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당류 개념 및 기능
2. 과잉 당류의 문제점
3. 당류 저감화 정책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당류 개념 및 기능
2. 과잉 당류의 문제점
3. 당류 저감화 정책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00만원 이하는 \'보통이다\'가 7명(41.2%), 100~300만원이하는 \'전혀아니다\'가 17명(38.6%), 300만원 초과는 \'아니다\'가 12명(31.6%)으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351). 당 함유 식품 선택 시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 모든 생활비 구간에서 \'맛\'이 가장 많았고, 100~300만원 이하는 31명(70.5%)으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466). 당 함유 식품 섭취 이유에서 모든 생활비 구간에서 \'맛\'이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가 그 다음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660). 음료, 쿠키, 간식 등에 대한 기호도에서 100만원 이하는 \'아니아\'가 6명(35.3%)으로 가장 많았고, 100~300만원이하와 300만원 초과는 \'보통이다\'가 17명(38.6%), 16명(42.1%)으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109). 음료, 쿠키, 간식 등의 일주일간 섭취 빈도에서 모든 생활비 구간에서 1-3번 미만이 가장 많았고, 5번 이상이 가장 적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971) (표 13).
결과적으로, 위의 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당 저감화 영양교육의 경험이 없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당 함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당류 함량 지식 유무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식습관 특성과 섭취빈도의 경우는 당류 함량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맛에 의해 당 함유 식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영양지식의 결과를 통해 당 저감화 영양 교육을 포함하여 영양지식은 성별에 의한 유의한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연령과 체질량 지수, 거주형태, 생활비 등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식습관 특성과 섭취 빈도의 경우도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당 함유 식품 선택시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맛’으로 50대에서 가장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섭취 이유에서도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체질량 지수나 거주형태, 생활비에 따른 식습관 특성과 섭취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전반적으로 당류 저감화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제적으로 당 저감화 교육이나 일반적인 특성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류저감화 인식이 올바르게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관심도는 높아 건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점을 토대로 당류저감화에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할 수 있다. 즉, 당류저감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교육을 수행하여 실제로 당류저감화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경우 인구학적 특성이나 생활비, 체질량지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이전에 연구된 결과 등에서는 당류저감화 인식에 있어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 연구 이진주. \"외식소비자의 당류저감화 인식이 대체감미료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경기도
에서는 여성이고, 40대 소비자이며, 상대적으로 학력이 높은 경우 등 당류저감화 실행이나 교육의 필요성 수준 등이 높고 대체감미료 구매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등 실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결과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소비자들 특성에 의해 당류저감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토대로 앞으로의 당류저감화에 대한 인식개선 정책 등의 방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맛과 관련하여 당 함유 식품을 선택할 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대체감미료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당류저감화에 대한 실행이 더 적극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99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당류저감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실질적으로 행동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당류저감화 인식을 더 높이고 실제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한 결과로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이 결과가 당저감화 인식과 당 함유 가공식품 이용실태에 대한 일반화를 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무엇보다 당 섭취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당 섭취를 감소시키며 일상생활 속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당 섭취 저감화에 대한 인식과 교육을 개선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은 대응이 필요함을 알 수있다. 무엇보다 식생활에 대해 적용가능한 교육을 통해 영양문제가 자신의 더 나은 삶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더 많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당저감화 인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당 저감화와 관련한 영양지식의 향상뿐만 아니라 당 섭취 행동의 직접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영양교육과 함께 실제 식생활에서도 체계적인실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식행동 및 건강행위에 대한 변화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당 섭취 저감화로 우리나라 국민의 전반적인 당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Ⅴ. 참고문헌
1) 오수보. \"외식업체 메뉴와 음료세트의 당저감화 전략.\" 국내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경기도
