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대한 잘못된 신념 공부는 어려운 것이 좋고 강제로 시켜야 한다 잘못된 이유 옳은 신념 이유 2 벌은 동기유발체로서 매우 가치가 있다 잘못된 이유 옳은 신념 이유 3 경쟁을 시키면 동기가 유발된다 잘못된 이유 옳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에 대한 잘못된 신념 공부는 어려운 것이 좋고 강제로 시켜야 한다 잘못된 이유 옳은 신념 이유 2 벌은 동기유발체로서 매우 가치가 있다 잘못된 이유 옳은 신념 이유 3 경쟁을 시키면 동기가 유발된다 잘못된 이유 옳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공부는 어려운 것이 좋고 강제로 시켜야 한다. - 잘못된 이유, 옳은 신념, 이유
2. 벌은 동기유발체로서 매우 가치가 있다. - 잘못된 이유, 옳은 신념, 이유
3. 경쟁을 시키면 동기가 유발된다. - 잘못된 이유, 옳은 신념, 이유

본문내용

을 방출해서 근육이 과도한 운동량을 참을 수 있도록 돕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만약 어린아이가 운동장에서 체력적 한계에 부딪침에도 경쟁심을 통해 이를 뛰어넘을 수 있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운동을 싫어하는 비만 아이가 경쟁심을 느끼게 된다면 운동과 살을 빼는 행위인 동기 유발을 경쟁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 자주 사용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선의의 경쟁’이다. 선의의 경쟁은 여러 사람이 하나의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쟁하고 노력하는 이 과정을 긍정적으로 보는 것이다.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더라도 혼자 그 과정을 겪는 것보다 여럿이서 경쟁하며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할 때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경쟁 상황임에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서로를 견제하는 과정을 통해 동기가 유발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흔히 겪는 일이며 쉽게 반박할 수 없는 논리이기도 하다. 한정된 재화를 얻기 위해 우리는 매번 경쟁의 순간에 놓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경쟁이 없었다면 나는 해내지 못했을 거야 등의 평가를 통해 경쟁이 동기 유발에 필수적이었음을 드러낸다. 그럼에도 과연 경쟁을 시키면 동기가 유발될까? 경쟁이 동기 유발에 좋은 요소라는 신념이 잘못된 점은 없을까? 아래의 내용을 통해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경쟁은 개인의 과도한 불안감을 조장한다는 것이다. 대부분 경쟁이 발생하는 상황이 어느 때인가 살펴보면 어떠한 결과물을 이뤄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경쟁에 주목하다 보면 개인은 어느샌가 결과물까지 달려가는 개인의 노력과 그 시간, 과정에 주목하고 그를 통해 얻은 것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해당 결과물을 얻었는지 아닌지에만 주목하게 된다. 따라서 만약 경쟁을 통해 자신이 원하던 결과물을 얻지 못했다면, 개인은 경쟁이 없을 상황보다 더 큰 좌절감과 실망감을 맛보게 된다. 그리고 역시 개인에게 과정을 통해 자신이 얻은 것에 되돌아볼 여유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경쟁은 최종적으로 동기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개인의 실패와 좌절에 더 큰 영향을 준다. 나아가 실패한 개인이 연속해서 좌절감을 느끼게 되면 경쟁은 결국 개인의 삶을 불행의 굴레로 이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경쟁에서 진 개인만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경쟁을 통해 목표 달성에 성공한 개인조차 그 과정에서 본인이 쌓을 수 있었던 능력치에 주목하는 것이 아닌, 성공과 앞으로도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는 압박감에 놓이게 된다. 종합하면 경쟁은 패자에게도 승자에게도 바람직한 동기 유발을 해내지 못한다. 그저 결과에만 집중하게 만들게 된다.
나아가 우리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경쟁이 정말로 완벽한 동기 유발체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경쟁이 동등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쟁을 들여다보면, 개개인에게 부여된 전제 조건이 매우 다르다. 균등한 조건에서 시행되는 경쟁이 아닌 이상, 이를 경쟁이라고 명명할 수 없다. 경쟁은 동등한 입장에서 같은 조건으로 같은 목표를 이뤄내기 위해 두 명 또는 그 이상의 개인이 노력하고 달려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불평등이 내재한 우리 사회에서 이러한 의미의 경쟁은 이루어지기 쉽지 않다. 결론적으로 이는 동기 유발 대신 개인이 사회에 느끼는 무력감과 좌절감만 증진시키는 수단임을 알 수 있다.
경쟁을 시키면 동기가 유발되지 않은 사례 역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입시 과열의 근본에는 경쟁이 있다. 상대평가 제도의 도입으로 남과 자신의 성적을 비교하게 되고 남을 이기기 위해 과도한 경쟁 상태에 휘말리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개인의 학업 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경쟁 상대보다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서 발버둥 치는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경쟁 끝에 이긴 승자는 앞으로도 자신의 성적을 유지해야 한다는 불안감에 휩싸이게 되며 패자는 우울감에 시달리게 된다. ‘동기 유발’이라는 단어 자체는 앞서 언급했듯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다만 경쟁은 이러한 동기 유발과 개인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 매우 치명적인 결함을 안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쟁에 참여하는 개인들은 매 순간 극도의 긴장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개인은 경쟁 상태가 아닐 때보다 더 높은 피로도를 호소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경쟁이 지속된다면 번아웃 상태에 시달릴 수 있다. 이렇게 된다면 경쟁은 아주 효율적이지 못한 동기유발체가 된다. 그렇다면 동기 유발을 위해 경쟁이 필요하다는 옳지 못한 신념을 대신할 논리에는 무엇이 있을까?
바로 협력이 그 자리에 들어갈 수 있다. 물론 개인들이 뒤섞여 사는 사회에서 협력이 동기 유발에 효과적이라는 주장은 그저 낙관적이고 이상적인 면만 담고 있다고 비판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역사의 순간에서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한 개인의 모습을 쉽게 찾을 수 있다. 경쟁이 인간에게 있어 필연적으로 일어날 현상이라고 한다면, 협력 역시 그렇다. 나아가 협력은 개인에게 스트레스와 좌절감을 불러일으키는 대신, 집단에 대한 연대감과 소속감, 그리고 같은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는 유대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협력은 경쟁보다 더 나은 동기유발체임을 알 수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법령,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B5%EA%B5%90%EC%9C%A1%EC%A0%95%EC%83%81%ED%99%94%EC%B4%89%EC%A7%84%EB%B0%8F%EC%84%A0%ED%96%89%EA%B5%90%EC%9C%A1%EA%B7%9C%EC%A0%9C%EC%97%90%EA%B4%80%ED%95%9C%ED%8A%B9%EB%B3%84%EB%B2%95
고차원 동기 유발에 ‘당근’과 ‘채찍’은 무용지물, 차완용, 2016.04.19, 한국경제
경쟁 통해 흥미 유발 세로토닌 분비 팍팍, 전동혁, 동아사이언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96940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3.02.27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8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