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차 대전에 대한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 1차 대전에 대한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참전국
3. 전쟁의 배경
4. 전쟁의 발발
5. 전쟁의 전개
6. 미국의 개입과 동맹국의 항복
7. 전쟁의 결과

본문내용

팜(양측은 효과적인 전진을 하지 못하고 계속적 소모전을 치르며 대치)
5. 전쟁의 전개
ㆍ1914년 7월, 영국에서 만들어진 오스만 전함 두 척
- 동맹국 병기라는 이유로 압류
- 오스만 제국은 중립을 지키고 있었으나 영국에 대한 여론 악화
→ 당해 8월, 독일은 오스만에 비밀리 동맹 추진
→ 독일은 자국 전함 두 척을 오스만에 양도
→ 오스만은 독일로부터 양도받은 두 전함으로 러시아의 크림반도 내 세바스토폴 항구 기습 공격
→ 러시아의 오스만 제국에 대한 선전포고
→ 오스만 제국의 세계 1차 대전 참전
ㆍ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에서 유럽의 식민지였던 지역을 중심으로 전투가 벌어지기 시작(영국과 일본 연합군은 독일 점령지인 중국 칭다오 점령, 영국 연방 호주는 뉴기니 등을 점령)
ㆍ1915년 1월, 오스만 제국과 독일 연합군
- 영국과 영국령 인도의 연결을 끊기 위해 수에즈 운하 공격
- 점령에 실패함
ㆍ영국 → 독일에 강력한 해상봉쇄 실시
- 독일은 영국의 해상봉쇄를 뚫고자 무제한 잠수
함 작전 실행
- 협상국의 상선에 대한 무차별적 격침 시작
- 1915년 5월, 영국 여객선 루시타니아호 격침
→ 128명의 미국인 사망
→ 미국의 참전 여론이 거세짐
→ 독일이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취하하기로
하며 미국과 합의
- 독일의 무제한 잠수함 작전은 영국의 해상력을 크게 약화시켰던 관계로 독일은 재차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감행 → 미국의 여론 악화
ㆍ치머만 전보사건(1917년)
- 미국이 독일과의 전쟁을 개시할 경우를 대비해 멕시코 참전을 부추김
- 독일은 미국과 멕시코 전쟁의 패배로 멕시코가 상실한 뉴멕시코, 텍사스, 애리조나 등의 지역을 되찾아주겠다는 약속을 함
→ 영국은 치머만이 보낸 문서를 중간에 가로챔
→ 영국 정보원들은 미국으로 가서 우드로 윌슨 대통령에게 암호를 해독하는 과정을 보여줌(미국이 참전하는 계기)
→ 미국의 여론 악화 및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 소강상태에 빠졌던 전황을 180° 바꾸는 계기가 됨
ㆍ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 니콜라이 2세 폐위 후 살해
- 러시아 체제 전복
- 독일 망명 중이던 레닌을 러시아로 귀국시킴
→ 독일은 레닌의 혁명이 성공하면 독일과의
전쟁을 멈출 수 있다고 판단
→ 레닌의 사회주의 혁명 성공으로 독일과 강화
체결(독일은 서부 전선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됨)
ㆍ1917년 3월, 영국군
- 오스만 제국 도시 바그다드 점령
- 메소포타미아의 대부분 점령
6. 미국의 개입과 동맹국의 항복
ㆍ1917년 이후, 서부 전선에서 영국과 프랑스 연합군의
대반격 시작
ㆍ영국의 대(對)독일 해상봉쇄
- 독일은 외부로부터 전쟁 물자를 공급받지 못함
- 4년간 이어진 전쟁으로 인한 인적 및 경제적 손실 누적
→ 국가가 전체적으로 피폐해지는 상황에 놓임
ㆍ그리스와 이탈리아 왕국의 참전 시작
→ 점차 독일군에게 불리한 상황으로
ㆍ1918년 1월,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
- 평화 14개 조 발표
-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움
→ 각 민족은 그들의 정치적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음
→ 각 민족은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을 수 없다는 내용
을 포함
→ 세계 여러 식민지 상태에 있던 약소 민족들을 크게
고무시킴
-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운 이유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피지배 민족인 세르비
아를 비롯한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
코비나 등 여러 민족의 분리독립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해주기 위함
→ 실제 종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여러 국가로 분열
ㆍ1918년 3월 이후, 미국은 본격적으로 세계 1차 대전에 가담하기 시작
ㆍ미국 원정군 90만 명을 포함한 협상국
- 독일을 상대로 백일 전투를 펼침
- 독일의 서부 전선, 이탈리아 전선, 중동 전선, 마케도니아 전선이 함락됨
ㆍ1918년 9월 29일, 테살로니키 휴전 협정
→ 불가리아 왕국이 동맹국에서 이탈
ㆍ1918년 10월 30일, 무드로스 휴전 협정 → 오스만 제국 항복, 분열
ㆍ1918년 11월 3일, 빌라주스티 휴전 협정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항복, 분열
ㆍ1918년 11월 11일, 콩피에뉴 휴전 협정 → 독일 제국 항복
7. 전쟁의 결과
ㆍ결과
- 협상국과 신생 독립국에 일부 영토 할양
- 독일 황실 붕괴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분열
- 오스만 제국의 사실상 멸망
- 발트3국, 핀란드, 폴란드 독립
- 승전국인 프랑스와 영국
→ 독일로부터 일부 영토를 할양받음
→ 협상국에 막대한 배상금 지급
(베르사유 조약)
ㆍ세르비아
- 오스트리아로부터 할양받은 땅을 바탕으로 유고슬라비아 왕국 건설
ㆍ루마니아
- 세계 1차 대전 동안 전 국토가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어 유린당함
- 전쟁 후, 오스트리아로부터 부코비나, 헝가리로부터 트란실바니아, 불가리아로부터 남도브루자를 수복하였으며 러시아로부터 베사라비아를 획득 → 전쟁 이전보다 영토가 2배 이상 증가
ㆍ일본
- 제1차 대전을 바탕으로 경제 호황을 누림
- 독일의 아시아, 오세아니아 식민지와 중국의 이권을 획득
→ but, 미국발 경제 대공황으로부터 이어진 불황(군국주의가 대두되기 시작)
ㆍ제1차 대전 이후 참전국들의 경제적 상황이 크게 악화
- 엄청난 양의 군비 차용
→ 국가채무가 굉장한 수준에 달함
- 유럽 각국에서 평균 350%에 이르는 인플레
이션을 겪음
- 독일 바이마르 정부의 마르크화에 대한 인플
레이션률이 3년 만에 1억 배 상승
→ 마르크화가 휴짓조각으로 전락
ㆍ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엄청난 양의 군수물자 및 식량, 자원을 판매하여 막대한 돈을 벌어들임
- 세계 패권국가로 자리매김하기 시작
ㆍ전쟁을 치르는 동안 여성들이 남성들을 대신해서 공장을 비롯한 여러 산업군에서 일함
- 여성의 사회적 발언권이 향상되기 시작
ㆍ20세기 왕정 몰락의 신호탄을 울린 전쟁
- 독일, 러시아, 오스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왕정 폐지
- 이후 세계 2차 대전을 거치면서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 알바니아와 같은 국가들 또한 왕정을 폐지함
ㆍ과학이 전쟁에 동조하고 인명 피해를 발생시켰다는 점에서 과학에 대한 회의주의적인 시각이 불어오기 시작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3.01.01
  • 저작시기202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2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