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여 서술해 봅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 ) 신뢰도와 타당도를 비교하여 서술해 봅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신뢰도
2) 신뢰도의 측정 방법
3) 타당도
4) 타당도의 측정 방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정한다고 믿어지는 한 가지 이상의 외부 기준과 측정 도구를 비교하여 얻을 수 있다. 즉, 기준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일부 외부 기준과 관련되는 정도를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조사자는 측정 도구와 연관이 있는 외부 기준을 선정한 다음에 측정 도구로 측정한 결과가 외부 기준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를 살펴 기준 타당도를 얻을 수 있다. 기준 타당도는 동시 타당도와 예측 타당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외부 기준의 유형에 차이가 있다. 동시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개인의 현재 상황이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정도를 가리키며, 측정 도구를 적용한 결과가 지금 당장 이용할 수 잇는 외부 기준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를 알게 해 준다. 반면에 예측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미래에 발생할 기준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정도를 가르키며 측정 도구를 적용한 결과가 미래의 기준과 얼마나 잘 일치하는지를 알게 해 준다.
3. 결론
앞에서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서 다루었다. 신뢰도는 측정 도구의 정확성을 말하며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원래 측정하려고 의도한 것을 측정하는 정도를 말한다. 측정 도구가 정확하다고 하여도 원래 측정하려고 의도한 것을 측정하지 않는다면, 연구는 본인이 의도한대로 수행되었다고 보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원래 측정하려고 의도한 것을 잘 측정한다면 측정 도구의 정확도가 조금 떨어지더라도 원래 의도한 연구 방향대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신뢰도는 정확도, 타당도는 방향성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신뢰도와 타당도는 사회과학 연구에서 모두 중요하며 이처럼 서로 상호보완적인 측면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연구자는 신뢰도보다는 타당도를 높이는 것에 더욱 우선하여야 할 것이다. 정확하더라도 방향성이 틀리다면, 그 연구는 완전히 다른 연구 결과를 나타낼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신뢰도가 높은 것이 연구의 질을 올려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지만, 방향성이 틀리다면 연구의 주제에서 벗어나 전혀 다른 연구를 진행하는 것과 다름 없을 것이다.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와 적절한 수준의 타당도가 뒷받침해 줄 때 사람들이 연구 결과에 대해서 신뢰하고, 더욱 정확하게 비판하며, 앞으로 우리가 연구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서 제대로 논하여 사회과학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나아가 사회 현상들에 대해서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 문헌
1) “사회과학”, 두산백과
2) 사회복지조사론. 곽미정. 양성원. 2018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2.13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58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