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양한 담론 제시와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돌봄노동자의 건강하고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바람직한 돌봄윤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공감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자와 그 가족을 위한 지도자료와 교육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돌봄 종사자의 사회적 인식이 요구된다. 이에 방문요양요원의 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담론이 활발히 전개될 예정이다. 전통적으로 노인 돌봄은 가족애, 효도 등 가치관에 기반한 사적 영역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노인돌봄은 급격한 고령화와 가족구조의 변화로 전문적인 공공영역에 빠르게 편입되어 \'돌봄의 사회화\'가 이루어졌다. 돌봄의 사회화는 보호가 필요한 노인들이 적절한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가족에 대한 돌봄의 신체적·정신적·경제적 부담을 완화했다. 더욱이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은 돌봄노동자가 현대사회에서 사회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주체임을 상기시켰고, 우리 사회가 돌봄노동의 사회적 가치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되었다. 좋은 돌봄은 돌봄 노동자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돌봄 노동자의 안전한 업무와 건강한 삶을 위해 우리 사회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추천자료
외국인노동자문제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성,사랑,사회4B) 한국 사회에서 가정이나 일터 등 일상적인 공간에서 성폭력이나 성희롱이 빈...
(사회문제론 B형) 한국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사회문제를 만들...
성사랑사회4C) 한국 사회에서 가정이나 일터 등 일상적인 공간에서 성폭력이나 성희롱이 빈발...
[노인복지] 우리나라에서 노인인권 문제가 발생하는 주된 이유가 무엇인지 기술하고 이를 해...
[전략적 간호관리] 간호학과 기말시험(온라인평가)문제, 2020년 과제
시설종사자의 인권보호의 필요성과 배경에 대하여 서술해 봅시다
[ 사회문제론 ) 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받아들여지게 된 역사는 길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