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출대금의 결제]
1. 신용장 방식에 의한 결제
2. D/A ․ D/P방식에 의한 결제
* 참고문헌
1. 신용장 방식에 의한 결제
2. D/A ․ D/P방식에 의한 결제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금을 즉시 지급하는 조건의 신용장이며, 수출업자는 환어음을 일람불(at sight)조건으로 발행한다. 따라서 환어음상의 지급인은 이 환어음을 일람하는 즉시 지급해야 한다.
기한부신용장은 수입업자가 상품의 대금을 일정기간 후에 지급하는 조건의 신용장이다. 즉, 수입업자가 외상으로 수입할 경우 기한부신용장이 이용된다. 따라서 수출업자는 환어음을 발행할 때, 매매계약에서 약정된 기간 후에 지급을 받을 수 있는 기한부어음을 발행하게 된다.
기한부어음에서는 약정된 일정기간(환어음상의 용어로는 만기일) 후에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지급인의 서명행위 즉 인수(acceptance)가 따르며, 그러한 인수를 행한 은행을 인수은행이라 한다.
6/ 양도가능신용장(Transferable Credit)
양도가능신용장은 수익자가 신용장의 금액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제2의 수익자에게 양도할 수 있는 신용장을 의미하는데 반드시 신용장상에 \"transferable\"이라는 문구가 기재되어야 한다. 이런 표시가 없는 신용장은 양도불능신용장이다.
양도가능신용장에 의한 양도는 달리 합의된 사항이 없으며 1회에 한하여 양도될 수 있다. 신용장의 내용은 변경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는 수입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수입업자에게 지장을 주지 않는 신용장 금액 또는 단가의 감액, 선적기일 또는 유효기일의 단축, 보험금액의 증액은 가능하다.
2. D/A D/P방식에 의한 결제
(1) D/A D/P의 개념
이 방식의 거래는 은행의 지급확약 없이 당사자들간의 매매계약에 의해서 수출업자가 어음을 발행하여 수입업자로부터 수출대금을 추심하는 결제방식이며 운송서류의 인도조건에 따라 지급도조건과 인수도조건으로 구분된다.
1/ 인수도조건(Documents against Acceptance: D/A)
인수도조건은 수입업자가 환어음에 대한 서명(인수)만으로 운송서류를 찾아갈 수 있는 조건이다. 즉 이 조건에서는 수출업자가 기한부어음을 발행하고 수입업자는 어음에 대한 지급의 약속으로 서명날인만 함으로써 운송서류를 인도받을 수 있으며 만기일에 수입대금을 추심은행에 지급한다.
따라서 인수도조건은 기한부 거래에 해당되며 수입업자는 인도받은 운송 서류로 화물을 찾아 판매하여 그 대금으로 어음기일 내에 결제하면 된다. 수출업자는 만기일 후 수출대금을 추심은행을 통해서 지급받는다.
2/ 지급도조건(Documents against Payment: D/P)
지급도조건은 수출대금의 지급과 상환하여 운송서류를 수입업자에게 인도하는 조건이다. 지급도조건은 수출업자가 매매계약에 따라서 선적을 완료한 후 일람불어음을 발행하여 운송서류와 함께 수입업자의 거래은행(추심은행)으로 하여금 수출대금의 추심을 의뢰하면 추심은행은 수입업자에게 어음을 제시하여 어음금액의 일람지급을 받고 운송서류를 인도하는 방식을 말한다.
(2) 추심 과정
환어음의 추심 과정을 살펴보면 <그림>와 같다.
1/ 무역계약의 체결 : 수출업자와 수입업자는 무역계약을 체결하면서 대금 결제방법은 D/A 또는 D/P 조건으로 하기로 한다.
2/ 계약물품의 선적과 선하증권의 입수 : 수출업자는 수입업자의 선적지시에 따라 계약물품을 선적하고 선박회사로부터 선하증권을 교부받는다(이는 계약물품을 해상운송할 경우를 말한다).
3/ 환어음의 추심 의뢰 : 수출업자는 계약에서 약정된 운송서류와 환어음을 발행하여 거래은행(추심의뢰은행)으로 하여금 수입업자로부터 수출대금을 추심해 줄 것을 요청한다.
4/ 추심의뢰은행의 서류 송부 : 추심의뢰은행은 아무런 책임 없이 수입업자가 위치하는 곳에 있는 은행(추심은행) 앞으로 운송서류와 환어음을 보내어 추심을 의뢰한다.
