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정의와 특성
1. 청각장애 발생시기
2. 청각장애 정도
3. 청각장애 정의
II. 진단 및 평가
1. 순음청력검사
2. 골전도 검사
3. 놀이청력검사
4. 시각강화청력검사
5. 청각뇌간반응검사
6. 행동관찰청력검사
III. 교육적 접근방법
1. 의사소통 방법
2. 학습지원
* 참고문헌
1. 청각장애 발생시기
2. 청각장애 정도
3. 청각장애 정의
II. 진단 및 평가
1. 순음청력검사
2. 골전도 검사
3. 놀이청력검사
4. 시각강화청력검사
5. 청각뇌간반응검사
6. 행동관찰청력검사
III. 교육적 접근방법
1. 의사소통 방법
2. 학습지원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지문자(finger spelling)는 허공에 글씨를 쓰는 것으로, 아동이 단어의 철자를 쓸 때 연필 대신에 손으로 쓰는 것이다. 지문자는 사람들이 쓰는 글자보다도 손짓처럼 복잡한 손 모양에서 서서히 발전한 것이다(Ertlina, Theman-Prezio, & Benedict, 2000). 지문자는 취학전 난청아동 사이에서 말하기와 함께 결합되어 사용되었다(Gallagher, 1974; Moores, 1996).
미국에서 말하기와 함께 사용하는 지문자는 로체스터법(Rochester method)으로 알려진 것이 일반적이다(NICD, 1999). 미국에서 로체스터법은 읽기에서 글자-음소 대응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러시아에서 지문자는 취학 전 농과 난청 아동들에게 말하기를 가르치기 위해 공통적으로 시작하는 방법이다.
토털 커뮤니케이션법(total communication method)은 지문자, 손짓, 말 읽기, 말하기를 결합시킨 방법이다. 미국농학교경영자회의(The Conference of Executive of American School for Deaf, 1976)에서는 토털 커뮤니케이션을 \"청각장애인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적담한 청각적, 수지적, 구어적 의사소통 방법의 통합을 요구하는 철학\"이라고 정의하였다. 토털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수화나 지문자와 같은 손을 사용하는 의사소통과 청각-구화법과 잔존청력을 통한 구어적 의사소통을 동시에 사용하면 아동들이 한두 가지 양식의 의사소통 중 하나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한다(Line, 1989; 김진호 외, 2002 재인용). 이러한 토털 커뮤니케이션 의사소통의 수업방법으로는 청각-구어법이 가장 보편적이고, 그다음으로 청각-구화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Paul & Quigley, 1994).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bilingual-bicultural method: 2Bi)은 두 가지 언어와 두 가지 문화를 배우는 것으로, 청각장애학생들이 청각장애인의 언어와 일반 언어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문화와 일반인들의. 문화를 모두 습득하도록 하는 방법이다(Turnbull, Turnbull, Shank, & Smith, 2004; 이소현, 박은혜, 2006재인용). 학습에 있어서 1차적으로는 수화를 가르치고, 2차 언어로 모국어를 가르친다. 이것은 두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두 문화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농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2) 학습지원
청각장애아동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보조기구는 보청기다. 보청기는 음을 증폭시키는 기능을 하며, 소리를 받아들여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다. 청각장애아동에게 알맞은 보청기를 가능하면 어린 시기에 착용하게 하는 것은 환경에 대한 올바른 소리 인식으로 의사소통과 이후의 학습 준비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 준다.
보청기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있으며, 특히 FM(Frequency Modulated systems) 보청기는 작은 마이크에 교사가 말을 하면 소형 라디오와 같은 송신을 통해 청각장애학생이 착용하고 있는 보청기로 확대된 음이 전달된다.
심각한 청각장애를 가진 성인과 아동들에게 주요한 기술적인 진보는 문자전화기(teletypewriter-printer: TTY혹은 TT) 장치다. TTY는 1964년 농을 가진 물리학자와 치열교정 의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타자기로 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메시지를 바꾸어서 전화선을 통해 전달하는 이 기계는 중도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청각장애인용 전화기 TDD(telecommunication devices for the deaf: TDD)는 같은 종류의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TDD 시스템으로 50만 개 이상의 역(station)에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비록 기계와 메시지 이용 요금은 높지만, 먼 거리를 가로질러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어 청각장애인에게 매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림] 한글 지문자
전화중계 서비스(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TRS)는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더불어 농과 난청을 가진 청각장애인들에게 교환원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다. 교환원은 전화 사용자의 원문을 받아서 사람들의 반응을 타이프해서 전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자막 서비스는 청각장애인들이 정보를 얻는 데 용이하다. 대부분 텔레비전 방송이나 영화는 큼직한 글자와 함께 자막 처리되어 제공한다. 별도의 자막을 볼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면 뉴스나 드라마도 시청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모든 새로운 텔레비전에 자막기능이 삽입되도록 법으로 명시하고 있다.
경보기는 청각장애인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것은 특히 출입문의 벨소리, 화재경보, 자명종, 전화벨 등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들이 소리 대신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깜박이는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는 알림 장치다.
