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 증상
4. 진단적 검사와 치료
5.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Ⅲ. 사례연구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Ⅳ. 결론(소감 및 자기성찰)
Ⅴ참고문헌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 증상
4. 진단적 검사와 치료
5.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Ⅲ. 사례연구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Ⅳ. 결론(소감 및 자기성찰)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3/19 09: 30
9. 대상자의 경구, 비경구 주입약물(Format)
약명
용량과 용법/투여경로
투약목적
부작용 및 주의사항
Ibandronate
(이반드론산주)
3mg/3mon
IV (15-30 sec)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이 약은 정맥 내로 투여되어야 하며, 동맥 내 또는 정맥주위에 투여 시 조직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ethidine
(염산페치딘주)
1 amp/PRN/IV
수술 후 통증의 완화, 진정
호흡억제, 어지러움, 발적, 가려움 등
cefazolin(세파졸린 주 [1g])
0.5g/BID/IV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폐렴연쇄구균, 클레브시엘라, 인플루엔자균, 포도구균,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박터, 연쇄구균, 장내구균)
구역, 구토, 설사, 식욕부진, 근육 주사부위 발적 및 통증, 발진, 가려움
Mosarin Tab
(모사린정)
1tab/BID/PO
위장관 운동을 촉진, 소화불량, 오심, 구토, 복부팽만감에 사용
설사, 권태감, 입마름, 어지러움
Dicamax Tab
(디카맥스정)
1tab/QD/PO
칼슘과 비타민 D의 보급제
변비, 구역, 구토, 설사, 입마름, 얼굴 달아오름, 심박동 불규칙, 피부발진, 두통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간호진단 우선순위
간호진단 1)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진단 2) 골밀도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간호진단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날짜: 2022 년 03 월 24 일
간호진단 1) 골밀도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살짝 부딪혔는데 이래 될 줄 누가 알았겠노 ”
객관적 자료
2020년 3월 10일 본원에서 골감소증(BMD 2.3) 진단
2. 골밀도검사(BMD test) 결과(22년 3월 19일): -2.5
3. 2022년 3월 19일: 골다공증 재진단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신체 부위 손상 및 골절이 발행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금연을 시작한다.
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식이, 생활습관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처방에 따라 칼슘과 비타민D 보조제를 투약한다.
4. 주치의 처방에 따라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투약한다.
<교육적 계획>
5. 낙상예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6. 골밀도 증가를 위한 적절한 식이, 금주, 금연에 대해 교육하였다.
이
론
적
근
거
1. 골다공증은 치료보다 예방이 용이하다. 식이, 약물복용, 운동, 낙상과 골절예방이 치료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이다.
2. 골다공증의 가장 흔하면서도 심각한 합병증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다.
3. 골밀도 증진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 D와 칼슘은 많은 환자에서 식사만으로는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보조제로서의 보충이 요구된다.
4.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강력한 골흡수 억제제로서 현재 골다공증의 치료 목적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다.
5. 골다공증의 가장 흔하면서도 심각한 합병증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다
6. 골다공증은 치료보다 예방이 용이하다.
수행
1. 대상자의 식이, 생활습관을 사정하였다.
평소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하며, 음주 주2회 소주 1병 이상, 흡연 1갑/3일, 운동을 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사정하였다.
- Morse: 3/19일 95점, 3/21 80점으로 고위험에 해당
3. 처방에 따라 칼슘과 비타민D 보조제를 투약한다.
처방에 따라 DicamaxTab #1 QD/PO 투약하였다.
4. 처방에 따라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투약한다.
- 처방에 따라 이반드론산주 IV로 15-30 sec 동안 투약하였으며 3개월에 한번 씩 주사를 맞으러 와야 함을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알리고 예약알림서비스를 신청하도록 하였다.
5. 낙상 예방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침상 난관을 항상 올릴 것을 교육하고, 병실에 드나들 때 마다 난관을 올려주었다.
