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나에게 있어 학교폭력이란?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살펴본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방안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살펴본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방안
본문내용
별 비율을 다시 살펴보면, 언어폭력 다음으로 신체폭력(14.8%), 집단따돌림(13.3%), 사이버폭력(9.6%) 순서로 학교폭력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 중 사이버폭력(사이버불링)은 코로나-19로 원격비대면 교육이 확대 시행되었던 ’20년 1차 조사 시에는 12.3%로 그 전년 대비 3.4%P 크게 증가했던 것에 비해, 올해는 9.6%로 다소 감소한 듯 보이나, 전체 학교폭력에서는 여전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코로나-19 등과 같은 국가 재난상황이 아니더라도 온라인에서의 활동이 늘어나고 있는 오늘날, 특히 디지털기기의 사용이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사이버폭력은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한국방송통신위원회의 2021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조사 대상 청소년 중 23.4%가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유형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언어폭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리적 공간에서의 학교폭력이 그 형태만 바뀌었을 뿐, 사이버공간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는 뜻이며, 이는 결국 물리적폭력이 사이버폭력으로, 반대로 사이버폭력이 물리적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는 학교폭력의 예방 및 감소방안으로 사이버폭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학생 스스로가 사이버폭력 피해자가 되어 체험해보는 ‘사이버폭력 체험앱(사이버폭력 백신)’을 사용해 보는 것은 학생들의 사이버윤리 의식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 각 학교 단위로 시행되는 학생 교육 시 관련 교과 수업 - [표 3]의 2015 교육과정 중 중학교 도덕 과목과 정보 과목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통신윤리 및 사이버윤리 교육내용 참조 - 과 연계하는 것도 그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목
영역
핵심가치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성취기준
도덕
타인과의 배려
배려
가정이웃학교및 온라인 공간에서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가 필요하고,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가정에서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가정윤리)
참된 우정이란 무엇인가? (우정)
성(性)의 도덕적 의미는 무엇인가? (성윤리)
이웃에 대한 바람직한 자세는 무엇인가? (이웃생활)
정보화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가? (정보통신윤리)
평화적 갈등 해결은 어떻게 가능한가? (평화적 갈등 해결)
폭력의 문제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 (폭력의 문제)
[9도02-05]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도덕적 자세와 책임의 도덕적 근거와 이유를 제시하고, 타인 존중의 태도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할수 있다.
①정보화 시대에 발생하는 도덕 문제에는 무엇이 있을까?
②정보화 시대에 도덕적 책임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③정보 통신 매체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 어떠한 태도가 필요할까?
정보
정보문화
정보윤리
정보윤리는 정보사회에서 구성원이 지켜야 하는 올바른 가치관과 행동 양식이다.
개인정보와 저작권 보호
사이버 윤리
[9정01-03]정보사회에서 개인이 지켜야 하는 사이버 윤리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사이버 폭력 방지와 게임인터넷스마트폰중독의 예방법을 실천한다.
종합하자면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를 위해 정부는 현재 5년 단위로 수립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을 3년 주기로 단축하고, 이를 필두로 각 학교에서는 시행계획을 성실히 수행해야 할 것이며, 또한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에 대한 예방대책을 우선으로, 피해유형별로는 언어폭력과 사이버폭력(사이버불링)을 우선으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참고문헌]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홍경선, 공동체, 2022.3.)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교육부, 2022.9.)
2021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방송통신위원회, 2021.1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9.23.)
[참고사이트]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ncic.re.kr/)
Google Trends(https://trends.google.co.kr/)
Google Play(https://play.google.com/)
코로나-19 등과 같은 국가 재난상황이 아니더라도 온라인에서의 활동이 늘어나고 있는 오늘날, 특히 디지털기기의 사용이 익숙한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사이버폭력은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
한국방송통신위원회의 2021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조사 대상 청소년 중 23.4%가 피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유형도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언어폭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 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리적 공간에서의 학교폭력이 그 형태만 바뀌었을 뿐, 사이버공간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는 뜻이며, 이는 결국 물리적폭력이 사이버폭력으로, 반대로 사이버폭력이 물리적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우리는 학교폭력의 예방 및 감소방안으로 사이버폭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학생 스스로가 사이버폭력 피해자가 되어 체험해보는 ‘사이버폭력 체험앱(사이버폭력 백신)’을 사용해 보는 것은 학생들의 사이버윤리 의식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해 각 학교 단위로 시행되는 학생 교육 시 관련 교과 수업 - [표 3]의 2015 교육과정 중 중학교 도덕 과목과 정보 과목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통신윤리 및 사이버윤리 교육내용 참조 - 과 연계하는 것도 그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목
영역
핵심가치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성취기준
도덕
타인과의 배려
배려
가정이웃학교및 온라인 공간에서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가 필요하고,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가정에서의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가정윤리)
참된 우정이란 무엇인가? (우정)
성(性)의 도덕적 의미는 무엇인가? (성윤리)
이웃에 대한 바람직한 자세는 무엇인가? (이웃생활)
정보화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가? (정보통신윤리)
평화적 갈등 해결은 어떻게 가능한가? (평화적 갈등 해결)
폭력의 문제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 (폭력의 문제)
[9도02-05]정보화 시대에 요구되는 도덕적 자세와 책임의 도덕적 근거와 이유를 제시하고, 타인 존중의 태도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할수 있다.
①정보화 시대에 발생하는 도덕 문제에는 무엇이 있을까?
②정보화 시대에 도덕적 책임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③정보 통신 매체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 어떠한 태도가 필요할까?
정보
정보문화
정보윤리
정보윤리는 정보사회에서 구성원이 지켜야 하는 올바른 가치관과 행동 양식이다.
개인정보와 저작권 보호
사이버 윤리
[9정01-03]정보사회에서 개인이 지켜야 하는 사이버 윤리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사이버 폭력 방지와 게임인터넷스마트폰중독의 예방법을 실천한다.
종합하자면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를 위해 정부는 현재 5년 단위로 수립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을 3년 주기로 단축하고, 이를 필두로 각 학교에서는 시행계획을 성실히 수행해야 할 것이며, 또한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에 대한 예방대책을 우선으로, 피해유형별로는 언어폭력과 사이버폭력(사이버불링)을 우선으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참고문헌]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홍경선, 공동체, 2022.3.)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교육부, 2022.9.)
2021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보고서(방송통신위원회, 2021.1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015.9.23.)
[참고사이트]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ncic.re.kr/)
Google Trends(https://trends.google.co.kr/)
Google Play(https://play.google.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