2) 차민정. \"서울지역 학교급식 중·고등학교 영양(교)사 대상 당류 저감화 실태 및 영양표시 이해도 조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서울
3) 이진주. \"외식소비자의 당류저감화 인식이 대체감미료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경기도
결과적으로, 위의 결과를 통해 참여자들의 대부분은 당 저감화 영양교육의 경험이 없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당 함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당류 함량 지식 유무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식습관 특성과 섭취빈도의 경우는 당류 함량을 확인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맛에 의해 당 함유 식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영양지식의 결과를 통해 당 저감화 영양 교육을 포함하여 영양지식은 성별에 의한 유의한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연령과 체질량 지수, 거주형태, 생활비 등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식습관 특성과 섭취 빈도의 경우도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당 함유 식품 선택시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맛’으로 50대에서 가장 많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섭취 이유에서도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체질량 지수나 거주형태, 생활비에 따른 식습관 특성과 섭취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전반적으로 당류 저감화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상의 수준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제적으로 당 저감화 교육이나 일반적인 특성 등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당류저감화 인식이 올바르게 형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관심도는 높아 건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점을 토대로 당류저감화에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할 수 있다. 즉, 당류저감화에 대한 관심과 함께 교육을 수행하여 실제로 당류저감화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을 높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참여자들의 경우 인구학적 특성이나 생활비, 체질량지수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이전에 연구된 결과 등에서는 당류저감화 인식에 있어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 연구 이진주. \"외식소비자의 당류저감화 인식이 대체감미료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경기도
에서는 여성이고, 40대 소비자이며, 상대적으로 학력이 높은 경우 등 당류저감화 실행이나 교육의 필요성 수준 등이 높고 대체감미료 구매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등 실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결과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소비자들 특성에 의해 당류저감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토대로 앞으로의 당류저감화에 대한 인식개선 정책 등의 방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맛과 관련하여 당 함유 식품을 선택할 때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대체감미료 등을 구매할 수 있도록 당류저감화에 대한 실행이 더 적극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99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 당류저감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지만 실질적으로 행동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당류저감화 인식을 더 높이고 실제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집단을 대상으로 한 결과로 이전 연구들의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이 결과가 당저감화 인식과 당 함유 가공식품 이용실태에 대한 일반화를 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무엇보다 당 섭취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당 섭취를 감소시키며 일상생활 속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당 섭취 저감화에 대한 인식과 교육을 개선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은 대응이 필요함을 알 수있다. 무엇보다 식생활에 대해 적용가능한 교육을 통해 영양문제가 자신의 더 나은 삶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더 많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당저감화 인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당 저감화와 관련한 영양지식의 향상뿐만 아니라 당 섭취 행동의 직접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영양교육과 함께 실제 식생활에서도 체계적인실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식행동 및 건강행위에 대한 변화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을 통해 당 섭취 저감화로 우리나라 국민의 전반적인 당 섭취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Ⅴ. 참고문헌
1) 오수보. \"외식업체 메뉴와 음료세트의 당저감화 전략.\" 국내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경기도
2) 차민정. \"서울지역 학교급식 중·고등학교 영양(교)사 대상 당류 저감화 실태 및 영양표시 이해도 조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서울
3) 이진주. \"외식소비자의 당류저감화 인식이 대체감미료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경기도
추천자료
- 국내 육 가공품의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 [유전자조작식품] 유전자조작식품(GMO)에 대한 논란 및 정책적 방안
- 국내 식품 영양 표시제도의 현황 및 고찰
- 4쌀의 2차 가공품
- 지역사회영양학A,노령인구와 저출산 사회문제화에 따른 질병양상변화, 식생활의 변화실태 및 ...
- 단체급식관리3A)우리나라 학교 급식의 현황과 식단의 특성을 조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시오. ...
- [가공식품] 가공식품의 개요, 청소년 가공식품 섭취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가공식품 섭취 문...
- (세계의정치와경제 공통) 평소 마트에서 구매하는 가공식품 중 하나를 골라 그 안에 포함되어...
- (식품위생학 공통) 1) 식품첨가물에 대한 나라별 정의를 조사하시오 2) 가공식품 한 종을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