있다. 여전히 신내림을 받는 사람들이 많으며, 이들에게 점사를 받는 사람들 역시 많다. 그리고 도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풍수지리 역시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풍수지리를 통해 집과 묘소를 잡는 상류층들이 여전히 많으며, 규모가 큰 기업들도 풍수지리를 믿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상당수의 가정이 인테리어 풍수 매거진한경, 배현정,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101203783c 참조.
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가 중국과 일본의 일상생활에 침투해있는 종교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주로 겉으로 나타나는 것, 역사적인 사실 위주로 비교를 행했다. 다만, 우리나라의 경우 다소 상세하게 기술하려고 노력하였다.
현재, 종교를 믿는 절대인구 수가 감소하고 있고 유교적 색채 역시 상당히 약화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지금보다 약 10~20년 후에 동아시아 삼국의 종교상황을 비교한다면 유의미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Ⅳ. 참고문헌
박규태, 2016, \"일본 신도(神道)와 도교 -천황 및 이세신궁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제76집 제1호, 23-52.
남춘모, 2016, \"종교문화 교류유형으로 본 일본의 유교 수용과 습합 및 정착과정\" 일본근대학연구 52호, 215-246.
류성민, 2007, \"한·중·일 삼국의 종교정책 비교\" 종교연구 46집, 35-75.
정조근, 송영민, 2004, \"장묘법제의 한중일 비교연구\" 토지법학 20호, 3-24.
능인선원, \"불교의 역사-중국불교\" http://www.nungin.net.
성균관, \"중국의 유교\" http://www.skk.or.kr.
김정룡, \"중국문화의 뿌리는 도교에 있다\" 동북아신문
http://www.db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75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
동북아역사넷, http://contents.nahf.or.kr.
디지털불교, 최병헌, http://kr.buddhism.org.
매거진한경, 배현정,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
키워드
추천자료
[과외]중학 국사 3-1학기 중간 02 조선 사회의 변동
[과외]중학 국사 3-1학기 중간 02 조선 사회의 변동(교사용)
[과외]중학 사회 1-18 단원별 예상문제 01
한국사의 보편성(普遍性)과 특수성(特殊性)
유교의 정의
[유교사상][인권사상][도교사상][유교사상의 과제]유교사상의 정립, 유교사상의 이론, 유교사...
[한중일]한중일(한국중국일본) 평화관계, 국제관계, 한중일(한국중국일본) 국제교류, 수입흐...
[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한국중국일본 삼국(한중일3국)의 위상, 한국중국일본 삼국(한...
⎈동아시아의 불교⎈ 한국,일본,중국의 불교에 대한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