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이론]스나티슬랍스키 시스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극이론]스나티슬랍스키 시스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 배우를 위한 길
2. 메이어홀드와 생체역학
3. 쟈크 꼬보: 진실성의 추구
4. 미하엘 체홉: 연기테크닉에 관해
‘돈키호테는 삶에 진실했는가?’
5. 브레히트와 연기훈련: 우리는 누구를 위해 연기하는가?
6. 조안 리틀우드
7. 스트라스버그, 애들러와 메이스너: 매소드연기
8. 조셉 체이킨과 배우훈련의 측면들: 가능성과 변화된 현재
9. 피터 부룩: ........
10. 그로토우스키의 배우의 개념: 교류의 추구
11. 유제니오 바르바와의 훈련: 연기원리들, 전표현성과 ‘개인의 온도’
12. 스타니에프스키: 가르드지에니체와 자연화된 배우

본문내용

자를 유혹하고 연습이 계속 되면서 이 둘은 아주 가까워지고 마침내 결혼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결혼으로 새로운 인간, 극중인물이 탄생하게 된다.
정서적(情緖的) 인지
대본을 분석하는 이 테크닉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부분은 연기자들이 함께 모여 극의 각 요소와 극의 역사적 배경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지적인 작업으로 이를 ‘인지’라고 부른다) 두 번째는 연기자들이 개인적인 작업으로 자기 인물의 주요한 순간들을 상상 속에서 시각화함으로서 인물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시각화는 감성을 자극하고 따라서 이는 ‘정서적’인 반응이 된다) 이러한 상상의 이미지들은 연기자 전체가 함께 토의해 발견한 사항들에 통합된다. 스타니슬랍스키의 파무소프(A.S. 그리바예도프의 <이성으로부터의 고통>에 등장인물) 역할작업에 이 테크닉이 이용된다. 그는 마음속으로 자신이 파무소프의 집의 여러 방들을 돌아다니고 서재에 앉아 책을 읽고 침대에서 자고 계단을 내려오는 것을 시각화했다. 즉 스타니슬랍스키는 자신이 역할 속에 있는 개인적 비전, 즉 필림스트립(filmstrip)을 가진 것이다.
정서적 인지의 과정
* 인물의 삶을 조망하기 위해 극의 모든 세부사항을 분석한다.
* 극의 역사적, 사회적 세계를 탐구한다.
* 인물의 어느 하루를 시각화한다. 인물이 집안을 돌아다니고, 식사하고, 일하고, 자고, 사교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다. 극의 분석과 탐구에서 발견된 여러 사항들을 이러한 이미지에 통합한다.
행동의 기록
스타니슬랍스키는 ‘행동의 모방’이라는 아리스토틀의 비극의 정의를 예로 들며 극은 ‘행동’으로 다른 예술들과 구별된다고 보았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이렇게 쓰고 있다. “무대 선 사람들은 행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은 그의 내적인 슬픔을, 환희와 인간 관계들을, 무대 위의 삶의 모든 것을 드러낸다.”
시스템에서 ‘행동’은 극의 ‘주어진 상황’에 의해 인물 앞에 설정된 문제를 풀기 위해 인물이 행하는 모든 것이란 의미를 뜻한다. 따라서 행동은 어떤 것을 성취하고자 한다. 즉 상대를 설득하거나 성공의 사다리를 오르려 하거나 자기 아버지의 죽음에 복수하고자 한다. 적극적 동사(動詞)로 표현되는 행동은 심적/내적이며 또한 신체적/외적이기도 하다. 또한 행동은 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적절한’ 것이어야 한다. 스타니슬랍스키는 또한 ‘행동’과 ‘행위’(activities)를 구별하고 있다. 즉 ‘행동’은 극의 사건이 이를 통해 전개되는데 반해 ‘행위’는 식사하고 청소하고 옷 입는 등 장면의 문맥(context)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한 예로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3막 4장에서 맥베스 부인은 남편의 연회의 손님들을 접대하면서(행위) 또한 유령에 대한 남편의 광적인 반응을 숨기고자 한다(행동).
