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영국과 프랑스의 관계
2) 백년 전쟁의 시작
3) 흑사병 그 이후
4) 프랑스 잔 다르크의 등장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영국과 프랑스의 관계
2) 백년 전쟁의 시작
3) 흑사병 그 이후
4) 프랑스 잔 다르크의 등장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불만 세력들이 모여 호조 가문이 군사를 일으켜 가마쿠라를 탈환, 고다이고 천황을 내몰았다, 1338년 교모 천황을 올려 스스로 쇼군이라 칭하고 마로마치 바쿠후 시대를 열었다.
무로마치시대에는 왜구가 많이 나타나 이 시기에 특히 우리나라와 중국 해안의 사이에서 해적행위를 많이 하였다. 다음 대의 쇼군들이 뒤를 이으며 바쿠후의 힘은 약해졌으며, 그 틈을 비집고 11년 동안 이루어진 오닌의 난으로 수도 또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 오닌의 난으로 쇼군의 권위는 급속도로 실추되고 이어 100년 동안 이어지는 각 세력의 센고쿠 시대를 겪음으로써 약 240년 간의 무로마치 바쿠후는 멸망하였다.
2. 에도 바쿠후
도쿠가와의 에도 바쿠후 시대는 1603년 3월 24일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으로 취임하고 막 부를 창설함으로서id=\'ul_2\' color=\'red\' class=\'ul\' onclick=\'fShowHelp(2)\'>창설함으로서 시작되었다. 이는 1868년 11월 9일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 노부가 정권을 천왕에게 대정봉환까지 265년까지 존속되었다. 이 시기를 에도 시대, 또는 도쿠가와 시대라고 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미카와 영지에서 시작하여 강대 세력에 종속적인 위치를 두면서까지 틈틈이 천하통일을 노려왔으며 도카이 지역의 대부분을 지배하던 중에도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황무지와도 같은 에도로 이전할 때도 묵묵히 따라 에도를 농사지을 수 있는 토지로 발달시켜 가신단을 만들고 이 가신단에게 100만 석이 넘는 영토를 가신단에게 봉토로 나누어주고, 상급 가신단을 에도 영지의 주변에 배치하여 에도성의 방위를 높이고 확대 및 안정에 충실을 다하였다. 또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조선 침략에 출병하지 않아 에도 영지를 다지는 데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에도막부는 사농공상의 신분을 확고히 정하였으며, 통상수교 거부정책을 실시하여 기독교를 금지하였다. 이는 나중에 유교적 교화로도 이용하여 전국 지배로 강화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러한 시기가 지나도 1598년 이데요시가 죽고 나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천하통일의 시기가 한 발 앞으로 다가왔으며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1603년 정이대장군으로 임명되며 에도 막부를 개설하게 되었다. 이 시기 천왕은 상징적인 존재로 여겨졌으며 그 아래 막부가 존재하여 쇼군이 중앙을 담당하여 전체적인 통제를 하였다.
이에야스 시대에는 무사의 집안이 지켜야 할 법도와 다이묘의 참근 교대제, 주 도시 및 광산, 화폐 발행권 독점 등 막부의 시책을 17세기 전반에 걸쳐 완성하였으며, 그리스도교를 금지했다. 이후 1639년 무역 통제가 강화되면서 쇄국정책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업이 발전되고 서민 문화가 꽃을 피우게 된다. 하지만 양면에 막부와 다이묘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막번체제의 동요가 일어나게 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통치는 강력하였는데 이는 700만 석에 이르는 덴료와 가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가신들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산킨고다타이와 토목 등을 실시하였으며 여러 가지 법도를 제정하여 사사, 공가, 무가 등을 통할하였다. 관할 지역의 재정 기반은 화폐 주조 발행권과 통상수교거부정책에 의한 외국 무역 독점, 광산 지배, 쇼군의 사금고 등으로 운영되었으나 화폐 주조에 있어서 이후 경제가 발전하면서 여러 모순이 발생하게 되고 덴포의 개혁이나 교호, 간세이 등 재정 재건도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후 농민 봉기, 개국 문제 등을 시작으로 존왕양이 일으킨 운동으로 인하여 서서히 붕괴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사람들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뭘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 ‘말수가 적은 사람’이라는 평가를 많이 했다. 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천하통일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것도 있지만 선조부터 가장 가까이하던 가신에게 배신당한 경우가 많아 가신을 통제하기 위하여 평소에도 매우 신중하고 말수도 적었다고 한다. 