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KO(키코)의 정의와 피해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1.KIKO의 정의

2.KIKO의 구조

3.KIKO의 피해사례

4.KIKO의 피해사례2

5. KIKO의 최근현황

6. 결론

본문내용

안에서 움직이면 기업이 미리 정한 환율로 외화를 은행에 팔 수 있는 권리를 주는 방식이다. 하지만 환율이 약정한 상한선 위로 올라가면 기업이 비싼 달러를 사서 계약 당시 환율로 은행에 팔아야 하기 때문에 큰 손해를 보게 되어 있다. 지난해 환율이 급등해 일부 업체가 도산하는 등 '키코 대란'이 일어나자, 수출업체와 은행 간에 법정 분쟁이 시작됐다.
[조선일보 손석진기자 2009.11.26]
6. 결론기업들이 환 헤지를 하는 목적은 변동성이 큰 환율 시장에서 그 변동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여기서 환 헤지란, 환차손을 막기 위해 환매 시 환율을 현재 시점의 환율로 미리 고정해 두는 것이다. 환 헤지를 위해서는 금융파생상품들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 파생상품은 위험성이 높은 상품이다. 이러한 위험에 대해서는 위험고지를 ‘충분히’ 하지 못한 은행에 대해 책임이 있는가와 위험을 ‘덜’ 인지한 기업에 대해 잘못이 있는지 생각해보아야 한다.KIKO 사태가 터진 뒤로 많은 기업들은 금융감독 당국에 민원을 제기하였다. 기업들은 은행이 위험고지를 ‘충분히’ 하지 않았으니 이에 대해 책임을 지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의 견해로는 상품은 KIKO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환 헤지를 위해서는 시중에 나와 있는 금융상품들에 대해 조금만 이해하고 기업들이 위험에 대해 조금만 더 민감하게 인지하였다면 이번의 KIKO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주식도 그렇듯이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가 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기업의 환 헤지를 위한 KIKO 상품의 가입도 기업이 책임을 져야 한다. 투자라는 것은 양면의 칼과 같다. 즉, 이익을 보는 곳이 있다면 반드시 손해를 보는 곳이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태에서 기업들이 이 손해를 보는 곳에 대해 깊이 생각지 않고 투자를 하였으므로 기업이 책임을 지는 것이 마땅하다.즉, 내가 하고자 하는 말은 은행이 KIKO 상품을 팔아서 수수료를 챙겼다는 것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닌, 기업이 자신이 보유한 외환포지션 이상으로 환율변동에 노출시켰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이번 사태의 책임을 기업이 져야 한다는 것이다.
출처
-조선일보
-머니투데이
-국회도서관
-네이버 베이시스 까페
-김태훈과 현명한 주식투자자

키워드

KIKO,   키코,   피해사례,   금융,   파생,   중소기업,   소송,   환율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67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