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내담자의 이해와 평가
2) 상담목표 선정
3) 상담전략 및 계획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내담자의 이해와 평가
2) 상담목표 선정
3) 상담전략 및 계획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명의 상담자와 여러 명의 내담자가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모색해나가는 상담 방식이다. 본 내담자의 문제가 타인과의 대면 교류를 통해 해소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원인과 환경의 내담자들을 접함으로써 자신의 문제를 보다 폭넓게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집단 상담에서의 상담사는 내담자 집단의 심리 상태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자연스러운 소통 분위기를 형성하게끔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대화 내용에 개입하거나 내담자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대신하는 등 윤리적인 문제에 저촉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내담자들이 서로의 문제를 각자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게끔 유도함으로써 집단 상담의 분위기를 지속적으로 끌고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현대사회가 개인주의로 나아감과 동시에 코로나 감염증이 확산되면서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비대면 소통이 일상 속에 녹아들게 되었다. 기존에는 원하든 원하지 않던 학교, 회사에 나가서 또래 친구, 직장 동료들과 대면하여 소통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재택근무가 활발해지면서 비대면 근무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는 개인의 편의를 향상시켰으나 동시에 사회생활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즉 일부러 시간과 비용을 들여 타인을 만나고자 하지 않으면 누구나 은둔형 외톨이가 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직장 생활, 학교생활과 같은 대표적인 집단생활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상생활 속에서도 사람들과 대면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졌다. 가령 배달 서비스도 활성화되면서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굳이 외출을 감행할 이유가 사라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배달 주문을 할 때 과거에는 ‘전화 통화’라는 음성 소통방식이 사용되었다면, 이제는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사람과의 대화나 소통 없이도 간단히 주문이 가능해졌다. 인터넷상에서 ‘컴퓨터 뒤에 사람 있다.’라는 밈이 유행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너도 나도 화면만 보고 소통을 하다 보니 매체를 통해 사람과 소통하더라도, 사람과 대화하는 것으로 느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단기간에 급변한 사회 환경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하고, 극단적으로 외부활동이 제한되는 코로나 사태 하에서 우울증 환자는 100만 명을 돌파했다. 코로나 블루 얼마나 심각했나? 지난해 우울증 환자 100만명 돌파, 서민지, 메디게이트뉴스, 2021.01.27
코로나의 영향으로 장기적으로 대인기피증, 우울증 등의 힘든 시기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상담 계획을 세워보는 과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담 경험을 쌓고, 실제 상담에서 활용해보는 과정을 통해 상담사의 역량을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4. 참고문헌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지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c4d2be62a37df40ffe0bdc3ef48d419&outLink=K
일본의 히키코모리(ひきこもり)와 한국의 은둔형 외톨이의 비교 고찰 : 발생원인과 대책을 중심으로, 노여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1007115&dbt=DIKO
코로나 블루 얼마나 심각했나? 지난해 우울증 환자 100만명 돌파, 서민지, 메디게이트뉴스, 2021.01.27
3. 결론
현대사회가 개인주의로 나아감과 동시에 코로나 감염증이 확산되면서 예상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비대면 소통이 일상 속에 녹아들게 되었다. 기존에는 원하든 원하지 않던 학교, 회사에 나가서 또래 친구, 직장 동료들과 대면하여 소통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으나, 코로나로 인해 재택근무가 활발해지면서 비대면 근무가 가능해진 것이다. 이는 개인의 편의를 향상시켰으나 동시에 사회생활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즉 일부러 시간과 비용을 들여 타인을 만나고자 하지 않으면 누구나 은둔형 외톨이가 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직장 생활, 학교생활과 같은 대표적인 집단생활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상생활 속에서도 사람들과 대면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는 일들이 많아졌다. 가령 배달 서비스도 활성화되면서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굳이 외출을 감행할 이유가 사라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배달 주문을 할 때 과거에는 ‘전화 통화’라는 음성 소통방식이 사용되었다면, 이제는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사람과의 대화나 소통 없이도 간단히 주문이 가능해졌다. 인터넷상에서 ‘컴퓨터 뒤에 사람 있다.’라는 밈이 유행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너도 나도 화면만 보고 소통을 하다 보니 매체를 통해 사람과 소통하더라도, 사람과 대화하는 것으로 느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단기간에 급변한 사회 환경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하고, 극단적으로 외부활동이 제한되는 코로나 사태 하에서 우울증 환자는 100만 명을 돌파했다. 코로나 블루 얼마나 심각했나? 지난해 우울증 환자 100만명 돌파, 서민지, 메디게이트뉴스, 2021.01.27
코로나의 영향으로 장기적으로 대인기피증, 우울증 등의 힘든 시기를 겪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상담 계획을 세워보는 과정을 통해 간접적으로 상담 경험을 쌓고, 실제 상담에서 활용해보는 과정을 통해 상담사의 역량을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4. 참고문헌
은둔형 외톨이 청소년의 은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지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c4d2be62a37df40ffe0bdc3ef48d419&outLink=K
일본의 히키코모리(ひきこもり)와 한국의 은둔형 외톨이의 비교 고찰 : 발생원인과 대책을 중심으로, 노여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DIKO0011007115&dbt=DIKO
코로나 블루 얼마나 심각했나? 지난해 우울증 환자 100만명 돌파, 서민지, 메디게이트뉴스, 2021.01.2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