미끄럼방지가 된, 푹신하고 딱 맞는 신발을 구매해 신을 것을 교육하였다.
병실에서 생활하는 동안 침상 주위에 가까운 물건을 둘 것을 권장하였다.
야간등을 취침 시에도 켜놓을 것을 교육하였다.
가정 내 낙상예방 안내책자를 제공하였다.
6. 골밀도 증가를 위한 적절한 식이, 금주, 금연, 운동에 대해 교육하였다.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식이에 대해 교육하였다.
금주와 금연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실천할 것을 권장하였다.
체중부하운동에는 걷기, 조깅, 태극권, 계단 오르기 등이 있음을 교육하고, 야외에서 실천히하면 골절예방에 좋은 비타민D도 얻는 것이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신체 부위 손상 및 골절이 발행하지 않는다. (목표미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금연을 시작한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3/23일 금연을 시작하였다.
Ⅳ. 결론(소감 및 자기성찰)
나이가 들면 당연히 뼈가 약해지고, 그러다 넘어져서 골절이 생기는 것이라 막연히 생각하였다. 그래서 골다공증이란 케이스를 잡았을 주제를 잘못잡았나, 그냥 일반 골절로 바꿔 새로 해야하나라는 생각도 많이 했었다. 교과서에서도 많은 정보가 나와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이왕 시작한 주제라 많은 자료를 찾아보게 되고, 골다공증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그리고 골다공증으로 인해 발생한 골절이 일반 골절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한 달 후 다시 케이스를 시작하게 될 텐데 이번의 실습을 바탕으로 더 발전해 있었으면 좋겠다.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현문사/박은영 외
의약품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
202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의 진료지침 한국골다공증학회 2021
질병관리청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논문 참조: 골절 후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및 낙상 예방, 오형근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31, No. 4, October 2018
9. 대상자의 경구, 비경구 주입약물(Format)
약명
용량과 용법/투여경로
투약목적
부작용 및 주의사항
Ibandronate
(이반드론산주)
3mg/3mon
IV (15-30 sec)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이 약은 정맥 내로 투여되어야 하며, 동맥 내 또는 정맥주위에 투여 시 조직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Pethidine
(염산페치딘주)
1 amp/PRN/IV
수술 후 통증의 완화, 진정
호흡억제, 어지러움, 발적, 가려움 등
cefazolin(세파졸린 주 [1g])
0.5g/BID/IV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폐렴연쇄구균, 클레브시엘라, 인플루엔자균, 포도구균,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박터, 연쇄구균, 장내구균)
구역, 구토, 설사, 식욕부진, 근육 주사부위 발적 및 통증, 발진, 가려움
Mosarin Tab
(모사린정)
1tab/BID/PO
위장관 운동을 촉진, 소화불량, 오심, 구토, 복부팽만감에 사용
설사, 권태감, 입마름, 어지러움
Dicamax Tab
(디카맥스정)
1tab/QD/PO
칼슘과 비타민 D의 보급제
변비, 구역, 구토, 설사, 입마름, 얼굴 달아오름, 심박동 불규칙, 피부발진, 두통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간호진단 우선순위
간호진단 1)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진단 2) 골밀도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간호진단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대처
날짜: 2022 년 03 월 24 일
간호진단 1) 골밀도저하와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살짝 부딪혔는데 이래 될 줄 누가 알았겠노 ”
객관적 자료
2020년 3월 10일 본원에서 골감소증(BMD 2.3) 진단
2. 골밀도검사(BMD test) 결과(22년 3월 19일): -2.5
3. 2022년 3월 19일: 골다공증 재진단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신체 부위 손상 및 골절이 발행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금연을 시작한다.
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식이, 생활습관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3. 처방에 따라 칼슘과 비타민D 보조제를 투약한다.
4. 주치의 처방에 따라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투약한다.
<교육적 계획>
5. 낙상예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6. 골밀도 증가를 위한 적절한 식이, 금주, 금연에 대해 교육하였다.
