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없는 학교
2. 회복할 기회가 있는 학교 공동체
3. 참고문헌
2. 회복할 기회가 있는 학교 공동체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치유와 회복을 경험한 학생은 그 경험을 사회에서 그대로 행하게 된다. 하지만 치유와 회복을 경험하지 못한다면, 사회에서 그 영향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없게 된다. 학교가 회복적 학교로 나아가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인 것이다. 학교가 회복적 교육으로 치유와 회복이 일어나는 곳이 되면, 그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훗날 성인이 되어 사회를 치유하고 회복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학생에게 치유할 기회를 학교에서 제공해주어야 한다. 물론, 회복적 교육을 이끌어가야 하는 교사의 역할이 크지만, 많은 교사들이 이러한 회복적 교육에 관심을 갖고, 학교 폭력과 학생을 이해하게 된다면, 그 영향력이 사회 발전에 전달하게 될 것이다. 이 또한, 사회라는 공동체를 위해 개개인이 필요하고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치유와 회복을 경험하는 사람을 보는 것만으로도 같은 치유와 회복을 느낄 수 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타인을 보며 공감하고 내재화시키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회복적 교육 시스템으로 학교가 변화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이다. 한 명의 회복은 다른 이들에게 회복을 전달할 것이며, 학교 전체에 전염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학교 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에게 이를 접목 시킨다면 각자 서로가 회복됨을 경험하게 되어, 상처를 치유하고 행동을 교정하는 긍정적인 솔루션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마지막으로, 학교 폭력의 솔루션으로 회복적 교육이 필요하다면, 가정에서의 역할은 무엇이며, 우리 사회는 회복적 교육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곳인지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3. 참고문헌
-권재원 외 4인, 학교, 회복을 담다, 학이시습, 2022.
3. 참고문헌
-권재원 외 4인, 학교, 회복을 담다, 학이시습, 202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