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코(KIKO)의 정의와 사례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키코(KIKO)의 정의와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키코의 정의
2. 키코의 피해사례
3. 기업들은 왜 키코를 선택했는

본문내용

1) 키코(KIKO)란 무엇인가
키코(KIKO)란 “Knock-In Knock-Out”이라는 옵션 상품의 약자이며 환율이 일정 범위 안에서 움직일 경우 미리 약정한 환율에 약정금액을 팔 수 있도록 한 파생금융상품이다.
2) 키코(KIKO)의 구조 및 특성
키코(KIKO) 통화옵션은 앞서 나왔듯 녹인(Knock-In)과 녹아웃(Knock-Out) 조건이 내재된 통화옵션계약을 말한다. 녹인(Knock-In)이란 일정한 환율 수준에 도달하면 옵션이 유효하게 되는 것을 뜻하고 녹아웃(Knock-Out)이란 일정한 환율 수준에 도달하면 옵션이 무효로 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조건이 붙는 옵션은 배리어옵션의 일종이며, 결국 키코는 장외 시장에서 거래되는 배리어옵션의 합성물이라고 볼 수 있다. 배리어 옵션은 시장환율이 사전에 정한 일정 환율에 도달하면 해당 계약이 무효화 또는 유효화 되는 특성을 갖는다. 즉, 환율이 상하 일정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시장가보다 높은 지정환율로 외화를 팔 수 있는 통화옵션으로서, 환율이 지정한 범위 하단을 내려가면 계약이 무효가 되어서 기업은 환율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부담하게 되나, KIKO로 인한 손실은 입지 않게 된다. 그러나 환율이 급등해 지정환율 상단을 넘어가면 상품 가입시 약정에 정함에 근거하여 계약금액의 2, 3배를 시장가보다 낮은 지정환율로 팔아야 하므로 기업은 손실을 입게 된다. KIKO는 외환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되었으나 환율이 급등할 시에는 엄청난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12.10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191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