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균일한 외부 자기장 내 도체 전류고리의 접근
2. 유도 기전력의 크기
3. 유도 전류의 크기
4. 일률과 열에너지의 비교
5. 소용돌이 전류
2. 유도 기전력의 크기
3. 유도 전류의 크기
4. 일률과 열에너지의 비교
5. 소용돌이 전류
본문내용
너지 방출률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는 자기장 내 전류고리를 당길 때 한 일이 모두 전류고리에서 열에너지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5. 소용돌이 전류
[그림 1]에서 전류고리를 [그림 3]과 같이 도체 판으로 바꾸었다고 가정하자. 마찬가지로 전류고리를 당겼던 것처럼 도체 판을 잡아당길 때 자기장과 도체 판 사이의 상대 운동은 다시 도체 판 내에 전류를 유도한다. 마찬가지로 유도 전류 때문에 반대 방향의 힘이 나타나므로 일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도체 판 내에서 유도 전류를 구성하는 전도전자는 전류고리처럼 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 마치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전자는 도체 판 내에서 요동친다. 이런 전류를 소용돌이 전류라고 하며 이때 도체 판이 자기장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마다 역학 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된다. 몇 번의 진동 후에는 도체 판의 역학 에너지가 소진되며 열에너지로 데워진 도체 판은 결국 정지하고 말 것이다. [그림 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도체 판이 자기장 안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 역학적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소모되며 결국엔 뜨거운 도체 판이 정지하게 된다.
5. 소용돌이 전류
[그림 1]에서 전류고리를 [그림 3]과 같이 도체 판으로 바꾸었다고 가정하자. 마찬가지로 전류고리를 당겼던 것처럼 도체 판을 잡아당길 때 자기장과 도체 판 사이의 상대 운동은 다시 도체 판 내에 전류를 유도한다. 마찬가지로 유도 전류 때문에 반대 방향의 힘이 나타나므로 일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도체 판 내에서 유도 전류를 구성하는 전도전자는 전류고리처럼 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 마치 소용돌이치는 것처럼 전자는 도체 판 내에서 요동친다. 이런 전류를 소용돌이 전류라고 하며 이때 도체 판이 자기장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마다 역학 에너지의 일부가 열에너지로 전환된다. 몇 번의 진동 후에는 도체 판의 역학 에너지가 소진되며 열에너지로 데워진 도체 판은 결국 정지하고 말 것이다. [그림 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데 도체 판이 자기장 안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 역학적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소모되며 결국엔 뜨거운 도체 판이 정지하게 된다.
추천자료
초전도 재료의 이해와 분석
초전도재료란 무엇인가? 그 역사적 배경과 특징 그리고 이해
섬유 구조 (면섬유의 미시적 구조, 케라틴과 피브로인의 구조, 기기분석을 통한 섬유의 구조)
초전도체에 대해서
[자기장][자기장 개념][자기장 전자석][자기장 자기력][변위전류][자기이력곡선][지구자기장]...
일반 물리학 정리(전자기학)
[전류][전류 개념][전류 전원][전류 분배][전류 돌힘][변위전류][자기작용]전류의 개념, 전류...
전기장과 자기장과의 관계를 기술하는 4개의 공식에 대한 보고서 - 가우스의 법칙, 자기에 대...
균일한 외부 자기장 내 전류고리를 통한 자기유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