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심리] 인간행동의 유전적, 환경적 관점과 공존가능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심리] 인간행동의 유전적, 환경적 관점과 공존가능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인간 행동 연구목적과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1. 유전적 관점
2. 환경적 관점
3. 두 관점의 공존가능성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전적으로 비만이나 당뇨, 고혈압을 갖고 태어난 사람이라도 식습관이나 생활 패턴을 잘 관리하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아동기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있어서도 예민하거나 화를 잘 내는 유전적인 영향의 기질을 갖고 있는 아동도 성인으로 성장 하면서 올바른 가정환경과 주변 환경으로 인해 이러한 기질적 특성도 환경에 의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만약 폭력적인 범죄자의 유전자를 물려받고 태어난 아기가 그 부모 밑에서 성장을 한다면 그 부모의 유전자와 환경적인 요인이 계속 이어지므로 아이는 폭력적인 범죄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폭력적인 범죄자의 유전자를 갖고 태어났다 해도 아이가 다른 곳으로 입양되어 인성이 좋은 부모 밑에서 성장을 하고 꾸준히 좋은 환경적인 영향을 받아 학습을 받는다면 인성이 좋은 성실한 아이로 자랄 수 있게 된다. 인간의 본성이 완전히 변화하지는 않지만 학습을 통해서 어느 정도 변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본성은 처음에는 비슷하지만 교육과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성은 양육을 압도하지 않고, 양육과 경쟁하지도 않는다. 둘은 본성 대 양육의 경쟁을 벌이는 라이벌이 아니다.” 매트리 리들리, 김한영 역,『본성과 양육』, 김영사, 2004, P. 139.
라고 한다.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은 한 개인이 접한 경험에 따라 좋은 방향이나, 나쁜 방향으로 진행 될 수 있다 양육하는 것도 유전만큼이나 중요 하다는 사실은 많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서 입증 되었다. 유전과 환경은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공존해 가능하다. 천성인가, 양육인가 하는 것을 따지기 보다는 두 가지를 잘 상호작용 하여 보다 나은 발달을 할 수 있도록 깊이 생각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매트 리들리, 김한영 역, 『본성과 양육 』, 김영사, 2004
David R. Shaffer, 송길연, 김수정, 이지연, 양동규 역, 『발달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0.
프랭크 설로웨이, 정병성 역, 『타고난 반항아』, 사이언스 북스 , 2008.
이순형, 성미애, 『인간발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문화원, 1982.
스티븐 핑거, 김한영 역, 『빈 서판』, 사이언스 북스, 2002.
최경숙, 『아동발달심리학』, 교문사, 2005.
이순묵, 도경수, 한규석, 최윤경, 『인간과 심리』,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로버트 라이트, 박지영 역, 『도덕적 동물』, 사이언스 북스, 2003.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1.19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3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