5/ 추심 통지 : 추심은행은 수입업자에게 운송서류와 환어음이 도착한 사실을 통지한다.
6/ 추심 완료 및 수출대금의 상환 : 지급인인 수입업자는 매매계약서에서 만약 수입대금을 즉시 지급할 것으로 약정하였다면 이를 지급하고 운송서류를 입수한다. 그러나 수입대금을 일정기간 후에 지급할 것으론 약정하였다면, 일정기간(만기일) 후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서명행위(인수)와 상환으로 운송서류를 입수해 간다.
7/ 계약물품의 입수 : 수입업자는 추심은행으로부터 입수한 운송서류 중선하증권을 가지고서 계약물품을 찾는다.
<그림> D/A D/P에 의한 결제과정
(3) D/A - D/P 거래의 당사자
1/ 추심의뢰인(Principal)
추심의뢰인은 거래은행에 수출대금의 추심을 의뢰하는 수출업자를 말한다. 수출업자는 추심을 의뢰하면서 환어음을 발행하기 때문에 발행인이며 또한 수입업자에 대해서 채권을 주장할 수 있는 채권자이기도 하다.
2/ 추심의뢰은행(Remitting Bank)
추심의뢰은행은 수출업자로부터 추심을 의뢰받은 수출국에 있는 은행을 말한다. 이 은행은 수출업자가 제시한 환어음과 운송서류를 수입업자가 위치하는 추심은행 앞으로 보내어 수출대금의 추심을 의뢰한다.
3/ 추심은행(Collecting Bank)
추심은행은 추심의뢰은행으로부터 송부되어 온 운송서류와 추심지시서를 수입업자에게 제시하여 수입대금을 징수하는 은행을 말한다. 특히 수입업자에게 직접 운송서류를 제시하는 추심은행을 제시은행이라고 한다.
4/ 지급인(Drawee)
지급인은 수입업자를 말한다. 수입업자는 추심지시서에 따라 어음의 제시를 받게 되며 채무자로서 수출업자가 발행한 환어음에 대해서 지급할 의무가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기한부신용장은 수입업자가 상품의 대금을 일정기간 후에 지급하는 조건의 신용장이다. 즉, 수입업자가 외상으로 수입할 경우 기한부신용장이 이용된다. 따라서 수출업자는 환어음을 발행할 때, 매매계약에서 약정된 기간 후에 지급을 받을 수 있는 기한부어음을 발행하게 된다.
기한부어음에서는 약정된 일정기간(환어음상의 용어로는 만기일) 후에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지급인의 서명행위 즉 인수(acceptance)가 따르며, 그러한 인수를 행한 은행을 인수은행이라 한다.
6/ 양도가능신용장(Transferable Credit)
양도가능신용장은 수익자가 신용장의 금액의 전부 또는 그 일부를 제2의 수익자에게 양도할 수 있는 신용장을 의미하는데 반드시 신용장상에 \"transferable\"이라는 문구가 기재되어야 한다. 이런 표시가 없는 신용장은 양도불능신용장이다.
양도가능신용장에 의한 양도는 달리 합의된 사항이 없으며 1회에 한하여 양도될 수 있다. 신용장의 내용은 변경되어서는 안되는데 이는 수입업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수입업자에게 지장을 주지 않는 신용장 금액 또는 단가의 감액, 선적기일 또는 유효기일의 단축, 보험금액의 증액은 가능하다.
2. D/A D/P방식에 의한 결제
(1) D/A D/P의 개념
이 방식의 거래는 은행의 지급확약 없이 당사자들간의 매매계약에 의해서 수출업자가 어음을 발행하여 수입업자로부터 수출대금을 추심하는 결제방식이며 운송서류의 인도조건에 따라 지급도조건과 인수도조건으로 구분된다.
1/ 인수도조건(Documents against Acceptance: D/A)
인수도조건은 수입업자가 환어음에 대한 서명(인수)만으로 운송서류를 찾아갈 수 있는 조건이다. 즉 이 조건에서는 수출업자가 기한부어음을 발행하고 수입업자는 어음에 대한 지급의 약속으로 서명날인만 함으로써 운송서류를 인도받을 수 있으며 만기일에 수입대금을 추심은행에 지급한다.
따라서 인수도조건은 기한부 거래에 해당되며 수입업자는 인도받은 운송 서류로 화물을 찾아 판매하여 그 대금으로 어음기일 내에 결제하면 된다. 수출업자는 만기일 후 수출대금을 추심은행을 통해서 지급받는다.
