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러분들이 각자 관심을 갖고 있는 브랜드를 선정한 후, 해당 브랜드에 대해 아래와 같은 내용을 포함하여 정리하세요.
(1). 선정한 브랜드의 유통경로 특징에 대한 전반적 요약
(2). 선정한 브랜드가 프랜차이즈의 경우 또는 프랜차이즈가 아닌 경우, 어떤 전략을 실행하고 있는지 정리
(3). 선정한 브랜드의 온라인 판매 및 오프라인 판매의 특징을 결합하여 옴니채널 전략에 대해 기술하시오.
(4). 선정한 브랜드 유통경로의 특징 및 전략을 바탕으로 해당 브랜드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시오. (본인의 주장 위주)
(5). 선정한 브랜드와 가장 직접적 경쟁관계를 갖는 브랜드를 선택하여, 해당 브랜드와 경쟁 브랜드의 유통/마케팅 전략을 비교하시오 (특징/장단점/우위/경쟁력 등)"
목차
1. 나이키(Nike)에 대한 소개
2. 나이키(Nike)의 유통경로 특징
3. 나이키(Nike)의 전략
4. 나이키(Nike)의 옴니채널 전략
5. 나이키(Nike)를 위한 마케팅 전략 제안
6. 나이키(Nike)의 경쟁브랜드인 아디다스(Adidas)와의 유통/마케팅 전략 비교
7. 출처 및 참고문헌
(1). 선정한 브랜드의 유통경로 특징에 대한 전반적 요약
(2). 선정한 브랜드가 프랜차이즈의 경우 또는 프랜차이즈가 아닌 경우, 어떤 전략을 실행하고 있는지 정리
(3). 선정한 브랜드의 온라인 판매 및 오프라인 판매의 특징을 결합하여 옴니채널 전략에 대해 기술하시오.
(4). 선정한 브랜드 유통경로의 특징 및 전략을 바탕으로 해당 브랜드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제안하시오. (본인의 주장 위주)
(5). 선정한 브랜드와 가장 직접적 경쟁관계를 갖는 브랜드를 선택하여, 해당 브랜드와 경쟁 브랜드의 유통/마케팅 전략을 비교하시오 (특징/장단점/우위/경쟁력 등)"
목차
1. 나이키(Nike)에 대한 소개
2. 나이키(Nike)의 유통경로 특징
3. 나이키(Nike)의 전략
4. 나이키(Nike)의 옴니채널 전략
5. 나이키(Nike)를 위한 마케팅 전략 제안
6. 나이키(Nike)의 경쟁브랜드인 아디다스(Adidas)와의 유통/마케팅 전략 비교
7.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드로서 스포츠를 통해 세상을 바꾼다는 미션을 갖고 있다.
아디다스의 유통 전략은 나이키의 전략과 반대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이키가 D2C 전략을 통해 직접 판매를 강조하여 도소매 유통업체들이 큰 타격을 입었을 때, 아디다스는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도소매 유통업체를 통한 판매 증가를 유도했다. 대규모 신발 전문점인 풋락커는 전체 매출에서 나이키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75%에서 60%까지 떨어질 때, 나이키의 라이벌인 아디다스와 계약을 체결하여 아디다스 제품의 판매 규모를 2021년 대비 3배가량 늘리기로 했다. 이 외에도 백화점, 기타 이커머스에도 제품을 납품할 것이다. 아디다스가 나이키보다 직접 판매보다 간접 판매에 주력하는 이유는 소비자가 제품에 노출될 수 있는 채널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략일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나이키의 시장점유율을 빼앗아 와야 하는 도전자 입장의 아디다스는 소비자에게 자사 브랜드에 많이 노출할수록 더 많은 구매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아디다스의 마케팅 전략은 나이키와 비슷하다. 슬로건을 활용한 광고 제작이나 스포츠 스타를 활용한 마케팅 등으로 나이키와 구별되는 마케팅 전략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아디다스는 글로벌 마케팅 수단으로서 ‘월드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축구선수 또는 유니폼을 후원하고 공인구를 제작하면서 스포츠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노출하는 마케팅 방식이다. 2022년에 진행될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독일, 아르헨티나, 스페인 등 6개국에 유니폼을 후원하고 공인구를 제작한다. 이처럼 아디다스는 월드컵을 활용한 마케팅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나이키는 총 12개국에 유니폼을 후원하고, 월드컵에 대한 후원을 증가하는 전략을 펼치면서 아디다스의 마케팅이 성공할 가능성은 작아졌다고 볼 수 있다.
