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비틀기 요소로서의 연령 제한
(2) 중년 여성이 솔직하게 그리는 자신의 삶
(3) 예능 프로그램이 전한 사회적 메시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비틀기 요소로서의 연령 제한
(2) 중년 여성이 솔직하게 그리는 자신의 삶
(3) 예능 프로그램이 전한 사회적 메시지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션 포맷이 나아갈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 변하지 않는 규칙과도 같이 굳어진 형식에서 한 가지 조건의 변화가 완전히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냈음은 개인적으로 놀라운 지점이다. 참여자에 대한 조건 제한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참여자 풀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중년 여성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풀어냈다. 그로써 예능 프로그램이면서도 사회에 어떤 메시지까지 전하고 사회적 문제를 국가 전체에 이슈화시키는 데까지 성공해냈다.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어떤 것에 주목하고, 어떤 공감대를 형성하며, 사회적으로는 어떤 메시지를 줄 수 있을지를 생각하게 한다. 앞으로의 예능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을 생각해 본다.
중국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는 컨텐츠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음도 인상적인 지점이다. 한국 콘텐츠 진흥원의 중국 콘텐츠 산업 동향(2021년 6호) 자료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는 방역, 빈곤 퇴치, 직장, 여성, 가족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는 \'현실주의 드라마 창작 장려\' 정책에 힘입어 현실주의 드라마 송출 편수가 전체 드라마의 78%를 차지했다고 한다. \"중국, 국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중 예술로 문화 강국을 꿈꾼다?\", 프레시안, 2022.03.04,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2030311131047975(접속일: 2022.10.24)
\'승풍파랑의 언니들\' 또한 이러한 경향과 맥락을 같이하는 일상성과 동시대성이 강조된 소재 선정이었다고 판단된다.
물론 중국에서의 여성 문제에 대한 인식은 아직 갈 길이 멀다. 마오쩌둥이 \"세상의 절반은 여성이 떠받치고 있다\"라고 발언한 것이 벌써 반세기 전이다. 중국은 사회주의 체제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앞서서 성별 평등을 내세웠지만, 시기가 앞섰던 만큼 진전되지는 못했다. 전 세계를 휩쓴 \'미투(Me Too) 운동\' 또한 중국에서는 그 열풍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던 바 있다.
제작사인 망고TV는 \'승풍파랑의 언니\'의 인기에 힘입어 이의 후속편을 제작할 계획을 알렸고, 남성 버전을 제작할 예정 \"중국은 지금] 기존의 판도를 뒤집는 \'승풍파랑\' 여성들... 중국 왕언니 예능쇼 인기몰이\", 하정미, 인민망한국어판, 2020.07.20, http://kr.people.com.cn/n3/2020/0720/c414430-9712397.html(접속일: 2022.10.24)
임도 알려왔다. 이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중국의 \"표절 시대는 끝났다\"라는 선언이 시작되었음에 기대가 된다. 이러한 신선한 재미가 있고, 출연자의 삶을 충실하고 진솔하게 그리며, 어떤 사회 이슈를 환기하기도 하는 예능 프로그램을 한국에서도 볼 수 있길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중국은 지금] 기존의 판도를 뒤집는 \'승풍파랑\' 여성들... 중국 왕언니 예능쇼 인기몰이>, 하정미, 인민망한국어판, 2020
http://kr.people.com.cn/n3/2020/0720/c414430-9712397.html
2. <\'승풍파랑적저저\'로 보는 중국 예능 프로의 세계화>, 인민망한국어판, 2020
http://kr.people.com.cn/n3/2020/0812/c203282-9720885.html
3. <중국, 국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중 예술로 문화 강국을 꿈꾼다?>, 프레시안, 2022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2030311131047975
4. <대륙의 \'승풍파랑 언니\' 돌풍>, 박은경, 경향신문, 2020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006301405001#c2b
중국에서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는 컨텐츠가 만들어지기 시작했음도 인상적인 지점이다. 한국 콘텐츠 진흥원의 중국 콘텐츠 산업 동향(2021년 6호) 자료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는 방역, 빈곤 퇴치, 직장, 여성, 가족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는 \'현실주의 드라마 창작 장려\' 정책에 힘입어 현실주의 드라마 송출 편수가 전체 드라마의 78%를 차지했다고 한다. \"중국, 국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중 예술로 문화 강국을 꿈꾼다?\", 프레시안, 2022.03.04,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2030311131047975(접속일: 2022.10.24)
\'승풍파랑의 언니들\' 또한 이러한 경향과 맥락을 같이하는 일상성과 동시대성이 강조된 소재 선정이었다고 판단된다.
물론 중국에서의 여성 문제에 대한 인식은 아직 갈 길이 멀다. 마오쩌둥이 \"세상의 절반은 여성이 떠받치고 있다\"라고 발언한 것이 벌써 반세기 전이다. 중국은 사회주의 체제에서 다른 아시아 국가보다 앞서서 성별 평등을 내세웠지만, 시기가 앞섰던 만큼 진전되지는 못했다. 전 세계를 휩쓴 \'미투(Me Too) 운동\' 또한 중국에서는 그 열풍이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던 바 있다.
제작사인 망고TV는 \'승풍파랑의 언니\'의 인기에 힘입어 이의 후속편을 제작할 계획을 알렸고, 남성 버전을 제작할 예정 \"중국은 지금] 기존의 판도를 뒤집는 \'승풍파랑\' 여성들... 중국 왕언니 예능쇼 인기몰이\", 하정미, 인민망한국어판, 2020.07.20, http://kr.people.com.cn/n3/2020/0720/c414430-9712397.html(접속일: 2022.10.24)
임도 알려왔다. 이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중국의 \"표절 시대는 끝났다\"라는 선언이 시작되었음에 기대가 된다. 이러한 신선한 재미가 있고, 출연자의 삶을 충실하고 진솔하게 그리며, 어떤 사회 이슈를 환기하기도 하는 예능 프로그램을 한국에서도 볼 수 있길 기대하며 글을 마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중국은 지금] 기존의 판도를 뒤집는 \'승풍파랑\' 여성들... 중국 왕언니 예능쇼 인기몰이>, 하정미, 인민망한국어판, 2020
http://kr.people.com.cn/n3/2020/0720/c414430-9712397.html
2. <\'승풍파랑적저저\'로 보는 중국 예능 프로의 세계화>, 인민망한국어판, 2020
http://kr.people.com.cn/n3/2020/0812/c203282-9720885.html
3. <중국, 국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대중 예술로 문화 강국을 꿈꾼다?>, 프레시안, 2022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2030311131047975
4. <대륙의 \'승풍파랑 언니\' 돌풍>, 박은경, 경향신문, 2020
https://m.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006301405001#c2b
추천자료
[경영전략]민들레영토의 경영이념.특징과 서비스 그리고 문제점 및 개선점
민들레 영토의 마케팅 전략 분석
UCC문화의 개념과 영향의 이론적 고찰
일본 대중 음악의 모든 것
슈퍼스타K 슈스케 방송분석및 경쟁사 프로그램분석,자사전략분석,마케팅4P전략분석
[교육공학] 2021년 기말결시자 추가과제물, 1. 고등학교 학생에게 교육공학을 설명하기 위한 ...
2022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장르영화와 독립영화, 자연언어와 영화언어)
2022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장르영화와 독립영화, 자연언어와 영화언어)
한국사의 흐름 ) 역사의 쟁점에 대한 조사, 불멸의 이순신 드라마 속 이순신과 원균 명장론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