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교(학생집단), 사업장(근로자집단), 지역사회(취약집단) 중 하나의 현장(대상자)을 선택하여, 1) 적절한 교육 주제를 선정하여 주제 선정의 배경 및 교육 목표를 서술하고, 2) 이에 대한 효과적인 보건 교육 전략(보건 교육 방법 및 매체)을 고안하여 학습지도계획안을 작성하시오 (20점).
2. Green의 PRECEDE-PROCEED 모형을 기반으로 1) 각 단계별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2)‘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교육 계획을 위한 모형 적용의 각 단계를 예시를 들어 서술하시오 (30점).
참고문헌
2. Green의 PRECEDE-PROCEED 모형을 기반으로 1) 각 단계별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2)‘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교육 계획을 위한 모형 적용의 각 단계를 예시를 들어 서술하시오 (30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한다. 만성적인 통풍에는 푸린과 지방이 적은 음식을 먹도록 하며, 요산 수치를 떨어트리는 약제를 사용한다.4) 이러한 통풍은 한국의 식습관이 서구화되어 유병률이 증가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만성관절염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기도 하며,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도 높인다고 알려져 있다.5)
- 3단계 : 행위적 요인으로는 푸린과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 음주이며 비행위적 요인으로는 유전, 성별이 있다. 변경 가능한 요인은 식습관이며, 변경 불가능한 요인은 유전과 성별이다. 행위목록으로는 급성통풍발작을 치료하는 약물과 장기적으로 요산을 낮추는 약물이 복용이 치료행위로 알려져 있으며, 에방행위로 서양화된 식습관의 변경을 시행할 수 있다. 이처럼 통풍은 식습관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푸린 합유량이 높은 동물의 내장이나 정어리, 청어, 멸치, 고등어, 메주 효모 등을 지양하고 비교적 푸린 합유량이 낮은 계란이나 치즈, 우유, 곡류, 야채, 과일 위주의 식습관을 시행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또한, 통풍 환자의 50%가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맥주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알코올의 섭취를 줄일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6)
- 4단계 : 성향요인으로는 통풍 환자가 맥주와 치킨은 먹으면 안되지만, 소주를 비롯한 다른 알코올이 포함된 음료와 고기를 먹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하는 잘못된 인식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요산 수치를 낮추는 약은 꾸준하게 매일 복용하여야 하는데 요산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할지라도 정상 범위의 요산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약의 복용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통풍 환자들이 요산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면 복용하고 있는 약을 의사와의 면담 없이 스스로 판단하여 더 이상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잘못된 인식도 성향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강화요인은 술을 권장하는 사회 문화이다. 술은 중독성이 강하고 통풍을 비롯한 여러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이지만, 사회적으로 술을 마시지 않으면 사회 생활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여기는 분위기가 만연하다. 특히, 30대 사회초년생으로 더욱 이러한 분위기 때문에 술을 많이 마시게 되는데, 통풍이 발생하는 주요 연령대로 통풍을 유발하게 하는 주요한 강화요인으로 볼 수 있다. 촉진요인으로는 절주캠페인 정도가 있겠다.
