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호라즘 왕국 초기
3. 아누쉬테긴 왕조
4. 독립왕조로서 호라즘
5. 권력승계 다툼과 영토확장
6. 호라즘 왕국의 멸망
2. 호라즘 왕국 초기
3. 아누쉬테긴 왕조
4. 독립왕조로서 호라즘
5. 권력승계 다툼과 영토확장
6. 호라즘 왕국의 멸망
본문내용
요의 군사 지원을 받아 술탄 샤 침공
- 술탄 샤는 호라산 지역을 버리고 도망
→ 호라산 지역에 남아 있던 셀주크 제국 잔당과 고르 왕조의 지원을 받아 테키쉬와 수차례 전쟁을 벌였으나 실패
→ 호라산 근방에 독자 세력을 구축하는 데에 그침
ㆍ1193년, 술탄 샤 사망 이후, 테키쉬는 약해진 술탄 샤의 세력 흡수
- 호라산 일대 정복
ㆍ1194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파 알 나시르와 함께 셀주크 투으룰 3세 공격
- 투으룰 3세 처형
- 이란 서부지역까지 진출
6. 호라즘 왕국의 멸망
ㆍ짧은 기간 내에 넓은 영토 차지 → 점령지 내부의 단결을 꾀하지 못함
- 외형만 거대한 국가였지, 내부의 결속력이 없었음
- 각지 수많은 반대 세력이 존재하여 국가 존립을 위협
하는 수준에 달했음
ㆍ시베리아 지역에서 발원한 몽골제국의 세력 확장
- 서요 멸망, 몽골제국과 국경을 접하게 됨
ㆍ몽골제국의 칭기즈 칸
- 호라즘 제국과 친교를 맺고자 3명의 사신을 보냄
→ 사신의 수염을 밀어 돌려보냄
- 몽골제국으로부터 재차 파견된 사신 참수
→ 분노한 칭기즈 칸의 침공
→ 당시 호라즘의 수도인 사마르칸트와 부하라, 발흐, 마르브, 니샤푸르 등의 대도시가 함락되며 호라즘 왕국의 멸망
- 술탄 샤는 호라산 지역을 버리고 도망
→ 호라산 지역에 남아 있던 셀주크 제국 잔당과 고르 왕조의 지원을 받아 테키쉬와 수차례 전쟁을 벌였으나 실패
→ 호라산 근방에 독자 세력을 구축하는 데에 그침
ㆍ1193년, 술탄 샤 사망 이후, 테키쉬는 약해진 술탄 샤의 세력 흡수
- 호라산 일대 정복
ㆍ1194년, 아바스 왕조의 칼리파 알 나시르와 함께 셀주크 투으룰 3세 공격
- 투으룰 3세 처형
- 이란 서부지역까지 진출
6. 호라즘 왕국의 멸망
ㆍ짧은 기간 내에 넓은 영토 차지 → 점령지 내부의 단결을 꾀하지 못함
- 외형만 거대한 국가였지, 내부의 결속력이 없었음
- 각지 수많은 반대 세력이 존재하여 국가 존립을 위협
하는 수준에 달했음
ㆍ시베리아 지역에서 발원한 몽골제국의 세력 확장
- 서요 멸망, 몽골제국과 국경을 접하게 됨
ㆍ몽골제국의 칭기즈 칸
- 호라즘 제국과 친교를 맺고자 3명의 사신을 보냄
→ 사신의 수염을 밀어 돌려보냄
- 몽골제국으로부터 재차 파견된 사신 참수
→ 분노한 칭기즈 칸의 침공
→ 당시 호라즘의 수도인 사마르칸트와 부하라, 발흐, 마르브, 니샤푸르 등의 대도시가 함락되며 호라즘 왕국의 멸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