7. 출처 및 참고문헌
-나이키닷컴, 나이키 공식 온라인스토어
-나이키 공식 홈페이지
-유통경로(distribution channel), 두산백과
-자장면값 인상률보다 낮은 나이키 신발값의 비밀, 2020.09.04, 주간조선
-나이키, 직접 판다더니 “도매업체 중요” 외치는 이유는[넥스트.찐], 2022.05.28, 아시아경제
-[자본주의와 혁신기업]15 나이키, 마케팅으로 혁신을 완성하다, 2021.05.25, 오피니언뉴스
-아디다스 공식 홈페이지
-‘나이키 12개·아디다스 6개’… 카다르 WC 출전국 유니폼 경쟁은?, 2022.04.18, 마이데일리
아디다스의 유통 전략은 나이키의 전략과 반대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나이키가 D2C 전략을 통해 직접 판매를 강조하여 도소매 유통업체들이 큰 타격을 입었을 때, 아디다스는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도소매 유통업체를 통한 판매 증가를 유도했다. 대규모 신발 전문점인 풋락커는 전체 매출에서 나이키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75%에서 60%까지 떨어질 때, 나이키의 라이벌인 아디다스와 계약을 체결하여 아디다스 제품의 판매 규모를 2021년 대비 3배가량 늘리기로 했다. 이 외에도 백화점, 기타 이커머스에도 제품을 납품할 것이다. 아디다스가 나이키보다 직접 판매보다 간접 판매에 주력하는 이유는 소비자가 제품에 노출될 수 있는 채널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략일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나이키의 시장점유율을 빼앗아 와야 하는 도전자 입장의 아디다스는 소비자에게 자사 브랜드에 많이 노출할수록 더 많은 구매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아디다스의 마케팅 전략은 나이키와 비슷하다. 슬로건을 활용한 광고 제작이나 스포츠 스타를 활용한 마케팅 등으로 나이키와 구별되는 마케팅 전략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아디다스는 글로벌 마케팅 수단으로서 ‘월드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축구선수 또는 유니폼을 후원하고 공인구를 제작하면서 스포츠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노출하는 마케팅 방식이다. 2022년에 진행될 카타르 월드컵에서는 독일, 아르헨티나, 스페인 등 6개국에 유니폼을 후원하고 공인구를 제작한다. 이처럼 아디다스는 월드컵을 활용한 마케팅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나이키는 총 12개국에 유니폼을 후원하고, 월드컵에 대한 후원을 증가하는 전략을 펼치면서 아디다스의 마케팅이 성공할 가능성은 작아졌다고 볼 수 있다.
7. 출처 및 참고문헌
-나이키닷컴, 나이키 공식 온라인스토어
-나이키 공식 홈페이지
-유통경로(distribution channel), 두산백과
-자장면값 인상률보다 낮은 나이키 신발값의 비밀, 2020.09.04, 주간조선
-나이키, 직접 판다더니 “도매업체 중요” 외치는 이유는[넥스트.찐], 2022.05.28, 아시아경제
-[자본주의와 혁신기업]15 나이키, 마케팅으로 혁신을 완성하다, 2021.05.25, 오피니언뉴스
-아디다스 공식 홈페이지
-‘나이키 12개·아디다스 6개’… 카다르 WC 출전국 유니폼 경쟁은?, 2022.04.18, 마이데일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