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린 항체 있어도
인슐린 분비능력을 정확히 반영
당뇨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
인슐린 부족으로 포도당이 세포내로 이동될 수 없을 때(에너지로 당질을 이용할 수 없을 때)
에너지를 만들기 위하여 단백질이나 지방을 이용하기 시작
지방조직에서 과량의 지방산이 유리되어 간으로 이동, 간에서의 이화작용을 통해 케톤체를 많이 형성하여 혈액 내에 케톤체가 축적(케톤 때문에 pH 낮아짐)
당뇨성 케톤산증
증상
1. 탈수 : 과량의 포도당과 케톤체를 배설하기 위하여 다량의 소변 배설
2. 케톤뇨
3. 호흡 시 아세톤 냄새, Kussmaul 호흡(깊고 빠른호흡)
비케톤성 고삼투성 혼수
Non ketotic hyperosmolar coma, NKHC
혈당상승되고 그 결과 삼투압이 올라가며 탈수가 되고 의식은 더욱 나빠져서 혼수상태
케톤뇨가 거의 없음
비케톤성 고삼투성 혼수의
증상(4)
1. 심한 고혈당(600~2000mg/dL)
2. 케톤산증이 없거나 약함
3. 심한 탈수
4. BUN의 상승
인슐린 투여 시 주의할 증상
소모기(Somogyi)
현상
저혈당 반응과 고혈당 시기가 변화하는 특징적 반응, 혈당조절 초기단계에 발생
새벽현상
(Dawn phenomenon)
새벽 3시까지는 혈당이 정상이다가 그 이후부터 증가,
제 2형 당뇨병에서 주로 다타남
밤동안 지속적으로 혈당 상승
(cf. 소모기현상: 저혈당에서 고혈당으로 진행)
인슐린 투여방법
인슐린 섞을 경우
: 중간작용형, 속효성 → 지속형 인슐린 순서
(맑은것에서 탁한것)
정소, 난소 호르몬
정소
안드로겐
난소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estrogen
지방축적, 유방비대 촉진, 유륜의 색소침착, 유즙생산 촉진, 배란유도
자궁근(평활근)의 수축력 증가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자궁내막의 비후, 유즙생산에 필요한 유방소엽 발달 강화
(분만 때까지 )자궁근의 수축 억제
감각계
백내장
cataracts
수정체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투명도 상실
백내장의 원인
노화, 눈의 외상 등
백내장의 증상
점진적이고 통증이 없는 시력상실
적반사(red reflex)의 결여
백내장의 수술
외과적 수술이 백내장 치료의 유일방법
백내장 수술 후 간호
안압상승 예방 (10~21mmHg)
- 침상 머리 올려붐
- 기침 재채기 금지, 무거운 것 들지 않음
안대착용 : 안구손상, 안구움직임 최소화
녹내장
Glaucoma
방수 유출 통로의 폐쇄로 인해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상태 (정상안압 → 10~21mmHg)
시신경의 위축을 가져와 회복할 수 없는 실명 초래
녹내장의 종류
만성 광각형
녹내장
chronic wide angle glaucoma
방수의 생산에 비해 배액이 줄어들어 안압 상승
과도한 눈물 분비
초기에는 초생달 모양의 암점
주변 시력의 감소가 점진적으로 나타나 서서히 시력상실
급성
협각형
녹내장
acute narrow angle glaucoma
방수의 배액이 완전히 막혀 안압상승
급성안구통증, 급성시력소실
녹내장의 약물요법
안압 낮추기 위해 방수배출 증가, 방수생성 감소
- 방수배출 증가 : 축동제(동공수축으로 홍채 각막각을 늘려 방수배출 증가)
- 방수생성감소 : 베타차단제
녹내장의 간호중재
안약 정확히 점적
축동제: 1~2시간 동안은 시력이 흐려지고 어두운 환경에 적응 힘듬
망막박리
retinal detachment
망막 안쪽의 감각층과 바깥쪽의 색소상피층 사이가 떨어지는 것
망막박리의 증상
눈앞이 뻔쩍거림(광시, photopsia)
점차적으로 악화되는 흐린 시력
안과검사
- 망막이 회색구름처럼 걸려있음
- 하나 또는 그 이상 찢어진 경우
망막박리의 수술 후 간호
눈의 휴식
냉습포, 온습포
근거리 시력 요하는 작업 제한
결막염
conjunctivitis
결막의 염증
안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물
산동제
:눈근육 이완하여
동공확대
수정체,홍채사이 유착방지
