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학 실험 결과보고서 Cell harvest & Protein sampling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이러스학 실험 결과보고서 Cell harvest & Protein sampl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itle

2. Objective

3. Method
1) Cell harvest
2) Protein sampling

4. Result

5. Discussion
1) SDS(sodium dodecy sulfate)
2) lysis buffer
3) Bradford 시약

6. References

본문내용

etergent이다. 즉, 약한 계면활성제로써 작용하며 인지질로 이루어진 세포막을 분해 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만 non-ionic detergent는 약한 detergent에 속해서 세포막을 깨는 능력은 약하지만 protein complex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한 lysis buffer에서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non-ionic detergent만으로 핵막까지 lysis하기에는 부족한 감이 있다. 따라서, 강한 detergent 들이 추가된다.
- Protease inhibitor cocktail : 단백질을 분해하는 protease의 기능을 억제하여 세포막과 핵막의 lysis를 통해서 나온 단백질들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 NaCl : 염으로써 작용하여 단백질의 안정성에 기여한다.
3) Bradford 시약
Bradford시약에는 Coomassie G250 dye가 있는데 산성조건에서 단백질은 Coomassie dye에 결합하는데 이 결과로 붉은색(465nm에서 최대흡광)이던 dye는 푸른색(610nm에서 최대흡광)으로 스펙트럼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두 가지 form의 차이는 595nm에서 최대가 되는데, 따라서 이 파장이 Coomassie dye-protein complex의 blue form을 측정하는데 최적 파장이 된다. 단백질의 양에 따라 색의 변화가 달라지므로 단백질 정량에 사용된다.
6. References
- 남상욱 외 2인/ 유전공학의 이해/ 라이프 사이언스/ p. 192
- https://bio-chae.com/ripa-lysis-buffer/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1.05
  • 저작시기202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2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