수화통역사는 청각장애아동들의 학습지원에 많은 도움을 주며, 특히 중등부 학생들의 학업결손을 감소시키고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도록 많은 역할을 한다(김진호 외, 2002). 청각장애아동들의 다양한 욕구 변화로 인해 수화통역사들의 역할이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지문자(finger spelling)는 허공에 글씨를 쓰는 것으로, 아동이 단어의 철자를 쓸 때 연필 대신에 손으로 쓰는 것이다. 지문자는 사람들이 쓰는 글자보다도 손짓처럼 복잡한 손 모양에서 서서히 발전한 것이다(Ertlina, Theman-Prezio, & Benedict, 2000). 지문자는 취학전 난청아동 사이에서 말하기와 함께 결합되어 사용되었다(Gallagher, 1974; Moores, 1996).
미국에서 말하기와 함께 사용하는 지문자는 로체스터법(Rochester method)으로 알려진 것이 일반적이다(NICD, 1999). 미국에서 로체스터법은 읽기에서 글자-음소 대응을 입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러시아에서 지문자는 취학 전 농과 난청 아동들에게 말하기를 가르치기 위해 공통적으로 시작하는 방법이다.
토털 커뮤니케이션법(total communication method)은 지문자, 손짓, 말 읽기, 말하기를 결합시킨 방법이다. 미국농학교경영자회의(The Conference of Executive of American School for Deaf, 1976)에서는 토털 커뮤니케이션을 \"청각장애인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적담한 청각적, 수지적, 구어적 의사소통 방법의 통합을 요구하는 철학\"이라고 정의하였다. 토털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수화나 지문자와 같은 손을 사용하는 의사소통과 청각-구화법과 잔존청력을 통한 구어적 의사소통을 동시에 사용하면 아동들이 한두 가지 양식의 의사소통 중 하나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한다(Line, 1989; 김진호 외, 2002 재인용). 이러한 토털 커뮤니케이션 의사소통의 수업방법으로는 청각-구어법이 가장 보편적이고, 그다음으로 청각-구화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Paul & Quigley, 1994).
이중언어-이중문화 접근법(bilingual-bicultural method: 2Bi)은 두 가지 언어와 두 가지 문화를 배우는 것으로, 청각장애학생들이 청각장애인의 언어와 일반 언어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문화와 일반인들의. 문화를 모두 습득하도록 하는 방법이다(Turnbull, Turnbull, Shank, & Smith, 2004; 이소현, 박은혜, 2006재인용). 학습에 있어서 1차적으로는 수화를 가르치고, 2차 언어로 모국어를 가르친다. 이것은 두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두 문화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농교육에 있어서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2) 학습지원
청각장애아동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보조기구는 보청기다. 보청기는 음을 증폭시키는 기능을 하며, 소리를 받아들여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다. 청각장애아동에게 알맞은 보청기를 가능하면 어린 시기에 착용하게 하는 것은 환경에 대한 올바른 소리 인식으로 의사소통과 이후의 학습 준비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 준다.
보청기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있으며, 특히 FM(Frequency Modulated systems) 보청기는 작은 마이크에 교사가 말을 하면 소형 라디오와 같은 송신을 통해 청각장애학생이 착용하고 있는 보청기로 확대된 음이 전달된다.
심각한 청각장애를 가진 성인과 아동들에게 주요한 기술적인 진보는 문자전화기(teletypewriter-printer: TTY혹은 TT) 장치다. TTY는 1964년 농을 가진 물리학자와 치열교정 의사에 의해 개발되었다. 타자기로 친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메시지를 바꾸어서 전화선을 통해 전달하는 이 기계는 중도 청각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청각장애인용 전화기 TDD(telecommunication devices for the deaf: TDD)는 같은 종류의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TDD 시스템으로 50만 개 이상의 역(station)에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비록 기계와 메시지 이용 요금은 높지만, 먼 거리를 가로질러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어 청각장애인에게 매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림] 한글 지문자
전화중계 서비스(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TRS)는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사람들과 더불어 농과 난청을 가진 청각장애인들에게 교환원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서비스다. 교환원은 전화 사용자의 원문을 받아서 사람들의 반응을 타이프해서 전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자막 서비스는 청각장애인들이 정보를 얻는 데 용이하다. 대부분 텔레비전 방송이나 영화는 큼직한 글자와 함께 자막 처리되어 제공한다. 별도의 자막을 볼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면 뉴스나 드라마도 시청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모든 새로운 텔레비전에 자막기능이 삽입되도록 법으로 명시하고 있다.
경보기는 청각장애인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것은 특히 출입문의 벨소리, 화재경보, 자명종, 전화벨 등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인들이 소리 대신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깜박이는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는 알림 장치다.
수화통역사는 청각장애아동들의 학습지원에 많은 도움을 주며, 특히 중등부 학생들의 학업결손을 감소시키고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도록 많은 역할을 한다(김진호 외, 2002). 청각장애아동들의 다양한 욕구 변화로 인해 수화통역사들의 역할이 점점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