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실험 클리퍼, 클램퍼 회로 실험 (PSpice 첨부) 레포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회로실험 클리퍼, 클램퍼 회로 실험 (PSpice 첨부)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표

2. 관련이론
2-1 기초 이론
2-2 소개
2-3 소자(부품) 소개

3. PSpice 시뮬레이션
3-1 시뮬레이션 준비물
3-2 시뮬레이션 과정
3-3 시뮬레이션 결과

4. 실험
4-1 실험 준비물
4-2 실험 과정
4-3 실험 결과


5. 참고문헌

본문내용

3-3 실험 ③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8)
1.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8의 회로를 구성한다.
2. 오실로스코프로 입력과 출력파형을 관찰하고, 측정된 파형을 전자회로 실험 P. 30 그림 4-9에 도시한다.
3-4 실험 ④
(전자회로 실험 P. 30 그림 4-10)
1. 전자회로 실험 P. 30 그림 4-10의 회로를 구성한다.
2. 오실로스코프로 입려과 출력파형을 관찰한다.
3. 측정된 파형을 전자회로 실험 P. 30 그림 4-11에 도시한다.
4. 를 47으로 교체한 후 파형을 도시한다.
4. PSpice 시뮬레이션 회로도 및 결과
① 그림 4-4 (a)
(전자회로 실험 P. 28 그림 4-4 (a) 시뮬레이션 회로도)
(전자회로 실험 P. 28 그림 4-4 (a) 시뮬레이션 결과)
② 그림 4-4 (b)
(전자회로 실험 P. 28 그림 4-4 (b) 시뮬레이션 회로도)
(전자회로 실험 P. 28 그림 4-4 (b) 시뮬레이션 결과)
③ 그림 4-6 (a) ( ※ 가변저항을 DC 전원으로 대치)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6 (a) 시뮬레이션 회로도)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6 (a) 시뮬레이션 결과)
④ 그림 4-6 (b) ( ※ 가변저항을 DC 전원으로 대치)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6 (b) 시뮬레이션 회로도)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6 (b) 시뮬레이션 결과)
⑤ 그림 4-8 (a)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8 (a) 시뮬레이션 회로도)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8 (a) 시뮬레이션 결과)
⑥ 그림 4-8 (b)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8 (b) 시뮬레이션 회로도)
(전자회로 실험 P. 29 그림 4-8 (b) 시뮬레이션 결과)
5. 실제 실험 결과
① 그림 4-4 실험 (전자회로실험 P.28)
결과 설명 : 채널1에는 OUTPUT, 채널2에는 INPUT 파라미터입니다.
VOLT/DIV는 멀티미터로 측정한 결과, 채널1과 채널2 각각 2.1V와 4.3V로 측정되었으며, 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 레벨 이상의 파형이 잘려진 모습입니다.
결과 설명 : 채널1이 OUTPUT, 채널2에는 INPUT 파라미터입니다.
VOLT/DIV는 멀티미터로 측정한 결과, 채널1과 채널2 각각 2.1V 와 4.3V로 측정되었으며,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 레벨 이하의 파형이 잘려진 모습입니다.
② 그림 4-6 실험 (전자회로실험 P. 29)
결과 설명 : 채널1에는 OUTPUT, 채널2에는 INPUT 파라미터입니다.
VOLT/DIV는 멀티미터로 측정한 결과, 채널1과 채널2 각각 1.5V와 7.2V로 측정되었으며, 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 레벨 이상의 파형이 잘려진 모습입니다.
결과 설명 : 채널1에는 OUTPUT, 채널2에는 INPUT 파라미터입니다.
VOLT/DIV는 멀티미터로 측정한 결과, 채널1과 채널2 각각 1.5V와 7.2V로 측정되었으며, 다이오드가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 레벨 이하의 파형이 잘려진 모습입니다.
③ 그림 4-8 실험 (전자회로실험 P. 29)
결과 설명 : 채널1에는 OUTPUT, 채널2에는 INPUT 파라미터입니다.
VOLT/DIV는 멀티미터로 측정한 결과, 채널1과 채널2 각각 4.4V와 4.4V로 측정되었으며, 그림 4-8과(a) 그림 4-8(b) 회로 결과 모두 위 사진과 동일한 파형이 관찰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론상으로는 즉, PSpice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면, 한참 위에서 캡쳐한 시뮬레이션 결과 사진처럼, 그림 4-8(a)과 그림 4-8(b)은 처음 파형에서만 차이를 보이고, 그 다음부터는 일정한 파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이론적인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오실로스코프로 파형을 관찰하게 되면, 우리가 PSpice로 관찰했던 시뮬레이션 결과처럼 처음(0ms)부터 전류를 인가하자마자 바로 관찰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 부분 혹은 1/3 지점 혹 2/3 지점 등등 말 그대로 그 회로 속에 잘 흐르고 있는 , 시간에 따른 입력전압의 변화를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이론적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④ 그림 4-10 실험 (전자회로실험 P. 30)
결과 설명 : 채널1에는 OUTPUT, 채널2에는 INPUT 파라미터입니다.
VOLT/DIV는 멀티미터로 측정한 결과, 채널1과 채널2 각각 6.6V와 6.6V로 측정되었으며, 첫 번째로 저항 R2를 이용하여 회로를 구성 후, 측정한 결과와, 저항 R2를 커패시터 47uF로 바꾸고 난 후의 측정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났습니다.
위 2개의 사진이 PSpice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을 돌린 이론적인 결과입니다. 첫 번째 사진은 저항 연결했을 때의 경우이며, 두 번째 사진은 저항을 커패시터로 구성했을 때의 경우입니다. 하지만 실험 결과는.. 이렇게 나오지 않았습니다.
이론적인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가 오차가 난 이유를 생각하여 보았습니다. 우선 첫 번째로, 접지가 잘못 됐을 가능성입니다. 지금 보고서를 쓰면서 생각해보건대, 아마 저희 조는 계속 되는 잘못된 실험 결과로 회로를 계속해서 고치고, 오실로스코프나 직류전원, 멀티미터 등 다양한 기계들을 동작하려 했지만 정작 접지에 대해서는 고칠 생각을 안 했던 것 같습니다.
두 번째 이유로는, ‘실제는 이론과 다르다’입니다. 저희가 사용한 저항, 커패시터, 다이오드 등의 소자들이 이론과 똑같은 정확한 값을 가지고 있지도 않고, 새 소자가 아닌 학교에서 여러 학생들이 돌려가며 쓰는 소자이기도 하며, 제가 사용한 브레드보드도 구매한지 2년이 다 되어가서, 노후화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생각해 본 결과, 오차가 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6. 데이터 시트
※ 이번 실험에서 사용한 소자는 다이오드 1N914 였습니다.
이 소자에 대한 데이터 시트입니다.
참고문헌
전자회로실험 p.25 - 33,
데이터 시트 검색엔진 https://www.alldatasheet.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2.11.21
  • 저작시기202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01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