Atropine
안압상승 모니터
가까운 물체의 조절 불능
녹내장금기
(방수배출막아 안압 증가시킴)
축동제
:동공수축
(홍채이완, 모양체수축)
Pilocarpine
녹내장 치료
b-교감신경차단제
Timolol maleate
녹내장치료
청력상실의 유형
전도성 난청
외이나 중이에서 소리의 기계적 전달 장애로 내이까지 음파가 전달되지 못함
Rinne test(-) → 골전도 > 공기전도
(정상: 공기전도 > 골전도)
감각신경성 난청
내이신경이나 뇌신경의 신경전도상의 장애 있을 때
Weber test(-) → 정상귀쪽에서 더 잘 들림
Weber test
: 이마나 치아에 놓고 그 음이 양쪽귀에 동일하게 들리는지 아닌지
골전도와 공기전도의 비교: 편측성 청력손실의 경우 유용
→ 감각신경성 난청
- 전도성 장애: 병이 있는 귀쪽에서 더 잘 들림
- 감각성 장애: 정상 귀쪽에서 더 잘 들림,
신경손상있는 귀는 인지 불가능
Rinne test
: 진동음차를 유양돌기에 댔다가 이도 개구에서 6cm 떨어진 곳
골전도와 공기전도의 비교
정상(Rinne 양성): 공기전도(2~3배) > 골전도
- 전도성 난청(중이염) : 골전도 > 공기전도 보다 더 길게들림
- 감각신경성 난청: 정상양상 but 전반적으로 공기전도와 골전도의 소리 감소
단순포진
Herpes simplex → 항바이러스제(Acyclovir)
대상포진
Herpes zoster → 항바이러스제(Acyclovir)
화상입은 체표면의 비율
: 9의법칙(12세이상)
머리와 목 : 9%
양팔: 9%
몸통의 앞면 : 18%
몸통의 뒷면 : 18%
양쪽다리 : 18%
회음부: 1%
화상입은 환자
수액공급
4ml Lactated Ringer\'s solution x 체중(kg) x 화상입은 체표면적(%) = 첫 24시간 동안의 체액요구량(ml)
첫 8시간동안 → 전체요구량의 1/2
나머지 각각의 8시간 → 1/4씩 요구
화상입은 환자
기도확보
수분불균형 보충
화상부위의 옷을 찬물에 빨리 적시어 화상부위를 식힘
상처는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덮고, 열손실 막기위해 건조한 담요로 덮어줌(얼음 사용 절대 금지!!)
인슐린 분비능력을 정확히 반영
당뇨성 케톤산증
Diabetic ketoacidosis
DKA
인슐린 부족으로 포도당이 세포내로 이동될 수 없을 때(에너지로 당질을 이용할 수 없을 때)
에너지를 만들기 위하여 단백질이나 지방을 이용하기 시작
지방조직에서 과량의 지방산이 유리되어 간으로 이동, 간에서의 이화작용을 통해 케톤체를 많이 형성하여 혈액 내에 케톤체가 축적(케톤 때문에 pH 낮아짐)
당뇨성 케톤산증
증상
1. 탈수 : 과량의 포도당과 케톤체를 배설하기 위하여 다량의 소변 배설
2. 케톤뇨
3. 호흡 시 아세톤 냄새, Kussmaul 호흡(깊고 빠른호흡)
비케톤성 고삼투성 혼수
Non ketotic hyperosmolar coma, NKHC
혈당상승되고 그 결과 삼투압이 올라가며 탈수가 되고 의식은 더욱 나빠져서 혼수상태
케톤뇨가 거의 없음
비케톤성 고삼투성 혼수의
증상(4)
1. 심한 고혈당(600~2000mg/dL)
2. 케톤산증이 없거나 약함
3. 심한 탈수
4. BUN의 상승
인슐린 투여 시 주의할 증상
소모기(Somogyi)
현상
저혈당 반응과 고혈당 시기가 변화하는 특징적 반응, 혈당조절 초기단계에 발생
새벽현상
(Dawn phenomenon)
새벽 3시까지는 혈당이 정상이다가 그 이후부터 증가,
제 2형 당뇨병에서 주로 다타남
밤동안 지속적으로 혈당 상승
(cf. 소모기현상: 저혈당에서 고혈당으로 진행)
인슐린 투여방법
인슐린 섞을 경우
: 중간작용형, 속효성 → 지속형 인슐린 순서
(맑은것에서 탁한것)
정소, 난소 호르몬
정소
안드로겐
난소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estrogen
지방축적, 유방비대 촉진, 유륜의 색소침착, 유즙생산 촉진, 배란유도
자궁근(평활근)의 수축력 증가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자궁내막의 비후, 유즙생산에 필요한 유방소엽 발달 강화
(분만 때까지 )자궁근의 수축 억제
감각계
백내장
cataracts
수정체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투명도 상실
