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강에서 6강까지 강의를 들은 후, 인상 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두 개 선택하여 아래의 내용에 답하시오.
1) 그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시오.
2) 어떤 점에서 인상 깊었고, 이것을 통해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
- 문제 2
영화 <기생충>을 보고,
1) <기생충>에 나타난 불평등한 사회를 정의의 관점에서 논하시오.
2) 2022년 8월 폭우로 인해 반지하에 살고 있는 일가족이 참변을 당한 사건에 대해 한국사회의 정의를 논하시오.
- 유튜브 리뷰를 통해 줄거리 파악 후 작성
1) 그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시오.
2) 어떤 점에서 인상 깊었고, 이것을 통해 어떤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
- 문제 2
영화 <기생충>을 보고,
1) <기생충>에 나타난 불평등한 사회를 정의의 관점에서 논하시오.
2) 2022년 8월 폭우로 인해 반지하에 살고 있는 일가족이 참변을 당한 사건에 대해 한국사회의 정의를 논하시오.
- 유튜브 리뷰를 통해 줄거리 파악 후 작성
본문내용
스 노동자이면서 노동조합 간부인 사람과 발달장애인인 그의 언니, 또 10대 딸이었다. 같은 날 동작구 상도동의 반지하 주택에서도 50대 여성 거주자가 사망을 했다. 사회적 불평등이 비극적인 재난 참사를 불러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직 “기후위기는 별것 아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점점 많은 사람이 우리가 적어도 기후와 연관해서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기후 위기야 말로 ‘우리 공통의 운명’이라는 자각이 퍼지게 되는 것이다. 그 우리가 누구이든 정말 공통의 운명이라고 하면, 이 위기에 대처하는 것은 ‘공동의 노력’이어야 된다. 공동의 노력이 없이 운명이 된 재난-죽음이 아니고 삶을 새로운 ‘우리’의 공통으로 만들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난-죽음에 대처를 하려면 공동의 노력을 강조를 하는 것만큼 무엇이 지금 ‘공통’인지 이야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 공통된 것이랑 공통이 돼야 함에도 그러지 못한 것을 생각해야 된다. 공동의 노력만을 강조하는 것은 죽음이 아닌 삶을 위한 공통에서 배제된 사람들에게 고통 분담이라는 이름 아래에서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조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공통이 삭제가 된 공동에 대한 강조는 위험하다.
죽음이 공통적인 것인가? 물론 그렇다. 그렇지만 모두가 다 죽는다는 결과 속에서만 그렇다. 그러나 그 죽음의 결은 절대 공통적이라고 보기가 어렵다. 이번 폭우로 발달 장애인 가족이 참변을 당했다. 침수에 도움을 요청했으며 이웃도 도와주기 위하여 노력했지만 허사였다고 이야기 한다. 이전 경험 속에서 시민은 이 폭우로 장애인이 누구보다 위험에 처할 것을 알고 염려를 했지만 정부 당국만 외면하던 것의 참담한 결과이다.
이 죽음 앞에서 우리는 죽음이 운명으로서 인간 모두에게 공통의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이것은 ‘메멘토 모리’가 이야기하는 죽음이 아니라 참변이다. 그것도 이미 경고가 되었으며 어느 정도 대처할 수 있는 반지하에 사는 빈곤 가족이 당한 참변이다. 기후위기로 인한 폭우는 공통적이지만 참변은 결코 공통적이지 않다. 비는 하늘에서 내리지만 참변은 사회 아래에서부터 겪는다. 함부로 죽음을 이야기하지 말아야 된다.
- 출처 및 참고문헌
-『현실 \'기생충\'에 관한 어느 사회학자의 제언』, 이진욱, CBS노컷뉴스, 2020.02.12.
-『비는 하늘에서 내리지만 참변은 아래에서부터 겪는다』, 엄기호, 한겨레21, 2022.08.18.
아직 “기후위기는 별것 아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긴 하지만 점점 많은 사람이 우리가 적어도 기후와 연관해서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기후 위기야 말로 ‘우리 공통의 운명’이라는 자각이 퍼지게 되는 것이다. 그 우리가 누구이든 정말 공통의 운명이라고 하면, 이 위기에 대처하는 것은 ‘공동의 노력’이어야 된다. 공동의 노력이 없이 운명이 된 재난-죽음이 아니고 삶을 새로운 ‘우리’의 공통으로 만들 방법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난-죽음에 대처를 하려면 공동의 노력을 강조를 하는 것만큼 무엇이 지금 ‘공통’인지 이야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 공통된 것이랑 공통이 돼야 함에도 그러지 못한 것을 생각해야 된다. 공동의 노력만을 강조하는 것은 죽음이 아닌 삶을 위한 공통에서 배제된 사람들에게 고통 분담이라는 이름 아래에서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조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공통이 삭제가 된 공동에 대한 강조는 위험하다.
죽음이 공통적인 것인가? 물론 그렇다. 그렇지만 모두가 다 죽는다는 결과 속에서만 그렇다. 그러나 그 죽음의 결은 절대 공통적이라고 보기가 어렵다. 이번 폭우로 발달 장애인 가족이 참변을 당했다. 침수에 도움을 요청했으며 이웃도 도와주기 위하여 노력했지만 허사였다고 이야기 한다. 이전 경험 속에서 시민은 이 폭우로 장애인이 누구보다 위험에 처할 것을 알고 염려를 했지만 정부 당국만 외면하던 것의 참담한 결과이다.
이 죽음 앞에서 우리는 죽음이 운명으로서 인간 모두에게 공통의 것이라고 볼 수 없다. 이것은 ‘메멘토 모리’가 이야기하는 죽음이 아니라 참변이다. 그것도 이미 경고가 되었으며 어느 정도 대처할 수 있는 반지하에 사는 빈곤 가족이 당한 참변이다. 기후위기로 인한 폭우는 공통적이지만 참변은 결코 공통적이지 않다. 비는 하늘에서 내리지만 참변은 사회 아래에서부터 겪는다. 함부로 죽음을 이야기하지 말아야 된다.
- 출처 및 참고문헌
-『현실 \'기생충\'에 관한 어느 사회학자의 제언』, 이진욱, CBS노컷뉴스, 2020.02.12.
-『비는 하늘에서 내리지만 참변은 아래에서부터 겪는다』, 엄기호, 한겨레21, 2022.08.18.
추천자료
사회복지정의론 2022년] 1강에서 6강까지 강의를 들은 후, 인상 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두 개...
2022년 2학기 사회복지정의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기생충에 나타난 불평등한 사회)
(사회복지정의론 3학년) 1. 1강에서 6강까지 강의를 들은 후, 인상 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두...
사회복지정의론 2022] 1강에서 6강까지 강의를 들은 후, 인상 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두 개 ...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사회복지정의론(공통) - 1강에서 6강까지 강의를 들은 후, 인상 깊은 ...
사회복지정의론 ) 영화 기생충을 보고, 1) 기생충에 나타난 불평등한 사회를 정의의 관점에서...
사회복지정의 1강에서 6강까지 강의를 들은 후, 인상 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두 개 선택하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