- 5단계 : 30대 남성들이 통풍 환자가 발생하는 주요한 대상이므로, 회사에서 시행하는 건강을 위한 강연에서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회사에서 강연을 시행한다고 생각한다면, 교육 일정은 하루를 넘지 않아야 하며, 주말이 아닌 평일에 업무 시간에 대체하여 참석하도록 하는 것이 참여율이 높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지원 인력은 회사에 총무팀의 인력으로 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며, 50분 강의하고 10분 휴식시간을 갖는 방식으로 4시간 정도 하루 동안 강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
- 6단계 : 수행 계획은 다음과 같다. 1차시의 교육 주제는 ‘통풍은 어떠한 질환일까?’라는 주제로 시청각 자료를 통해서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 2차시의 교육 주제는 ‘잘못 알고있는 통풍 대처법’이라는 주제로 급성통풍발작 시 민간에 잘못 알려져 있는 대처법과, 만성적인 통풍 발작시에 어떠한 대처를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시청각 자료를 이용하여 교육한다. 3차시의 교육 주제는 ‘바람직한 식습관’이라는 주제로 통풍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가져야 하는 식습관에 대해서 시청각 자료를 통해서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 4차시의 교육 주제는 ‘바람직한 음주 문화’라는 주제로 시청각 자료를 통해서 교육하고, 질의응답과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현재 회사에서의 회식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바람직한 음주 문화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간단한 개별 테스트를 서면을 통해서 진행하여, 통풍에 대해서 얼마나 잘 교육이 수행되었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7, 8, 9단계 : 과정평가에서 통풍에 대한 교육의 참석률을 측정하고, 목표에 얼마나 근접한 수치인지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수행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행한 개별 테스트를 통해서 교육이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영향평가에서는 교육이 끝나고 한 달 후에 설문조사를 통해서 시행하도록 한다. 통풍에 대한 교육 이후 음주 문화나 식습관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고, 통풍이 어떠한 질환인지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잘 알고있는지 살펴본다. 결과 평가에서는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서 실질적으로 통풍에 걸렸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회사에 요청하여 각 부서별로 회식에서 음주를 하는 횟수와 양에 대해서 조사를 요청하여 바람직한 음주 문화가 자리잡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확인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통풍은 식습관과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잘 자리잡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며, 근본적으로 술을 권장하는 사회의 분위기가 변화하여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 평가의 지표로 손색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강의 자료 2강
2) 정여진. (2022.03.12.). 한국의 성교육, 언제쯤 와 닿을 수 있을까요.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17532
3) 강의 자료 8강
4) 통풍. n.d. 두산백과 두피디아. 2022.05.25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3454&cid=40942&categoryId=32774
5) 이상철. (2022.05.18.). 통풍,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높인다. 후생신보. http://www.whosaeng.com/136153
6) 정진수. (2022.04.04.).서구화된 식습관·잦은 음주에… 젊은 남성 통풍환자 크게 늘어.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20403507260
- 3단계 : 행위적 요인으로는 푸린과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 음주이며 비행위적 요인으로는 유전, 성별이 있다. 변경 가능한 요인은 식습관이며, 변경 불가능한 요인은 유전과 성별이다. 행위목록으로는 급성통풍발작을 치료하는 약물과 장기적으로 요산을 낮추는 약물이 복용이 치료행위로 알려져 있으며, 에방행위로 서양화된 식습관의 변경을 시행할 수 있다. 이처럼 통풍은 식습관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푸린 합유량이 높은 동물의 내장이나 정어리, 청어, 멸치, 고등어, 메주 효모 등을 지양하고 비교적 푸린 합유량이 낮은 계란이나 치즈, 우유, 곡류, 야채, 과일 위주의 식습관을 시행할 수 있도록 권장해야 한다. 또한, 통풍 환자의 50%가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맥주 뿐만 아니라 모든 종류의 알코올의 섭취를 줄일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6)
- 4단계 : 성향요인으로는 통풍 환자가 맥주와 치킨은 먹으면 안되지만, 소주를 비롯한 다른 알코올이 포함된 음료와 고기를 먹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하는 잘못된 인식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요산 수치를 낮추는 약은 꾸준하게 매일 복용하여야 하는데 요산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할지라도 정상 범위의 요산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약의 복용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통풍 환자들이 요산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면 복용하고 있는 약을 의사와의 면담 없이 스스로 판단하여 더 이상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잘못된 인식도 성향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강화요인은 술을 권장하는 사회 문화이다. 술은 중독성이 강하고 통풍을 비롯한 여러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이지만, 사회적으로 술을 마시지 않으면 사회 생활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여기는 분위기가 만연하다. 특히, 30대 사회초년생으로 더욱 이러한 분위기 때문에 술을 많이 마시게 되는데, 통풍이 발생하는 주요 연령대로 통풍을 유발하게 하는 주요한 강화요인으로 볼 수 있다. 촉진요인으로는 절주캠페인 정도가 있겠다.
