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본으로 삼는 원칙은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특이한 것은 \'선배문화\'다. 중요한 결정을 경험이 많고 나이가 많은 농업인에게 맡기는 벼농사 체계의 위계구조는 현대 기업조직의 연공서열 문화와 임금체계에 자리잡았다. 작가 이철승은 전작 \'불평등의 세대\'에 이어 이 책에서 연공서열의 위계질서에 대한 비판으로 책을 마무리한다. 연공서열제가 \'세대 네트워크\'와 \'인구구조\'에 맞춰 청년실업, 비정규직 차별, 여성 배제 구조로 이어지는지를 다양한 자료 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이 책은 연공서열제가 구제도의 핵심 유산임을 밝히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사회적 불평등 문제의 핵심은 연공서열 제도인데, 이철승 작가는 이 책의 긴 여정을 통해 구조개혁 과제 중 연공서열 철폐가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