이
론
적
근
거
1. 골다공증은 치료보다 예방이 용이하다. 식이, 약물복용, 운동, 낙상과 골절예방이 치료의 가장 근본적인 요소이다.
2. 골다공증의 가장 흔하면서도 심각한 합병증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다.
3. 골밀도 증진에 도움을 주는 비타민 D와 칼슘은 많은 환자에서 식사만으로는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보조제로서의 보충이 요구된다.
4.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강력한 골흡수 억제제로서 현재 골다공증의 치료 목적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다.
5. 골다공증의 가장 흔하면서도 심각한 합병증은 낙상으로 인한 골절이다
6. 골다공증은 치료보다 예방이 용이하다.
수행
1. 대상자의 식이, 생활습관을 사정하였다.
평소 맵고 짠 음식을 좋아하며, 음주 주2회 소주 1병 이상, 흡연 1갑/3일, 운동을 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2.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사정하였다.
- Morse: 3/19일 95점, 3/21 80점으로 고위험에 해당
3. 처방에 따라 칼슘과 비타민D 보조제를 투약한다.
처방에 따라 DicamaxTab #1 QD/PO 투약하였다.
4. 처방에 따라 골다공증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를 투약한다.
- 처방에 따라 이반드론산주 IV로 15-30 sec 동안 투약하였으며 3개월에 한번 씩 주사를 맞으러 와야 함을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알리고 예약알림서비스를 신청하도록 하였다.
5. 낙상 예방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침상 난관을 항상 올릴 것을 교육하고, 병실에 드나들 때 마다 난관을 올려주었다.
미끄럼방지가 된, 푹신하고 딱 맞는 신발을 구매해 신을 것을 교육하였다.
병실에서 생활하는 동안 침상 주위에 가까운 물건을 둘 것을 권장하였다.
야간등을 취침 시에도 켜놓을 것을 교육하였다.
가정 내 낙상예방 안내책자를 제공하였다.
6. 골밀도 증가를 위한 적절한 식이, 금주, 금연, 운동에 대해 교육하였다.
칼슘과 단백질이 풍부한 식이에 대해 교육하였다.
금주와 금연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고, 실천할 것을 권장하였다.
체중부하운동에는 걷기, 조깅, 태극권, 계단 오르기 등이 있음을 교육하고, 야외에서 실천히하면 골절예방에 좋은 비타민D도 얻는 것이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신체 부위 손상 및 골절이 발행하지 않는다. (목표미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 금연을 시작한다. (목표달성)
대상자는 3/23일 금연을 시작하였다.
Ⅳ. 결론(소감 및 자기성찰)
나이가 들면 당연히 뼈가 약해지고, 그러다 넘어져서 골절이 생기는 것이라 막연히 생각하였다. 그래서 골다공증이란 케이스를 잡았을 주제를 잘못잡았나, 그냥 일반 골절로 바꿔 새로 해야하나라는 생각도 많이 했었다. 교과서에서도 많은 정보가 나와 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이왕 시작한 주제라 많은 자료를 찾아보게 되고, 골다공증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 그리고 골다공증으로 인해 발생한 골절이 일반 골절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한 달 후 다시 케이스를 시작하게 될 텐데 이번의 실습을 바탕으로 더 발전해 있었으면 좋겠다.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현문사/박은영 외
의약품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
202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의 진료지침 한국골다공증학회 2021
질병관리청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논문 참조: 골절 후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및 낙상 예방, 오형근
Journal of the Korean Fracture Society Vol. 31, No. 4, October 2018
추천자료
일반외과 담석 케이스 (A+)
( A+ ) 협심증 케이스 스터디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정신분열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미숙아 (Premature infant)
[케이스스터디]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협심증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천식, 당뇨병 케이스...
자궁근종, 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CaseStudy), 동맥경화, 폐쇄성죽상동맥경화증 케이스스터디...
[케이스스터디][제왕절개]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CaseStudy), 자궁경관무력증 케이스스터디(C...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