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목차
Step 1. 정책평가 결과활용의 개념 및 중요성
Step 2.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Step 3.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 요인
Step 4. 정책평가 결과 활용에서 IT의 역할
Step 5. 정책평가 결과 활용에서 IT 영향 요인
Step 6. IT를 이용한 정책평가 결과 활용 방안
Step 2.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유형
Step 3. 정책평가 결과 활용의 영향 요인
Step 4. 정책평가 결과 활용에서 IT의 역할
Step 5. 정책평가 결과 활용에서 IT 영향 요인
Step 6. IT를 이용한 정책평가 결과 활용 방안
본문내용
정부 부문에서 정책평가 활용 (Utilization of evaluation results)은 평가활용의 일환으로서 평가 대상이 조직이든 정책이든 평가가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과를 정부 부처에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긍정론
평가 대상에 대한 환류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부 업무 수행자로 하여금 평가 대상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정부 업무 수행에 반드시 필요하다 보는 입장
부정론
평가 결과가 정부 업무 수행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해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 (평가 결과를 통해 획득된 정보와 그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별개)
①Rich의 견해
수단적 활용(instrumental use)
정책결정자가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과정을 위한 지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행동을 위한 지식(knowledge for action)을 의미한다.
개념적 활용(con-ceptual use)
정책결정자가 지식을 문제에 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면서 구체적인 활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를 위한 지식(knowledge for understanding)을 의미한다.
긍정론
평가 대상에 대한 환류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정부 업무 수행자로 하여금 평가 대상에 대한 후속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정부 업무 수행에 반드시 필요하다 보는 입장
부정론
평가 결과가 정부 업무 수행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해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 (평가 결과를 통해 획득된 정보와 그 정보를 활용하는 것은 별개)
①Rich의 견해
수단적 활용(instrumental use)
정책결정자가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과정을 위한 지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행동을 위한 지식(knowledge for action)을 의미한다.
개념적 활용(con-ceptual use)
정책결정자가 지식을 문제에 관한 생각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면서 구체적인 활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를 위한 지식(knowledge for understanding)을 의미한다.
추천자료
국내 주요 대학의 효율성 분석
[가상교육][가상교육 TQM][가상교육 지원체제][가상교육 활용 사례]가상교육의 개념, 가상교...
[실업정책][실업대책][실업문제]실업문제의 정의, 실업문제의 종류, 실업문제의 특징과 실업...
정부혁신 정부지식관리시스템(민간기업의 지식경영)
지식기반의 확충을 위한 과학기술 정책과제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개발론의 주요 내용과 방법
[과학기술정보][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학기술정보의 특징, 과학기술정보의 분류, 과학기...
//건강증진론2017// 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의 중점과제인 영양의 건강체중 유지 및 생애주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