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장애인상담과교육(공통) - 그 주제와 관련한 국내외 법규 및 장애인 지원 사례를 찾아 이를 수업 내용과 연결하여 분석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장애인상담과교육(공통) - 그 주제와 관련한 국내외 법규 및 장애인 지원 사례를 찾아 이를 수업 내용과 연결하여 분석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각장애
1) 요약 및 정리
2) 주제를 선택한 이유

2. 시각장애 관련 분석
1) 국내외 법규 및 장애인 지원 사례
2) 수업 내용과 연계한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는 두 가지 감각을 잃은 장애인들은 생활상에 불편이 매우 클 수밖에 없다. “시청각장애는 외부와 소통의 단절을 겪는 중증 장애임에도 현행 장애인복지법이 규정하는 15가지 장애 유형에 포함되지 않아 적합한 복지서비스를 받지 못한다.” 양한주. 헬렌켈러법 제정 촉구 온라인 서명운동 전개. 국민일보, 2021년 5월 14일자. 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191604 (검색일: 2022.10.10.)
따라서 이들에 대한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도 헬렌켈러법이 통과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 장애인상담과교육 강의 6강
- 장애인복지법 제22조 제2항, 제3항, 제5항
- 장애인복지법 제40조 제1항, 제3항
- 의료법 제82조 제1항, 제1항제1호, 제1항제2호, 제2항, 제3항
- 사단법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http://www.kbuwel.or.kr/)
- 한국시각장애인복지관 (http://www.hsb.or.kr/client/info/info.asp)
- 조송연. 장애인의 날, 생활 속에서 만난 배리어 프리(barrier free).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0년 4월 20일자.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871653 (검색일: 2020.10.10.)
- 양한주. 헬렌켈러법 제정 촉구 온라인 서명운동 전개. 국민일보, 2021년 5월 14일자. 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191604 (검색일: 2022.10.10.)
  • 가격4,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3.02.13
  • 저작시기202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5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