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하고 싶은 말
1. 회심 전의 바울
2. 계시
3. 기독론
4. 구원론
5. 서평
Ⅲ. 나가면서
Ⅱ. 하고 싶은 말
1. 회심 전의 바울
2. 계시
3. 기독론
4. 구원론
5. 서평
Ⅲ. 나가면서
본문내용
인 방법으로 하나님을 위한 일을 한다고 했을 때, 이런 불법이 일어나는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언제나 이것이 과연 하나님의 방법인가하는 실천적인 질문을 끊임 없이 던져야만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우리는 already and not yet의 구조를 볼 수 있다.
나가면서
위에서 바울의 복음의 기원과 그 내용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고 몇 가지의 비평까지 마쳤다. 회심 전의 바울이 지니고 있던 왜곡된 하나님에 대한 열정, 그리고 율법에 대한 지식이 다메섹의 사건을 통하여 전 인격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변화가 일어난다. 바울과 같이 이미 예수를 영접함으로하여 새사람, 새 피조물이 된 우리는 왜 전 인격적인 삶의 영역에서 변화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을까? 우리의 완전함은 예수의 재림으로 인하여서 완성되어지고, 우리의 구원도 그 때에 이루어질 것이다. 현세를 사는 우리들은 끊임 없이 죄의 사람과 싸워야 한다. 바울의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원치 아니하는 바 악을 행하니 내 안에 다른 내가 있어 나를 죄의 법 아래로 사로잡아 오는 것을 보는도다”라고 고백한 것 처럼 우리 안에 있는 아직도 죄된 자아와 날마다 싸워 자신을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쳐서 복종 시켜야 한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1:16절에서 다메섹에서의 그리스도의 현현을 “αποκαλυψαι τον υιον αυτου εν εμοι” 라는 말로써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깊은 부분까지 계시의 강렬함이 미쳤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문장은 “그의 아들을 바로 내 안에 계시하심”이라고 해석될 수 있는데, 여기서 εν εμοι (내 안에)라는 것이 하나님의 아들이 자신안에 계시되어졌음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바울의 전 생애에 있어서 그를 변화시키고 그의 신학 사상의 근본이 되어진 것은 바로 다메섹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과 그를 통한 계시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바울 본인의 말을 경청할 때에 서두에서 말한 바와 같이 우리는 바울의 복음에 대한 더욱더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바울 복음의 기원, 김세윤, 엠마오, pp 1 - 595
Korean-English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N.I.V)
NESTLE-ALAND NOVUM TESTAMENTUM GRAECE
헬라어 신약 성서 언어 분석의 열쇠, Fritz Rienecker, pp 1 - 704
나가면서
위에서 바울의 복음의 기원과 그 내용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고 몇 가지의 비평까지 마쳤다. 회심 전의 바울이 지니고 있던 왜곡된 하나님에 대한 열정, 그리고 율법에 대한 지식이 다메섹의 사건을 통하여 전 인격적으로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변화가 일어난다. 바울과 같이 이미 예수를 영접함으로하여 새사람, 새 피조물이 된 우리는 왜 전 인격적인 삶의 영역에서 변화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을까? 우리의 완전함은 예수의 재림으로 인하여서 완성되어지고, 우리의 구원도 그 때에 이루어질 것이다. 현세를 사는 우리들은 끊임 없이 죄의 사람과 싸워야 한다. 바울의 “내가 원하는 바 선은 행하지 아니하고 원치 아니하는 바 악을 행하니 내 안에 다른 내가 있어 나를 죄의 법 아래로 사로잡아 오는 것을 보는도다”라고 고백한 것 처럼 우리 안에 있는 아직도 죄된 자아와 날마다 싸워 자신을 그리스도의 십자가에 쳐서 복종 시켜야 한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1:16절에서 다메섹에서의 그리스도의 현현을 “αποκαλυψαι τον υιον αυτου εν εμοι” 라는 말로써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깊은 부분까지 계시의 강렬함이 미쳤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 문장은 “그의 아들을 바로 내 안에 계시하심”이라고 해석될 수 있는데, 여기서 εν εμοι (내 안에)라는 것이 하나님의 아들이 자신안에 계시되어졌음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바울의 전 생애에 있어서 그를 변화시키고 그의 신학 사상의 근본이 되어진 것은 바로 다메섹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와의 만남과 그를 통한 계시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바울 본인의 말을 경청할 때에 서두에서 말한 바와 같이 우리는 바울의 복음에 대한 더욱더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바울 복음의 기원, 김세윤, 엠마오, pp 1 - 595
Korean-English Bible New International Version(N.I.V)
NESTLE-ALAND NOVUM TESTAMENTUM GRAECE
헬라어 신약 성서 언어 분석의 열쇠, Fritz Rienecker, pp 1 - 70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