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세분화를 통한 타켓고객의 선정을 통한 성공사례 및 전략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장 세분화를 통한 타켓고객의 선정을 통한 성공사례 및 전략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시장세분화의 정의와 목적
2. 시장세분화 변수의 종류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내 제조업체)
STP전략으로는,
Segment
생활필수품에서 취미용품까지 남녀노소의 구분 없이 소비자를 아우를 수 있다. 소득수준에 상관없이 모두 사용하는 제품이 주를 이루므로 소득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다이소 매장은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이던 낮은 지역이던간에 큰 호응을 받는다. 단순히 저가라기보다 최근 유튜버나 블로거 뿐만 아니라 개인의 SNS를 통해 소위 ‘가성비’의 단어에 가장 잘 어울리는 제품을 살 수 있는 곳이 바로 다이소가 되었다.
Target
주로 생활용품의 구입을 담당하는 주부들과 뷰티 및 관련 미용 소모품을 필요로하는 20~30대 여성들이 약 70%를 차지한다. 저렴한 가격의 접근성에서 볼 때 서브 타겟으로 학생들과 장년층을 들 수 있다.
Positioning
우리나라 1,000냥 마트의 시대로 시작한 균일가 매장의 시장은 2021년 현재 다이소가 압도적인 1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노점상이나 인터넷에서 파는 초저가의 믿을 수 없는 물건들보다는 품질이 훨씬 기대치가 높고, 가격이 5,000원 이하의 균일가 정책으로 매우 쉬운 구매 결정을 유도하며, 온라인과 가격차이가 거의 나지 않음으로 하여 소량의 제품 구입 시 온라인 무료배송이 아닐경우 다이소를 이용하는 것이 정답이다. 또한 대형할점에 입점하여 대형할인점의 메이커와 같은 선상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Ⅲ. 결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이소라는 기업은 철저한 시장조사를 바탕으로 1990년 중반부터 우리나라에서 고군분투하며 2010년 이후부터는 1위의 자리를 차지하여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는 단순히 균일가 천냥마트에서 벗어나 믿을 수 있는 품질의 제품을 싸고 쉽게 살 수 있는 브랜드로 성장을 하였고 제품의 하자가 있거나 단순 변심일 경우에도 제품 훼손만 하지 않고 영수증만 소지하고 있으면 언제든지 몇 번이고 교환, 반품이 가능하다. 머물지 않고 우리나라 소비자의 정서에 맞게 전략을 수립하고 시대의 발에 맞춰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020년 11월 매장기반 온라인 쇼핑몰인 다이소(샵다이소)를 론칭하였고 다이소몰과는 달리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고 있어 멤버십 포인트도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하다. 매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상품을 온라인으로 주문하면 매장에서 바로 픽업하거나 지정장소로 배송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계속 개발 중이며, 특히 코로나 시대에는 무인 계산대를 선보여 비대면을 선호하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계산하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줄어들어 매장방문을 망설이는 심리가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이렇듯 기업은 마케팅 전략에 있어 집중과 선택을 잘 해야하고 경영자의 마케팅 철학은 소비자의 심리와 시대상황에 맞게 같이 살아 움직여야 성공할 수 있는 기업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Ⅳ. 참조문헌
배움 사이버 평생교육원 마케팅관리론 강의 학습자료
관련 뉴스 조선비즈 김은영 기자(2021. 4. 22)
참고 NEW경제용어사전(2006) 저자 : 미래와경영연구소, 시장세분화의 정의
한국경제 - 경제용어사전, 매일경제 - 경제용어사전, 두산백과
-Fin.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3.02.24
  • 저작시기202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8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