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사회적·역사적 배경
2)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 관점에 따른 정책의 예시
3)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 중 내가 지지하는 입장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사회적·역사적 배경
2)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 관점에 따른 정책의 예시
3)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 중 내가 지지하는 입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렇게 해야한다. 이렇다 보니 내가 생각했을 때 복지는 선택과 집중이 없다고 생각이 든다. 어떠한 사람은 도와주어서 개개인적으로 그 사람이 달라지는 것을 목적을 하면 끝이 없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람이 살 수 있는 만큼의 지원을 주어서 그 사람이 본인 스스로 그 생활이 힘들면 달라질 수 있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이 든다. 어떠한 사람은 보편적 복지가 취약계층의 삶을 달라지지 않게 만든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다르게 생각한다. 가난은 익숙해지기 때문에 가난이 싫다면 취약계층이 스스로 달라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개별적으로 사례관리하여 끊임없이 그 사람을 위해 복지를 실천하는 큰 사회론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에서 나와는 다르다고 생각한다. 가난에서 달라지지 위해서는 조건이 평등해야 한다. 가령 초등학교를 나온 사람과 가난해서 초등학교의 기회가 없었던 학생과는 매우 다를 것이다. 조건을 평등하게 하고 국가에서 그 사람이 빈곤의 환경을 사람이 생활 할 수 있을 정도로 하면 그 생활이 싫은 사람은 노력할 것이고 아닌 사람은 그것에 익숙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강한 사회론이 맞다고 생각이 들었다.
3. 결론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는 큰 사회론과 강한 사회론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잔여주의란 복지국가의 급여가 생계 유지할 정도로 지급되는 탈상품화 수준이 낮고 여러 계층으로 구분되는 계층화의 수준이 높고 사회 위험에 대한 책임에 대해 사회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잔여주의 안에는 큰 사회론(big society)이 포함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보편주의는 잔여주의와는 반대로 탈상품화 수준이 높으나 계층화 수준이 낮아 사회 전반적으로 튼튼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보편주의 사회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은 베버리지보고서에서 나온 결핍, 무지, 불결, 질병, 무위와 같은 5대 악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사회를 강한 사회론(strong society)이라고 한다. 이러한 큰 사회론과 강한 사회론의 역사를 보면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자선조직협회는 필요한 개인에게 자선을 배푸는 큰 사회론의 역사라고 볼 수 있으며 인보관 운동은 환경을 바꾸기 위해 보편적인 복지를 실천하기 위해 시도했던 강한 사회론 역사라고 볼 수 있다. 큰 사회론과 강한 사회론에 대한 관점에 따라 마을만들기 정책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을만들기의 정책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직접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마을 만들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조직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마을 만들기는 소외계층의 노동시간 등의 이유로 여유가 있는 주민들을 위주로 활동이 돌아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큰 사회론에서는 주민들이 좀 더 나서서 소외계층을 도와주어야 한다고 보고 강한 사회론에서는 소외계층의 노동시간 및 생계비가 문제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 해결해주어야 한다고 본다. 나는 이렇게 강한 사회론과 큰 사회론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강한 사회론에 대해서 지지하게 되었고 조건을 평등하게 하고 국가에서 그 사람이 빈곤의 환경을 사람이 생활 할 수 있을 정도로 하면 그 생활이 싫은 사람은 노력할 것이고 아닌 사람은 그것에 익숙해질 것이라고 생각해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강한 사회론이 옳다는 주장을 하였다.
4. 참고문헌
프레이리의 시민교육과 사회복지실천: 지역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유범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18
http://dl.nanet.go.kr/law/SearchDetailView.do?cn=KINX2018145021#none
3. 결론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는 큰 사회론과 강한 사회론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잔여주의란 복지국가의 급여가 생계 유지할 정도로 지급되는 탈상품화 수준이 낮고 여러 계층으로 구분되는 계층화의 수준이 높고 사회 위험에 대한 책임에 대해 사회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잔여주의 안에는 큰 사회론(big society)이 포함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보편주의는 잔여주의와는 반대로 탈상품화 수준이 높으나 계층화 수준이 낮아 사회 전반적으로 튼튼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보편주의 사회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람들은 베버리지보고서에서 나온 결핍, 무지, 불결, 질병, 무위와 같은 5대 악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사회를 강한 사회론(strong society)이라고 한다. 이러한 큰 사회론과 강한 사회론의 역사를 보면 자선조직협회와 인보관 운동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자선조직협회는 필요한 개인에게 자선을 배푸는 큰 사회론의 역사라고 볼 수 있으며 인보관 운동은 환경을 바꾸기 위해 보편적인 복지를 실천하기 위해 시도했던 강한 사회론 역사라고 볼 수 있다. 큰 사회론과 강한 사회론에 대한 관점에 따라 마을만들기 정책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을만들기의 정책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직접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마을 만들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조직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마을 만들기는 소외계층의 노동시간 등의 이유로 여유가 있는 주민들을 위주로 활동이 돌아가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큰 사회론에서는 주민들이 좀 더 나서서 소외계층을 도와주어야 한다고 보고 강한 사회론에서는 소외계층의 노동시간 및 생계비가 문제이기 때문에 해당 부분 해결해주어야 한다고 본다. 나는 이렇게 강한 사회론과 큰 사회론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강한 사회론에 대해서 지지하게 되었고 조건을 평등하게 하고 국가에서 그 사람이 빈곤의 환경을 사람이 생활 할 수 있을 정도로 하면 그 생활이 싫은 사람은 노력할 것이고 아닌 사람은 그것에 익숙해질 것이라고 생각해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강한 사회론이 옳다는 주장을 하였다.
4. 참고문헌
프레이리의 시민교육과 사회복지실천: 지역주민조직화를 중심으로, 유범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18
http://dl.nanet.go.kr/law/SearchDetailView.do?cn=KINX2018145021#none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1)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사회적·역사적 배경을 설...
지역사회복지론 2022년]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 개념과 사회적 역사적 배경 지역사회...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지역사회복지론 중간과제물)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지역사회복지론(공통) -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사회...
복지론 ) 1)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사회적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2) 두 ...
지역사회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사회적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두 관점에...
지역사회복지 1 Big Society와 Strong Society의 개념과 사회적·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2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