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삼국통일의 과정
3. 당나라와의 전쟁
4. 의의 및 한계
2. 삼국통일의 과정
3. 당나라와의 전쟁
4. 의의 및 한계
본문내용
민족적 통합을 이루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또한 나당 전쟁을 승리로 이끌며 한반도에서 외세를 축출했다는 점에 있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고구려의 영역이었던 광활한 만주 일대의 영토를 상실했다는 점과 고구려에 복속되었던 영토와 인구 통합에 실패함으로써 완전한 민족적 통일을 이루지 못했다는 점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신라가 차지하지 못한 만주의 옛 고구려 영토가 30여 년의 공백기를 거친 뒤 같은 민족에 의해 세워진 국가인 발해(698~926)의 영토가 된 점은 신라를 한반도 최초의 통일 국가로 보는 태도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든다. 그리고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룩하는 과정에서 외부 세력인 당나라를 끌어들였다는 것은 20세기 이후 민족주의에 기반한 민족사학자들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