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옥외 광고물 법) 따르면 도시 지역 등에 광고물을 게시하고자 하는 경우 행정기관에 신고 절차를 거쳐 적법한 장소에 게시토록 하고 있으며 이를 어긴 유동 광고물의 경우 예고 없이 강제 철거하고, 광고주 등 위법 행위자에 대해 최대 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규정 출처: 헤드라인제주(http://www.headlinejeju.co.kr)
8이글을 읽고 토론댓글 작성합니다→
위의 의견에 일부 동의한다. 특히 법적인 규제가 형식적으로만 존재하고 실질적으로 잘 운영되지 않는다는 것에 동의를 표한다. 과태료와 법적 조치가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라는 정책적인 방향성에 대해서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자율적인 면모도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다 폭넓은 정부의 규제로 인해서 우리는 보다 획기적인 광고의 방향틀을 만들어 나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제목 광고학 토론
9이학습자님토론글 -광고의 자율규제
→광고의 자율규제는 광고 행위가 정부나 법의 힘으로 통제되기 보다는 광고 윤리에 입각해 관계단체 스스로가 타율규제를 최소화하고 광고에 대한 비판을 자체적으로 흡 수, 해결하기 위한 자발적인 행위이다.
→자율규제는 규제원(source of control)에 따라
① 광고주 자신에 의한 규제, ② 광고 주의 집단에 의한 규제, ③ 광고업자들에 의한 규제, ④ 미디어 자체에 의한 규제의 4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광고의 타율규제
광고의 타율규제란 ‘광고행위는 자기 규율이나 자율규제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고 다수 의 소비자와 심지어 경쟁자들까지도 부당한 광고 행위에 맞설 의지와 수단이 부족하다는 사고에서 비롯된 것으로 법적인 처벌을 비롯한 정부의 다양한 규제 행위를 통해 광고를 규제 하는 것을 말한다.
쿠팡 플레이가 유튜브에 올린 배우 허성태의 코카인 댄스 영상. 유튜브 캡처
[출처]\"마약은 덫\" 공익광고 밑엔, 10대들 열광한 \'코카인 댄스\' 떴다|작성자블랙
지난해 말부터 10대들에게 코카인 댄스가 유행했다 아프리카TV BJ하루가 독일 음악인 코카인 2021 배경음악에 춤을 추는 영상을 올리면서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 올해 쿠팡플레이스 에서 영화배우 허성태가 SNL코리아에서 코카인 댄스를 추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식픔의약품안전처가 공익광고 마약예방캠폐인에 모델로 출연했다 그는 이 광고에서 단 한번의 호기심도 허락하지 마세요 마약은 덫 입니다 라고 말한다 하지만 수많은 방송인이 코카인 댄스를 추면서 10대 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고 권하고 있는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드는게 사실이다 마약이라는 단어가 주는 단어는 어찌보면 중독성을 유발한다 마약김밥 마약소스 마약떡볶이 등 호기심을 불러 일의키기 춤분하기 때문이다 마약만두 마약곱창등 간판들도 쉽게 찾아 볼수가 있다 무차별한 상표와 언어적 표현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경계심을 무너 트리기 충분 했다 갈수록 증가하는 청소년들의 약불복용 문제가 그 예로 볼수 있다 공익성과 자율성이 맞물려 제작된 광고 이지만 어떤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기 충분하다면 그에 맞는 강제성도 필요 하다고 본다 이건 마치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처럼 양면성이 언제나 문제라고 본다 이익을 중요시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조금 더 자극적이고 선정적이고 어필하기 좋은 강한 문구들이 소비자의 심리를 쉽게 제픔 앞으로 다가서게 할수 있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규제가 없다는 그 광고들 속의 사회적 문제점들은 기업이 나서서 치유 하거나 해결하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정부의 몫이고 광고는 기업의 몫 이다라는 경계 속에서 끝나지 않는 대립구도로 일관 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자율에는 보이지 않는 책임이 따른다 자율이나 타율이 냐를 먼저 논하기 전에 자율속에 있는 자유에 대한 책임감을 먼저 인식하고 자율을 속에서 공적인 부분을 좀더 생각 하고 스스로 규제 하는 것이 올바른 광고의 길이 아닌가 본다
9이글을 읽고 토론댓글 작성합니다→
위의 의견에 대해서 동의한다. 시장 체제에서 자율적인 부분이 중시되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안전과 연관되어 있는 것은 경우는 타율 규제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하신 마약과 같은 경우에는 약물 오남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국민의 건강에 위협을 가한다. 그렇기에 이는 국가적으로 통제하고 타율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 동감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제목 광고학 토론
10이학습자님토론글 광고의 자율규제는 광고 행위가 정부나 법의 힘으로 통제되기 보다는 광고 윤리에 입각해 관계단체 스스로가 타율규제를 최소화하고 광고에 대한 비판을 자체적으로 흡수,해결하기 위한 자발적인 행위이다.