음악의 음표가 모여 음(音)을 구성하듯 장면의 행동들은 극의 이야기를 구성한다. 연기자는 연습을 하면서 자기 행동의 전개과정을 적어 본다. 즉 자기 행동의 음표를 기록하는 것으로 이는 자기 무대 연기의 지침이 된다. 각 행동은 ‘논리적으로’ 또는 ‘결과적으로’ 앞의 행동을 따라가게 된다. 또한 각 연기자들은 극이 관객에게 전하는 전체적인 느낌을 전하기 위해 인물의 모든 행동들을 연결할 수 있는 통일된 맥락을 찾아야 한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이러한 통일된 힘을 ‘일관된 행동’(a through-action)이라고 부른다. 맥베스 부인은 통제되지 않는 것을 통제하려 애쓴다. 즉 이것은 그녀의 ‘일관된 행동’에서 나온 것으로 마녀의 예언에 대한 믿음, 왕비가 되려는 야망과 덩컨을 살해한 부도덕성을 무시할 수 있는 그녀의 뻔뻔스러움을 역시 설명해 준다. 하지만 인간은 통제할 수 없는 것을 통제하는 데 결코 성공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일관된 행동은 논리적으로 그녀의 몰락과 자살에 이르게 된다. 스타니슬랍스키는 학생들이 이러한 일관된 행동을 너무 일찍 규정하지 않도록 한다. 연기자는 대부분 이러한 일관된 행동을 연습의 마지막 단계에서, 또는 공연 중에 발견하게 된다.
1. 행동과 행위를 구분하는 것으로 시작해 이를 실행하는 것을 배운다.
* 한 자세를 취한다. 이러한 자세에 의해 표현되는 능동적인 동사를 택한다. 이 동사를 이용해 한 장면을 즉흥연기 해 본다.
* 능동사를 택하고 이를 실행하면서 이것이 연기되는 상황을 바꾸어 본다. 쉬려고, 숨기 위해, 옆방에서 들리는 소리를 잘 듣기 위해, 책을 읽기 위해 앉는다. 친한 친구를 맞기 위해, 애인을 만나기 d위해, 일자리 인터뷰를 위해 방에 들어간다. 사과하기 위해, 친해지기 위해, 유명한 캐스팅감독을 만나 악수를 한다.
* 다양한 행동을 위해 관심의 대상을 바꾼다. 자기 애인을, 친구를, 아이를 기다린다. 손으로 편지를 쓰면서 자신이 누구로서(배우자, 연인, 스파이, 변호사) 쓰고 있는지 누구에게 쓰고 있는지(연인, 고객, 상사, 부모)를 규정한다.
2. 행동을 규정해 나가는 과정에서 먼저 할 일은 우선 극을 여러 부분으로 구분하는 일이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이를 ‘비트’(bit)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발음상 비트(beat)로 불려지게 된다. 각 조각은 하나의 행동을 포함하고 있고 극의 행동이 변할 때 시작된다. 하나의 비트를 위해 연기자는 우선 주어진 상황을 탐구하고 인물의 상황을 형용사로 묘사한다. 예로 <맥베스>의 만찬 장면에서 맥베스부인은 손님들 앞에서 남편의 미친 행동에 ‘당황한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주어진 상황에 극의 모든 세부사항 뿐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연구, 그리고 연출자와 디자이너들이 결정한 것은 모두 포함시켰다. 따라서 묘사된 인물의 상황은 한가지 문제(problem)를 제기하고 이 문제는 행동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 그 다음 연기자는 이 문제를 풀기 위해 인물이 무엇을 해야 할지를 결정해야 하고 이는 자연히 한 비트의 특수한 행동으로 이어진다. 맥베스 부인은 자신의 당황함을 해결하기 위해 남편의 행위를 ‘감추고자 한다’. 스타니슬랍스키는 행동을 규정하기 위해 매직 이프를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내가 만일 이 장면의 상황 속에 있다면 어떻게 행동했을 것인가?’ 여기서 동사로 표현된 해답은 행동을 제시해 준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3.02.07
  • 저작시기202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50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