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이론 ) 간호이론의 필요성에 대해 자신 견해 포함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이론 ) 간호이론의 필요성에 대해 자신 견해 포함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간호 이론의 발달 과정과 필요성
2.2 orem의 자가간호 이론과 사례 조사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em)
환자가 내적이나 외적으로 지시를 받을 경우 치료적 자가간호를 수행 가능한 경우나 수행하도록 학습을 받으면 외부의 조력하에 간호가 가능한 체제
(1) 간호사의 행위는 없음
(2) 환자 행위
자가간호 수행
자가간호 능력 활용 및 개발
또, Orem은 환자에게 요구되는 건강관리의 활동 수행 시 적절한 간호계획을 세우기 위한 1단계와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2단계를 제시하였으며, 수행 단계에 있어 자가간호가 가능하도록 조력하는 방법으로 지도(Guiding), 직접 수행(Acting or doing for), 지지(Supporting), 교육(Leaching), 발전적인 환경 제공(Providing a devlopmental environment)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장에서는 소아기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간질 환자에 대한 간호 사정 및 계획을 작성하고자 한다.
환자는 유아로, 가족력으로 경련성 질환이 있지만 부모에게는 없는 상태이다. 이 환자는 3세에 두 차례의 열성 경련이 있었으나 따로 치료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급성 편도선염이 생기며 수차례의 열성 경련을 겪게 되었고, 그 후 증상이 지속되었다.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한 아동의 경우, 부모로부터 점차 분리를 할 수 있어야 하며, 6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표현하거나 단추를 푸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환자의 개인성이나 사회성은 20개월 정도의 수준을 보였으며, 전체 운동 수행 능력은 10개월 정도의 발달을 보여 발육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잦은 경련 및 항경련제의 복용으로 인해 부적절한 행동이나 언어 사용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활 습관 및 수면 습관이 불규칙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규칙적인 식사를 하지 못하여 영양 불균형이 발생하였고, 운동 발달도 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간단한 단어나 문장 구사는 가능하였으나, 자율감의 형성이 어렵거나 사회성 발달이 결여되는 성향을 보였는데, 이는 질병에 대한 불안감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는 아동에게 간호 요구에 반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계획해야 한다.
간호 진단 및 사정
간호 계획 및 목표
자가간호 결손
경력 발작 중 기도 분비물에 의한 부적절한 호흡 양상
경련하는 동안 피부색의 변화 및 머리를 옆으로 돌리는 등 간호를 수행하고, 적절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한다.
경련으로 인해 과잉 에너지 소모 및 영양 부족
적절한 영양 상태와 수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량씩 균형 잡힌 음식을 제공하도록 한다.
경력에 관련된 신체 손상
신체 외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조증상이 발생할 경우 간호사를 부를 수 있게 보호자를 교육하거나, 안전 예방책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
대처기전 장애
질병에 대한 인식 부족 및 재발 우려에 의한 불안감
불안 정도나 특수 상황에 대해 환자가 설명할 수 있도록 하고, 격려와 함께 대처 능력에 대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3. 결론
간호학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간호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환자에게 적용함으로써 사례 정리 등을 하는 것이다.
우리는 본 보고서를 통해 orem의 자가 간호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적용하기 위한 만성 질환자(간질)의 간호 사정 및 계획을 수행하였다. 본 환자는 완전히 스스로 자가 간호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일부 간호 역할과 함께 격려를 진행해야 하였으며, 스스로 상황에 대해 대처하고 목표를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
자가간호 이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를 명확히 파악하고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만일 환자가 자가간호가 불가능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환자 파악을 제대로 하지 않아 자가간호를 수행하게 될 경우 오히려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 수 있고, 개선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작성된 이론과 사례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좋은 사례 보고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간호이론강의안
윤혜봉 등, (1992). Orem의 자가간호 모형을 적용한 간질환아의 임상사례연구, 대한간호학회, 31, pp.45~56.,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199251922825314&dbt=NART
김순영, (2008). 사례관리 프로그램이 당뇨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및 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1485356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2.22
  • 저작시기2023.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7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