- 5단계 : 30대 남성들이 통풍 환자가 발생하는 주요한 대상이므로, 회사에서 시행하는 건강을 위한 강연에서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한다. 회사에서 강연을 시행한다고 생각한다면, 교육 일정은 하루를 넘지 않아야 하며, 주말이 아닌 평일에 업무 시간에 대체하여 참석하도록 하는 것이 참여율이 높을 것이라고 예상한다. 지원 인력은 회사에 총무팀의 인력으로 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며, 50분 강의하고 10분 휴식시간을 갖는 방식으로 4시간 정도 하루 동안 강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상된다.
- 6단계 : 수행 계획은 다음과 같다. 1차시의 교육 주제는 ‘통풍은 어떠한 질환일까?’라는 주제로 시청각 자료를 통해서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 2차시의 교육 주제는 ‘잘못 알고있는 통풍 대처법’이라는 주제로 급성통풍발작 시 민간에 잘못 알려져 있는 대처법과, 만성적인 통풍 발작시에 어떠한 대처를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시청각 자료를 이용하여 교육한다. 3차시의 교육 주제는 ‘바람직한 식습관’이라는 주제로 통풍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가져야 하는 식습관에 대해서 시청각 자료를 통해서 교육할 수 있도록 한다. 4차시의 교육 주제는 ‘바람직한 음주 문화’라는 주제로 시청각 자료를 통해서 교육하고, 질의응답과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현재 회사에서의 회식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바람직한 음주 문화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간단한 개별 테스트를 서면을 통해서 진행하여, 통풍에 대해서 얼마나 잘 교육이 수행되었는지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7, 8, 9단계 : 과정평가에서 통풍에 대한 교육의 참석률을 측정하고, 목표에 얼마나 근접한 수치인지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수행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행한 개별 테스트를 통해서 교육이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영향평가에서는 교육이 끝나고 한 달 후에 설문조사를 통해서 시행하도록 한다. 통풍에 대한 교육 이후 음주 문화나 식습관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고, 통풍이 어떠한 질환인지 어떻게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잘 알고있는지 살펴본다. 결과 평가에서는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해서 실질적으로 통풍에 걸렸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회사에 요청하여 각 부서별로 회식에서 음주를 하는 횟수와 양에 대해서 조사를 요청하여 바람직한 음주 문화가 자리잡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확인하여 평가하도록 한다. 통풍은 식습관과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잘 자리잡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며, 근본적으로 술을 권장하는 사회의 분위기가 변화하여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 평가의 지표로 손색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강의 자료 2강
2) 정여진. (2022.03.12.). 한국의 성교육, 언제쯤 와 닿을 수 있을까요.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817532
3) 강의 자료 8강
4) 통풍. n.d. 두산백과 두피디아. 2022.05.25검색.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53454&cid=40942&categoryId=32774
5) 이상철. (2022.05.18.). 통풍,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도 높인다. 후생신보. http://www.whosaeng.com/136153
6) 정진수. (2022.04.04.).서구화된 식습관·잦은 음주에… 젊은 남성 통풍환자 크게 늘어.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20403507260
추천자료
방송대 보건교육 기말 2022년] 1. 학교, 사업장, 지역사회 중 대상자를 선정하여 효과적인 보...
[보건교육 기말과제 2022] 1. 학교(학생집단), 사업장(근로자집단), 지역사회(취약집단) 중 ...
[보건교육 기말 2022년] 1. 학교, 사업장, 지역사회 중 선택 1) 주제 선정의 배경 및 교육 목...
보건교육 기말 2022 주제 선정의 배경 및 교육 목표를 서술 효과적인 보건교육 전략을 고안 ...
2022 보건교육 기말] 효과적인 보건교육 전략(보건교육 방법 및 매체)을 고안하여 학습지도계...
보건교육 기말 2022년 방송대] 1.학교(학생집단), 사업장(근로자집단), 지역사회(취약집단) ...
보건교육 기말 2022) 1.학교(학생집단), 사업장(근로자집단), 지역사회(취약집단) 중 하나의 ...
보건교육 ) Green의 PRECEDE-PROCEED 모형을 기반으로 1) 각 단계별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보건교육 ) Green의 PRECEDE-PROCEED 모형을 기반으로 1) 각 단계별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