광고의 타율규제는 광고행위는 자기 규율이나 자율규제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고 다수의 소비자와 심지어 경쟁자들까지도 부당한 광고 행위에 맞설 의자와 수단이 부족하다는 사고에서 비롯된 것으로 법적인 처벌을 비롯한 정부의 다양한 규제 행위를 통해 광고를 규제 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광고계는 소비자를 기만하면서 까지 무분별한 상품의 허위 광고가 문제이다.
대표적으로 바디프랜드이다.
바디프랜드는 자사의 안마의자에 앉으면 키크고 성적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과장광고를 아무렇지도 않게 홍보하면서 소비자를 기만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사례가 생길때 마다 소비자는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막대한 벌금을 물어서 다시는 이런 광고를 홍보하면서 소비자를 혼란시키지 않았으면 한다.
10이글을 읽고 토론댓글 작성합니다→
위의 의견에 반대한다. 허위 광고를 단순히 법적인 규제로서 막는 것에는 허위라는 정의의 모호성과 함께 판단에서의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정보 시대에 사는 우리는 어느 정도 제품의 좋고 나쁨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다. 그렇기에 법적인 규제가 원활히 사용될 수는 없겠지만 자율적인 규제로 소비자들의 높아진 소비 의식과 이에 변화하는 내부적인 광고로 허위광고는 해결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8이글을 읽고 토론댓글 작성합니다→
위의 의견에 일부 동의한다. 특히 법적인 규제가 형식적으로만 존재하고 실질적으로 잘 운영되지 않는다는 것에 동의를 표한다. 과태료와 법적 조치가 보다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할 것이라는 정책적인 방향성에 대해서 인정하지만 그럼에도 자율적인 면모도 존중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다 폭넓은 정부의 규제로 인해서 우리는 보다 획기적인 광고의 방향틀을 만들어 나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9제목 광고학 토론
9이학습자님토론글 -광고의 자율규제
→광고의 자율규제는 광고 행위가 정부나 법의 힘으로 통제되기 보다는 광고 윤리에 입각해 관계단체 스스로가 타율규제를 최소화하고 광고에 대한 비판을 자체적으로 흡 수, 해결하기 위한 자발적인 행위이다.
→자율규제는 규제원(source of control)에 따라
① 광고주 자신에 의한 규제, ② 광고 주의 집단에 의한 규제, ③ 광고업자들에 의한 규제, ④ 미디어 자체에 의한 규제의 4 가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광고의 타율규제
광고의 타율규제란 ‘광고행위는 자기 규율이나 자율규제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고 다수 의 소비자와 심지어 경쟁자들까지도 부당한 광고 행위에 맞설 의지와 수단이 부족하다는 사고에서 비롯된 것으로 법적인 처벌을 비롯한 정부의 다양한 규제 행위를 통해 광고를 규제 하는 것을 말한다.
