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서 행동장애란
2. 정서행동 장애가 정의에 있어서의 어려움
3. 장애로 간주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여부에 대한 입장과 이유 - 찬성
4.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정서 행동장애란
2. 정서행동 장애가 정의에 있어서의 어려움
3. 장애로 간주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여부에 대한 입장과 이유 - 찬성
4.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문 분야간의 협력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데 특수교사 뿐 아니라 정신과 의사, 심리전문가, 행동치료사, 법률가 등 다양한 영역의 접근을 필요로 한다. 또 정서행동장애 학생들을 위한 지원과정에서 지원의 내용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는 가족과 교사, 교사와 교사간의 협력이다. 학생이 가진 다양한 요구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이해와 공유된 목표의식, 원활한 의사소통 등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전문가간, 전문가-전문가간 협력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정서행동문제로 인해 자신과 타인의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적절한 사회적 관계를 시작하고 유지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이들에게 적절한 지원이 제공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최근 동향은 정서행동장애 학생에 대해 전인적인 지원을 강조하는데, 이에 따라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평가의 폭도 확장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바람직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에게 제공된 서비스 뿐 아니라 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받는 가족이나 전문가를 위한 지원, 환경변화나 체제 개선의 노력 등을 전반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정서행동 장애가 정의에 있어서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애로 간주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그 이유를 논해 보았다. 지금까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어 온 평정척도들은 대부분 부모 또는 교사의 관찰에 의해 평정되는데 이는 교사나 부모들로 하여금 드러나지 않은 정서상의 문제를 겪고 있는 아동을 간과할 가능성을 불러일으킨다. 즉, 내재화된 문제를 겪고 있는 학생들은 잠재되어 있는 문제를 두드러지게 드러내 보이지 않는 이상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아동에 비해 정서행동문제 평정에 있어 적절하지 않은 평가를 받고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대다수는 부모나 교사 등 주변의 성인들에 의하여 정신건강 전문기관에 의뢰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적응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부모 및 교사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정서행동장애 평정에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정서행동장애로 평정되지 않은 학생들의 지원에 관한 것이다. 정서행동장애를 가진 중복장애 학생이나 인지능력에 문제가 없어 일반학교에 포함된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포함한다면 더 많은 학생들이 발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들에 대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손실을 막대하다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박명애, 이효신 (역). (2005). 정서 및 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김영철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지도실태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진 (2010).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사회성과 부모 양육태도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서학위논문.
김 철 (2008). 정서 행동장애의 개념과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정서행동 장애가 정의에 있어서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장애로 간주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그 이유를 논해 보았다. 지금까지 아동의 정서행동문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어 온 평정척도들은 대부분 부모 또는 교사의 관찰에 의해 평정되는데 이는 교사나 부모들로 하여금 드러나지 않은 정서상의 문제를 겪고 있는 아동을 간과할 가능성을 불러일으킨다. 즉, 내재화된 문제를 겪고 있는 학생들은 잠재되어 있는 문제를 두드러지게 드러내 보이지 않는 이상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아동에 비해 정서행동문제 평정에 있어 적절하지 않은 평가를 받고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서행동장애 학생의 대다수는 부모나 교사 등 주변의 성인들에 의하여 정신건강 전문기관에 의뢰된다는 점에서 이들의 적응문제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부모 및 교사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정서행동장애 평정에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정서행동장애로 평정되지 않은 학생들의 지원에 관한 것이다. 정서행동장애를 가진 중복장애 학생이나 인지능력에 문제가 없어 일반학교에 포함된 정서행동장애 학생을 포함한다면 더 많은 학생들이 발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들에 대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손실을 막대하다 할 수 있다.
Ⅳ. 참고문헌
박명애, 이효신 (역). (2005). 정서 및 행동장애; 이론과 실제. 시그마프레스.
김영철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지도실태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유진 (2010).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사회성과 부모 양육태도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서학위논문.
김 철 (2008). 정서 행동장애의 개념과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