2/ 지급도조건(Documents against Payment: D/P)
지급도조건은 수출대금의 지급과 상환하여 운송서류를 수입업자에게 인도하는 조건이다. 지급도조건은 수출업자가 매매계약에 따라서 선적을 완료한 후 일람불어음을 발행하여 운송서류와 함께 수입업자의 거래은행(추심은행)으로 하여금 수출대금의 추심을 의뢰하면 추심은행은 수입업자에게 어음을 제시하여 어음금액의 일람지급을 받고 운송서류를 인도하는 방식을 말한다.
(2) 추심 과정
환어음의 추심 과정을 살펴보면 <그림>와 같다.
1/ 무역계약의 체결 : 수출업자와 수입업자는 무역계약을 체결하면서 대금 결제방법은 D/A 또는 D/P 조건으로 하기로 한다.
2/ 계약물품의 선적과 선하증권의 입수 : 수출업자는 수입업자의 선적지시에 따라 계약물품을 선적하고 선박회사로부터 선하증권을 교부받는다(이는 계약물품을 해상운송할 경우를 말한다).
3/ 환어음의 추심 의뢰 : 수출업자는 계약에서 약정된 운송서류와 환어음을 발행하여 거래은행(추심의뢰은행)으로 하여금 수입업자로부터 수출대금을 추심해 줄 것을 요청한다.
4/ 추심의뢰은행의 서류 송부 : 추심의뢰은행은 아무런 책임 없이 수입업자가 위치하는 곳에 있는 은행(추심은행) 앞으로 운송서류와 환어음을 보내어 추심을 의뢰한다.
5/ 추심 통지 : 추심은행은 수입업자에게 운송서류와 환어음이 도착한 사실을 통지한다.
6/ 추심 완료 및 수출대금의 상환 : 지급인인 수입업자는 매매계약서에서 만약 수입대금을 즉시 지급할 것으로 약정하였다면 이를 지급하고 운송서류를 입수한다. 그러나 수입대금을 일정기간 후에 지급할 것으론 약정하였다면, 일정기간(만기일) 후 대금을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서명행위(인수)와 상환으로 운송서류를 입수해 간다.
7/ 계약물품의 입수 : 수입업자는 추심은행으로부터 입수한 운송서류 중선하증권을 가지고서 계약물품을 찾는다.
<그림> D/A D/P에 의한 결제과정
(3) D/A - D/P 거래의 당사자
1/ 추심의뢰인(Principal)
추심의뢰인은 거래은행에 수출대금의 추심을 의뢰하는 수출업자를 말한다. 수출업자는 추심을 의뢰하면서 환어음을 발행하기 때문에 발행인이며 또한 수입업자에 대해서 채권을 주장할 수 있는 채권자이기도 하다.
2/ 추심의뢰은행(Remitting Bank)
추심의뢰은행은 수출업자로부터 추심을 의뢰받은 수출국에 있는 은행을 말한다. 이 은행은 수출업자가 제시한 환어음과 운송서류를 수입업자가 위치하는 추심은행 앞으로 보내어 수출대금의 추심을 의뢰한다.
3/ 추심은행(Collecting Bank)
추심은행은 추심의뢰은행으로부터 송부되어 온 운송서류와 추심지시서를 수입업자에게 제시하여 수입대금을 징수하는 은행을 말한다. 특히 수입업자에게 직접 운송서류를 제시하는 추심은행을 제시은행이라고 한다.
4/ 지급인(Drawee)
지급인은 수입업자를 말한다. 수입업자는 추심지시서에 따라 어음의 제시를 받게 되며 채무자로서 수출업자가 발행한 환어음에 대해서 지급할 의무가 있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조직문화가 전략을 살린다 : 안근용, 조원규 외 1명 저 / 플랜비디자인 / 2019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추천자료
국제가격결정시 독특한 문제를 논함
연계무역에 관한 고찰
무역창업업무부터 사후관리까지
관세의 경제적 효과와 비관세정책
[방통대] 무역법규(공통) - 수출입거래의 유형 중에서, 위탁가공무역에 대해 실제 case를 제...
[무역학개론] 전자무역의 발달과 이에 따른 무역대금결제의 방식
무역경영 - 무역계약의 기본조건,품질조건(terms of quality)
무역학개론 족보/요약/정리
무역학개론의 해외시장마케팅, 수출제품개발조건, 해외시장조사역할,무역대금 결제방식, 무역...
2021년 무역학개론-신용장(L,C)거래의 당사자들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일반적인 신용장의 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