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심리학에게묻다(공통) -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많은 함의를 제공해 준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심리학에게묻다(공통) - Murray Bowen에 의해 발전된 다세대가족치료 모델은 되물림되는 가족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많은 함의를 제공해 준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세대가족치료의 주요개념

1) 자기분화
2) 만성불안의 원리
3) 삼각관계
4) 핵가족 정서체계
5) 가족투사과정

2. 나에게 주는 함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삼각관계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의 나는 분화수준이 낮았고 부부관계에서 발생하는 불안을 어떻게든 해결하는데 급급했던 것 같다. 한 가지 다행스러운 점은 첫째 아들은 삼각관계로 인해 별다른 정서적인 문제를 나타내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만약 당시 아들에게서 정서적인 문제가 있었다면 나는 그 원인을 나에게서 찾는 것이 아닌 남편에게서 찾았을 것이며, 부부관계의 불안은 더욱 강화되었을 것이다. 또한 첫째 아들뿐만 아니라 둘째 딸과도 삼각관계를 형성했을지도 모른다.
이와 같이 부모의 분화수준이 낮으면 그 영향은 자녀에게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부모는 자녀를 위해서라도 분화수준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10년 전과 비교하여 현재 나의 가족은 불안과 긴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전처럼 부부관계에 불안과 긴장이 높지 않으며 모든 구성원들이 감정보다는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가족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미래에 나의 자녀들이 자신만의 가족을 이루었을 때에도 만성불안으로 인한 문제를 겪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 하혜숙, 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3.02.12
  • 저작시기202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5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