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DI Case Study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 DI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력

2. Lab

3. Drug

4.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식이 없어 사정 불가
(2) 객관적 사정 : 의식이 없어 타액을 삼키지 못하는 모습이 관찰 됨
구강인두관을 삽입중인 모습이 관찰 됨
의식불명으로 인해 의복을 갈아입지 못하는 모습이 관찰 됨
8월 26일 GCS 사정 점수 3점으로 Deep Stupor로 관찰 됨
2) 간호진단
의식불명과 관련된 총체적 자가 간호 결핍
3) 간호계획
(1) 자가 간호 결핍으로 인한 구강점막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2) 자가 간호 결핍으로 인한 영양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3) 자가 간호 결핍으로 인한 흡인의 발생하지 않는다.
(4) 자가 간호 결핍으로 인한 배뇨의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5) 자가 간호 결핍으로 인한 피부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4) 수행
(1) Suction을 통해 가래와 타액을 흡인 함
스스로 호흡기계의 분비물을 배출하지 못하는 환자에게 흡인기구를 이용하여 축적된 분비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시행한다. 총 흡인시간이 5분을 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흡인을 장시간 실시하면 대상자에게 적정한 산소공급량이 감소되기 때문이며 흡인하는 동안 흡인병과 멸균용액을 자주 교환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한번에 10~15초 이상 실시해서는 안 되며 흡인하는 사이에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한다. 흡인기의 압력은 성인은 100~120mmHg, 소아 50~75mmHg 정도로 해야 한다.-[기본간호학. 현문사]
(2)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L-Tube를 이용하여 위관 영양을 시행 함
무의식, 의식저하, 연하곤란의 경우에 실시한다. 영약액의 온도, 유효기간 등을 확인하고 개봉된 영양액은 24시간이내, 실온에서 4~8시간이내 폐기 하도록 한다. 위관영양을 시행 후 머리 쪽을 올려 흡인의 우려를 예방하고 역류를 예방하기 위해 식후 3o0분간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흡인된 액체의 색이 최근에 투약된 약물들과 관련되지 않는 다면 의사에게 알리도록 한다. 과립제는 물을 흡수, 팽창하여 비위관을 막는 경우가 있으므로 물과 섞은 후에는 빨리 투여하도록 한다. - 기본간호중재의 적용(현문사)
(3)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구취 제거 및 구강 가습 제공으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시행한다. 폐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측위를 취하게 하고 세척액이 구강 내에 남아 있지 않도록 흡인기를 사용하여 남김없이 뽑아낸다.- 기본간호중재의 적용(현문사)
(4) 침상 세발 간호를 시행한다.
두피와 모발의 청결을 유지하고 혈액순환 촉진을 위해 시행한다. 이때 손톱으로 마사지하여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 하며 샴푸나 린스가 남아 있지 않도록 깨끗하게 헹구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자가 추위를 느낄 수 있으므로 보온을 유지 하도록 한다. - 기본간호중재의 적용(현문사)
(5) 환의를 갈아입힌다.
대상자의 안위를 증진하고 오염된 환의로 인한 감염을 예방한다.
(6) 침상 목욕을 시행한다.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고 축적된 피지성분, 땀, 괴사된 조직 및 세균 제거를 돕는다. 또한 근육 이완으로 관절가동 범위를 증진 시키고, 피부를 문질러 줌으로써 순환상태 촉진 및 감각자극의 기회를 제공한다. 적절한 물의 온도를 유지 하고 체온유지를 위해 닦아낼 부위를 제외한 신체는 담요로 덮어 체온이 저하되는 것을 막는다. - 기본간호중재의 적용(현문사)
(7) 유치도뇨관을 이용한 배뇨를 시행한다.
소변에 의한 피부손상을 예방하고, 혈괴로 인한 요도폐쇄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한다. 도뇨관 삽입 시 무균법을 지켜 감염을 막는 것이 중요하고, 도뇨관 삽입 후 규칙적인 회음부 간호를 통해 감염이 되지 않도록 한다. - 기본간호중재의 적용(현문사)
5) 평가
(1) 구강 점막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2) 처방에 따른 적절한 영양공급으로 영양부족이 발생하지 않았다.
(3) 흡인이 되지 않았으며 흡인의 위험성도 감소되었다.
(4) 도뇨관을 이용해 적절한 배뇨를 시행하고 있다.
(5) 욕창이 발생하지 않았다.
(6) GCS점수 13점으로 Drowsy로 사정되었다.
Ⅲ. 결론
내과중환자실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환자 중에 약물중독 환자를 케이스 환자로 정하고, 공부를 하면서 약물중독이란 여러 가지 문제를 복합적으로 안고 있으며 그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약물중독 환자를 접하게 될 때에는 약물에 노출된 사람의 수, 노출의 형태, 중독량, 노출 경로 등 약물 노출에 관한 자세한 병력 청취가 필요하며, 약물의 종류나 중독량에 따라 환자의 상태가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이루어지는 간호 또한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배웠다. 특히 의도된 약물중독의 경우 환자의 상태가 좋지 않는 경우가 많았고, 그로 인해 환자의 가족들이 고통 받는 모습 또한 볼 수 있었다. 그래서 환자 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적절한 정서적 지지를 해주어야한다는 것을 배웠다. 이번 중환자실 실습을 시작하면서 내가 실수를 하여 환자에게 해를 입히지는 않을까 하는 불안한 마음이 많았다. 하지만 실습을 하면서 중환자실에 있는 환자들은 좀 더 세심하고 집중되는 간호를 적용해야하고 아주 작은 일도 환자의 상태와 직결된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 병동과 적용되는 간호가 다르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번 실습은 나에게 매우 많은 것을 배우고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간호사라는 직업에 대한 사명감이 더욱 커지는 계기가 되었다.
Ⅳ.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1. 대한응급의학회(2011)/응급의학Ⅱ/군자출판사
2. 대한뇌혈관외과학회교과서편찬위원회(2010)/뇌혈관외과학/고려의학
3. 전시자 외(2020)/성인간호학(상)/현문사
4. 전시자 외(2020)/성인간호학(하)/현문사
5. 송경애 외(2008)/기본간호중재의 적용(개정판)/수문사
6. 최순희 외(2020)/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현문사
7. 양선희 외(2020)/기본간호학/현문사
8.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이 운영하는 Medline Plus 홈페이지
9.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응급검사계 홈페이지
10. 드러그인포 홈페이지
11. 네이버 대백과사전
12. 위키 백과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3.02.14
  • 저작시기2020.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5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