친한 부하로부터의 반란이 많았던 센고쿠 시대에서 살아온 도쿠가와 이야에스에게는 당연할지도 모르는 환경과 이 시대 살아남기 위한 방법이었을 지도 모른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지금에 비하여 당시에는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었는데 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음습하고 말이 없고 조용한 스타일이었던 것도 있었다. 하지만 좋은 부분으로는 충성과 의리의 인물이라는 말이 많았는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충성을 맹세한 후 배신을 한 적이 없으며, 마지막까지 가문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3. 나의 생각
바쿠후 시대의 시작과 끝을 보며 일본의 과거 정치는 힘이 있는 자가 이끄는 것이 중심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머리가 좋은 사람이라기보다는 힘 있는 사람들이 모여 더 강한 자를 끌어내리는 방식이 많았으며 여기에서는 가장 믿는 사람의 배신 혹은 반역도 자주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어릴 적부터 본인의 가문에서 가장 가까운 자의 배신으로 여러 선조가 몰락하였기 때문에 천하통일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지만 항상 신중하였으며 반란 속에서도 본인이 충성을 맹세한 가문에게는 절대적으로 칼을 들이밀지 않았던 것 같다. 쉽게 왕권쟁탈에서 정의로운 칼은 없겠지만 그래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본인의 영토를 풍요롭게 지키려 노력하였고 본인의 지역 내 가신들을 배신 없이 신뢰로 이끌기 위하여 많은 고민을 하였음을 정책에서 느낄 수 있었다. 결국 이후에는 후대가 천왕에게 바쿠후를 넘기게 되었지만 앞선 가마쿠라 바쿠후나 마로마치 바쿠후에 비하여 확실히 현대에 가까운 통치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실정시대)]. 백과사전. 두디피아
미나모토모 요리토모, 일본 쇼군, 일본인물, 남기학. 세손출판사, 일본사학회
아시카가 다카우지, 두산백과
바쿠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에도 막부.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 신원문화사. 2002
에도 막부의 창립. 새로운 일본의 이해. 공의식. 다락원. 2005
도쿠가와 이에야스. 일본 쇼군. 일본인물. 박수철. 세손출판사, 일본사학회
무로마치시대에는 왜구가 많이 나타나 이 시기에 특히 우리나라와 중국 해안의 사이에서 해적행위를 많이 하였다. 다음 대의 쇼군들이 뒤를 이으며 바쿠후의 힘은 약해졌으며, 그 틈을 비집고 11년 동안 이루어진 오닌의 난으로 수도 또한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이 오닌의 난으로 쇼군의 권위는 급속도로 실추되고 이어 100년 동안 이어지는 각 세력의 센고쿠 시대를 겪음으로써 약 240년 간의 무로마치 바쿠후는 멸망하였다.
2. 에도 바쿠후
도쿠가와의 에도 바쿠후 시대는 1603년 3월 24일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쇼군으로 취임하고 막 부를 창설함으로서id=\'ul_2\' color=\'red\' class=\'ul\' onclick=\'fShowHelp(2)\'>창설함으로서 시작되었다. 이는 1868년 11월 9일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 노부가 정권을 천왕에게 대정봉환까지 265년까지 존속되었다. 이 시기를 에도 시대, 또는 도쿠가와 시대라고 한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미카와 영지에서 시작하여 강대 세력에 종속적인 위치를 두면서까지 틈틈이 천하통일을 노려왔으며 도카이 지역의 대부분을 지배하던 중에도 히데요시의 명령으로 황무지와도 같은 에도로 이전할 때도 묵묵히 따라 에도를 농사지을 수 있는 토지로 발달시켜 가신단을 만들고 이 가신단에게 100만 석이 넘는 영토를 가신단에게 봉토로 나누어주고, 상급 가신단을 에도 영지의 주변에 배치하여 에도성의 방위를 높이고 확대 및 안정에 충실을 다하였다. 또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조선 침략에 출병하지 않아 에도 영지를 다지는 데 더 집중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에도막부는 사농공상의 신분을 확고히 정하였으며, 통상수교 거부정책을 실시하여 기독교를 금지하였다. 이는 나중에 유교적 교화로도 이용하여 전국 지배로 강화하는 발판이 되었다. 이러한 시기가 지나도 1598년 이데요시가 죽고 나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천하통일의 시기가 한 발 앞으로 다가왔으며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승리하여 1603년 정이대장군으로 임명되며 에도 막부를 개설하게 되었다. 이 시기 천왕은 상징적인 존재로 여겨졌으며 그 아래 막부가 존재하여 쇼군이 중앙을 담당하여 전체적인 통제를 하였다.