쿠팡 플레이가 유튜브에 올린 배우 허성태의 코카인 댄스 영상. 유튜브 캡처
[출처]\"마약은 덫\" 공익광고 밑엔, 10대들 열광한 \'코카인 댄스\' 떴다|작성자블랙
지난해 말부터 10대들에게 코카인 댄스가 유행했다 아프리카TV BJ하루가 독일 음악인 코카인 2021 배경음악에 춤을 추는 영상을 올리면서 유행을 타기 시작했다 올해 쿠팡플레이스 에서 영화배우 허성태가 SNL코리아에서 코카인 댄스를 추면서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식픔의약품안전처가 공익광고 마약예방캠폐인에 모델로 출연했다 그는 이 광고에서 단 한번의 호기심도 허락하지 마세요 마약은 덫 입니다 라고 말한다 하지만 수많은 방송인이 코카인 댄스를 추면서 10대 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고 권하고 있는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드는게 사실이다 마약이라는 단어가 주는 단어는 어찌보면 중독성을 유발한다 마약김밥 마약소스 마약떡볶이 등 호기심을 불러 일의키기 춤분하기 때문이다 마약만두 마약곱창등 간판들도 쉽게 찾아 볼수가 있다 무차별한 상표와 언어적 표현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경계심을 무너 트리기 충분 했다 갈수록 증가하는 청소년들의 약불복용 문제가 그 예로 볼수 있다 공익성과 자율성이 맞물려 제작된 광고 이지만 어떤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키기 충분하다면 그에 맞는 강제성도 필요 하다고 본다 이건 마치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처럼 양면성이 언제나 문제라고 본다 이익을 중요시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조금 더 자극적이고 선정적이고 어필하기 좋은 강한 문구들이 소비자의 심리를 쉽게 제픔 앞으로 다가서게 할수 있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규제가 없다는 그 광고들 속의 사회적 문제점들은 기업이 나서서 치유 하거나 해결하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정부의 몫이고 광고는 기업의 몫 이다라는 경계 속에서 끝나지 않는 대립구도로 일관 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자율에는 보이지 않는 책임이 따른다 자율이나 타율이 냐를 먼저 논하기 전에 자율속에 있는 자유에 대한 책임감을 먼저 인식하고 자율을 속에서 공적인 부분을 좀더 생각 하고 스스로 규제 하는 것이 올바른 광고의 길이 아닌가 본다
9이글을 읽고 토론댓글 작성합니다→
위의 의견에 대해서 동의한다. 시장 체제에서 자율적인 부분이 중시되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안전과 연관되어 있는 것은 경우는 타율 규제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앞서 언급하신 마약과 같은 경우에는 약물 오남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국민의 건강에 위협을 가한다. 그렇기에 이는 국가적으로 통제하고 타율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 동감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제목 광고학 토론
10이학습자님토론글 광고의 자율규제는 광고 행위가 정부나 법의 힘으로 통제되기 보다는 광고 윤리에 입각해 관계단체 스스로가 타율규제를 최소화하고 광고에 대한 비판을 자체적으로 흡수,해결하기 위한 자발적인 행위이다.
광고의 타율규제는 광고행위는 자기 규율이나 자율규제만으로는 신뢰하기 어렵고 다수의 소비자와 심지어 경쟁자들까지도 부당한 광고 행위에 맞설 의자와 수단이 부족하다는 사고에서 비롯된 것으로 법적인 처벌을 비롯한 정부의 다양한 규제 행위를 통해 광고를 규제 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광고계는 소비자를 기만하면서 까지 무분별한 상품의 허위 광고가 문제이다.
대표적으로 바디프랜드이다.
바디프랜드는 자사의 안마의자에 앉으면 키크고 성적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과장광고를 아무렇지도 않게 홍보하면서 소비자를 기만하기까지 했다. 이러한 사례가 생길때 마다 소비자는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막대한 벌금을 물어서 다시는 이런 광고를 홍보하면서 소비자를 혼란시키지 않았으면 한다.
10이글을 읽고 토론댓글 작성합니다→
위의 의견에 반대한다. 허위 광고를 단순히 법적인 규제로서 막는 것에는 허위라는 정의의 모호성과 함께 판단에서의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정보 시대에 사는 우리는 어느 정도 제품의 좋고 나쁨을 스스로 파악할 수 있다. 그렇기에 법적인 규제가 원활히 사용될 수는 없겠지만 자율적인 규제로 소비자들의 높아진 소비 의식과 이에 변화하는 내부적인 광고로 허위광고는 해결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추천자료
의료분야 전자상거래 현황과 법적문제점(의료마케팅 전자상거래 마케팅
[광고]PPL
한국방송광고공사의 역할과 앞으로 방송광고계의 방향
새로운 통합방송법에 대한 광고심의제도의 쟁점과 광고산업의 영향
[방송심의규정]광고심의(방송광고심의규정)의 영역, 광고심의(방송광고심의규정) 필요성, 광...
[PPL][간접광고]PPL(간접광고, 제품배치)의 정의, PPL(간접광고, 제품배치)의 유형, PPL(간접...
[경영, 경제] 광고윤리에 대해서
[기업국제광고][기업][국제광고][국제][광고][기업국제광고 역사][기업국제광고 필요성][기업...
공정경쟁과 소비자 보호를 위한 표시광고규제의현황과 발전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