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심리의이해 굿윌헌팅(영화) 시청 후 방어기제, 행동 설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심리의이해 굿윌헌팅(영화) 시청 후 방어기제, 행동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화를 본 후 느낀 점은 무엇입니까?
2. 어느 장면이 감동적입니까?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3. 영화 속 윌의 성격적 특성이 무엇인지 기술하시오.
4. 윌이 숀을 만나기까지 보였던 행동들, 여자 친구와의 관계에서 보여줬던 행동들 등 현재 윌이 나타내고 있는 문제의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5. 윌의 이와 같은 성격형성을 하게 된 원인을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론과 반듀라의 사회학습(관찰학습)이론에 근거하여 설명하시오.
6. 다음의 자아방어기제에 대해 설명하고, 윌이 주로 사용한 방어기제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7. 윌이 숀교수를 만나면서 치유의 과정이 일어나는데, 숀교수가 윌의 성격적인 문제를 포기하지 않고 치유의 과정으로 이끌 수 있었던 것은 숀교수의 어떤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되는가?
8. 인본주의적인 성격론에 비춰볼 때, 윌이 자신의 성격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기 위해서 자신이 해야 할 노력과 환경적인 도움(윌 주변의 중요한 사람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기술하시오.

본문내용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 끝에 가서는 본인 역시 윌과 같은 가정폭력의 피해자임을 밝히기까지 했습니다. 윌을 다른 상담사들처럼 문제가 있어서 교정해야 하는 갱생의 대상으로 대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이야기를 나누는 1인으로 대해준 것입니다. 어떠한 가식적 태도 없이 진실로만 대하는 교수의 모습에 윌은 마음을 열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긍정적으로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윌과의 상담을 할 때는 그의 행동에 대해 비난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러한 행동을 했는지, 면접에서 왜 그런 태도를 보였는지, 스카일라와의 관계에서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등 윌의 의견을 먼저 존중했습니다. 그랬기에 윌 역시 다른 이들에게 하지 않았던 본인의 이야기를 하는데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직업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모든 직업이 고귀함에는 긍정하지만, 윌이 왜 대학의 청소부를 고집했는지에 대해 정확히 물어보며 하고 싶은 것을 묻습니다.
마지막으로 공감적 이해를 했습니다. 윌의 과거에 대해 공감하고, 윌이 보이는 공격성에 대해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며 좀 더 깊게 공감해주었습니다. 공감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한 대화를 통해 윌을 깊이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엔 어쩌면 본인이 어린 시절 듣고 싶었을 말인 ‘네 잘못이 아니야’라는 말까지 윌에게 이야기 해주며 그를 깊게 이해했습니다.
윌이 숀 교수에게 마음을 열고 치유될 수 있었던 건 이렇듯 숀 교수가 윌을 상담하고 갱생시켜야 하는 문제아로 대한 것이 아니라, 존중해야 하는 평범한 1인으로 대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윌을 존중받는 한 사람으로 대했기에 윌 역시 결국은 숀 교수를 비롯한 타인을 존중받는 1인으로 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8. 인본주의적인 성격론에 비춰볼 때, 윌이 자신의 성격적인 문제를 극복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기 위해서 자신이 해야 할 노력과 환경적인 도움(윌 주변의 중요한 사람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기술하시오.
윌은 숀 교수를 통해 일련의 모든 일들이 본인의 잘못이 아님을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깨달았으니, 자신을 제대로 마주해야 합니다. 천재성이 있는 자신의 잠재력에 대해 제대로 마주하고, 그것들을 통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영화의 끝은 스카일라를 만나러 가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나지만, 스카일라를 만난 후에도 그녀에게 느끼는 사랑은 변함없겠지만 그녀가 캘리포니아 의대에 재학하고 있다는 사실 역시 변함은 없고, 윌이 직업이 없다는 것 역시 변함없습니다. 윌은 스카일라를 따라가는 것으로 본인이 할 일을 이야기하지만, 결국 무엇을 하고 싶냐는 말에는 아직 정확한 대답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윌은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아 진정한 자아실현을 이루어야 합니다.
스카일라는 매슬로우의 5가지 욕구 중 사랑의 욕구와 존중의 욕구를 채워줄 수 있는 존재입니다. 자아실현을 위해서는 하위단계가 만족되어야 하는데, 그 하위단계중 사랑의 욕구는 가족이 없는 윌에게 있어 스카일라만이 채워줄 수 있는 것입니다. 이 사랑의 욕구를 채워주고, 다음으로는 존중의 욕구를 채워줘야 합니다. 윌의 행동을 존중해주고, 인정해주며 그의 자아존중감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 줄 때, 윌은 비로소 자아실현을 향한 한 발을 내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램보 교수는 윌의 행동에 대해 꾸짖기에 앞서 그의 행동에 대한 긍정적 수용을 먼저 해야 합니다. 윌이 보이는 행동에 대해서 그가 왜 면접자리에 가지 않는지, 그가 왜 면접을 거부하는지를 그의 행동에 대한 수용을 통해서만이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긍정적 수용을 한 후 진실한 태도로 윌에게 접근한다면 윌이 본인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처키는 지금처럼 소속감의 욕구를 꾸준히 채워주는 것으로 도와주면 됩니다. 처키는 윌에게 있어 가족 이상의 존재입니다. 처키의 곁을 떠나는 것이 싫어 스카일라와의 헤어짐을 택할 정도로 그를 의존합니다. 하지만 처키는 그런 윌의 등을 밀어주었고, 그를 위함임을 확실히 말해주면서 그가 처키의 친구라는 그룹에 속해있음을 확실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런 처키가 지금처럼 윌과의 친구관계를 꾸준히 지속해나가는 것만으로도 윌은 본인의 자아개념을 계속해서 긍정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숀 교수는 윌이 실제 자아와 이상적 자아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지금처럼 꾸준히 그와의 상담을 지속해서 그가 진정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2.27
  • 저작시기201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8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