이에야스 시대에는 무사의 집안이 지켜야 할 법도와 다이묘의 참근 교대제, 주 도시 및 광산, 화폐 발행권 독점 등 막부의 시책을 17세기 전반에 걸쳐 완성하였으며, 그리스도교를 금지했다. 이후 1639년 무역 통제가 강화되면서 쇄국정책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업이 발전되고 서민 문화가 꽃을 피우게 된다. 하지만 양면에 막부와 다이묘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막번체제의 동요가 일어나게 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통치는 강력하였는데 이는 700만 석에 이르는 덴료와 가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가신들을 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산킨고다타이와 토목 등을 실시하였으며 여러 가지 법도를 제정하여 사사, 공가, 무가 등을 통할하였다. 관할 지역의 재정 기반은 화폐 주조 발행권과 통상수교거부정책에 의한 외국 무역 독점, 광산 지배, 쇼군의 사금고 등으로 운영되었으나 화폐 주조에 있어서 이후 경제가 발전하면서 여러 모순이 발생하게 되고 덴포의 개혁이나 교호, 간세이 등 재정 재건도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후 농민 봉기, 개국 문제 등을 시작으로 존왕양이 일으킨 운동으로 인하여 서서히 붕괴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사람들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뭘 생각하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 ‘말수가 적은 사람’이라는 평가를 많이 했다. 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천하통일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던 것도 있지만 선조부터 가장 가까이하던 가신에게 배신당한 경우가 많아 가신을 통제하기 위하여 평소에도 매우 신중하고 말수도 적었다고 한다. 친한 부하로부터의 반란이 많았던 센고쿠 시대에서 살아온 도쿠가와 이야에스에게는 당연할지도 모르는 환경과 이 시대 살아남기 위한 방법이었을 지도 모른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지금에 비하여 당시에는 좋지 못한 평가를 받았었는데 이는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음습하고 말이 없고 조용한 스타일이었던 것도 있었다. 하지만 좋은 부분으로는 충성과 의리의 인물이라는 말이 많았는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충성을 맹세한 후 배신을 한 적이 없으며, 마지막까지 가문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3. 나의 생각
바쿠후 시대의 시작과 끝을 보며 일본의 과거 정치는 힘이 있는 자가 이끄는 것이 중심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머리가 좋은 사람이라기보다는 힘 있는 사람들이 모여 더 강한 자를 끌어내리는 방식이 많았으며 여기에서는 가장 믿는 사람의 배신 혹은 반역도 자주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어릴 적부터 본인의 가문에서 가장 가까운 자의 배신으로 여러 선조가 몰락하였기 때문에 천하통일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지만 항상 신중하였으며 반란 속에서도 본인이 충성을 맹세한 가문에게는 절대적으로 칼을 들이밀지 않았던 것 같다. 쉽게 왕권쟁탈에서 정의로운 칼은 없겠지만 그래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본인의 영토를 풍요롭게 지키려 노력하였고 본인의 지역 내 가신들을 배신 없이 신뢰로 이끌기 위하여 많은 고민을 하였음을 정책에서 느낄 수 있었다. 결국 이후에는 후대가 천왕에게 바쿠후를 넘기게 되었지만 앞선 가마쿠라 바쿠후나 마로마치 바쿠후에 비하여 확실히 현대에 가까운 통치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실정시대)]. 백과사전. 두디피아
미나모토모 요리토모, 일본 쇼군, 일본인물, 남기학. 세손출판사, 일본사학회
아시카가 다카우지, 두산백과
바쿠후.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박문각
에도 막부. Basic 고교생을 위한 세계사 용어사전 . 신원문화사. 2002
에도 막부의 창립. 새로운 일본의 이해. 공의식. 다락원. 2005
도쿠가와 이에야스. 일본 쇼군. 일본인물. 박수철. 세손출판사, 일본사학회
추천자료
(2022년 방송통신대 세계의역사 기말과제물)19세기 중엽 이후 중화민국의 수립에 이르기까지...
세계의역사 2022 기말]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중엽까지 진행된 백년전쟁의 과정을 약술하고...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세계의역사)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중엽까지 진행된 백년전쟁...
1 14세기 중엽 15세기 중엽까지 진행된 백년전쟁의 과정을 약술하고, 그 성격에 대해서 서술...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중엽까지 진행된 백년전쟁의 과정을 약술하고, 그 성격에 대해서 서...
방송대_22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세계의역사(공통) -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중엽까지 진행...
세계 ) 1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중엽까지 진행된 백년전쟁의 과정을 약술하고, 그 성격에 ...
세계사 )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중엽까지 진행된 백년전쟁의 과정을 약술하고, 그 성격에 ...
세계역사 ) 14세기 중엽부터 15세기 중엽까지 진행된 백년전쟁의 과정을 약술하고, 그 성격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