백내장의 원인
노화, 눈의 외상 등
백내장의 증상
점진적이고 통증이 없는 시력상실
적반사(red reflex)의 결여
백내장의 수술
외과적 수술이 백내장 치료의 유일방법
백내장 수술 후 간호
안압상승 예방 (10~21mmHg)
- 침상 머리 올려붐
- 기침 재채기 금지, 무거운 것 들지 않음
안대착용 : 안구손상, 안구움직임 최소화
녹내장
Glaucoma
방수 유출 통로의 폐쇄로 인해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상태 (정상안압 → 10~21mmHg)
시신경의 위축을 가져와 회복할 수 없는 실명 초래
녹내장의 종류
만성 광각형
녹내장
chronic wide angle glaucoma
방수의 생산에 비해 배액이 줄어들어 안압 상승
과도한 눈물 분비
초기에는 초생달 모양의 암점
주변 시력의 감소가 점진적으로 나타나 서서히 시력상실
급성
협각형
녹내장
acute narrow angle glaucoma
방수의 배액이 완전히 막혀 안압상승
급성안구통증, 급성시력소실
녹내장의 약물요법
안압 낮추기 위해 방수배출 증가, 방수생성 감소
- 방수배출 증가 : 축동제(동공수축으로 홍채 각막각을 늘려 방수배출 증가)
- 방수생성감소 : 베타차단제
녹내장의 간호중재
안약 정확히 점적
축동제: 1~2시간 동안은 시력이 흐려지고 어두운 환경에 적응 힘듬
망막박리
retinal detachment
망막 안쪽의 감각층과 바깥쪽의 색소상피층 사이가 떨어지는 것
망막박리의 증상
눈앞이 뻔쩍거림(광시, photopsia)
점차적으로 악화되는 흐린 시력
안과검사
- 망막이 회색구름처럼 걸려있음
- 하나 또는 그 이상 찢어진 경우
망막박리의 수술 후 간호
눈의 휴식
냉습포, 온습포
근거리 시력 요하는 작업 제한
결막염
conjunctivitis
결막의 염증
안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약물
산동제
:눈근육 이완하여
동공확대
수정체,홍채사이 유착방지
Atropine
안압상승 모니터
가까운 물체의 조절 불능
녹내장금기
(방수배출막아 안압 증가시킴)
축동제
:동공수축
(홍채이완, 모양체수축)
Pilocarpine
녹내장 치료
b-교감신경차단제
Timolol maleate
녹내장치료
청력상실의 유형
전도성 난청
외이나 중이에서 소리의 기계적 전달 장애로 내이까지 음파가 전달되지 못함
Rinne test(-) → 골전도 > 공기전도
(정상: 공기전도 > 골전도)
감각신경성 난청
내이신경이나 뇌신경의 신경전도상의 장애 있을 때
Weber test(-) → 정상귀쪽에서 더 잘 들림
Weber test
: 이마나 치아에 놓고 그 음이 양쪽귀에 동일하게 들리는지 아닌지
골전도와 공기전도의 비교: 편측성 청력손실의 경우 유용
→ 감각신경성 난청
- 전도성 장애: 병이 있는 귀쪽에서 더 잘 들림
- 감각성 장애: 정상 귀쪽에서 더 잘 들림,
신경손상있는 귀는 인지 불가능
Rinne test
: 진동음차를 유양돌기에 댔다가 이도 개구에서 6cm 떨어진 곳
골전도와 공기전도의 비교
정상(Rinne 양성): 공기전도(2~3배) > 골전도
- 전도성 난청(중이염) : 골전도 > 공기전도 보다 더 길게들림
- 감각신경성 난청: 정상양상 but 전반적으로 공기전도와 골전도의 소리 감소
단순포진
Herpes simplex → 항바이러스제(Acyclovir)
대상포진
Herpes zoster → 항바이러스제(Acyclovir)
화상입은 체표면의 비율
: 9의법칙(12세이상)
머리와 목 : 9%
양팔: 9%
몸통의 앞면 : 18%
몸통의 뒷면 : 18%
양쪽다리 : 18%
회음부: 1%
화상입은 환자
수액공급
4ml Lactated Ringer\'s solution x 체중(kg) x 화상입은 체표면적(%) = 첫 24시간 동안의 체액요구량(ml)
첫 8시간동안 → 전체요구량의 1/2
나머지 각각의 8시간 → 1/4씩 요구
화상입은 환자
기도확보
수분불균형 보충
화상부위의 옷을 찬물에 빨리 적시어 화상부위를 식힘
상처는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로 덮고, 열손실 막기위해 건조한 담요로 덮어줌(얼음 사용 절대 금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