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공내전의 정의
2. 청나라 멸망 이후 혼란기
3. 제1차 국공내전
4. 중일전쟁과 제2차 국공합작
5. 제2차 국공내전
6.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국부천대
2. 청나라 멸망 이후 혼란기
3. 제1차 국공내전
4. 중일전쟁과 제2차 국공합작
5. 제2차 국공내전
6.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국부천대
본문내용
49년 12월 27일에는 국민당의 최후의 보루인 청두를 함락하며 중국공산당 인민해방군은 중국 전역을 장악하였다.
6.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국부천대
대륙을 빼앗긴 중화민국은 타이완섬으로 거점을 이동하여 오늘날 대만이 되었다. 우리는 이를 국부천대라고 한다. 중국 대륙을 장악한 공산당은 내륙 곳곳에서 저항 중인 국민혁명군 잔당과 국민당 세력하에 놓인 해안의 섬들을 점거해나가기 시작했으며 1952년까지 쓰촨성 구이저우성, 원난성, 광동성 등 중국 각지에서 저항하던 국민 혁명군 잔당을 소탕하였다. 중화민국 잔당이 중국 대륙에서 대부분 정리되면서 마오쩌둥은 중화민국의 최후의 거점인 타이완섬을 공격하여 완전한 중국 통일을 이루고자 하였다. 하지만, 한국 전쟁의 발발로 북한을 도와주며 타이완섬에 군대 파병을 하지 못하였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1958년 8월 23일부터 12월 2일까지 대만 정복의 전초기지인 진먼섬(金問島)에 포격을 가하면서 대만섬을 정복하고자 하는 야욕을 보였다. 이렇게 중화인민공화국이 대만의 최전선 섬인 진먼섬에서 대만과의 포격전을 진먼 포격전이라고 하며 이는 미국과 중국이 국교를 수립(1979)하기 전까지 쌍방 포격이 간헐적으로 진행되었다.
6.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국부천대
대륙을 빼앗긴 중화민국은 타이완섬으로 거점을 이동하여 오늘날 대만이 되었다. 우리는 이를 국부천대라고 한다. 중국 대륙을 장악한 공산당은 내륙 곳곳에서 저항 중인 국민혁명군 잔당과 국민당 세력하에 놓인 해안의 섬들을 점거해나가기 시작했으며 1952년까지 쓰촨성 구이저우성, 원난성, 광동성 등 중국 각지에서 저항하던 국민 혁명군 잔당을 소탕하였다. 중화민국 잔당이 중국 대륙에서 대부분 정리되면서 마오쩌둥은 중화민국의 최후의 거점인 타이완섬을 공격하여 완전한 중국 통일을 이루고자 하였다. 하지만, 한국 전쟁의 발발로 북한을 도와주며 타이완섬에 군대 파병을 하지 못하였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1958년 8월 23일부터 12월 2일까지 대만 정복의 전초기지인 진먼섬(金問島)에 포격을 가하면서 대만섬을 정복하고자 하는 야욕을 보였다. 이렇게 중화인민공화국이 대만의 최전선 섬인 진먼섬에서 대만과의 포격전을 진먼 포격전이라고 하며 이는 미국과 중국이 국교를 수립(1979)하기 전까지 쌍방 포격이 간헐적으로 진행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