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식물생리학 1 식물체의 수분퍼텐셜을 구성하는 삼투퍼텐셜과 압력퍼텐셜을 설명하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배식물생리학 1 식물체의 수분퍼텐셜을 구성하는 삼투퍼텐셜과 압력퍼텐셜을 설명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식물체의 수분퍼텐셜을 구성하는 삼투퍼텐셜과 압력퍼텐셜을 설명하라.
2. 뿌리에서 흡수된 무기양분의 물관부로의 이동경로를 설명하라
3. 광합성 촉진을 위한 광도와 이산화탄소의 관리 요령을 설명하라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있는 물질이 있다면 빛이 없는 상황에서 일어나는 반응이기에 암반응이라고 한다. 1단계 이산화탄소 고정반응, 2단계 PGA 환원, 3단계 RuBp 재생의 단계로 일어난다. 탄소 고정은 생명체에 의해 무기 탄소가 유기 화합물로 전환되는 과정이다. 대부분의 식물체는 햇빛 에너지를 통해 이산화탄소에 포함된 탄소를 유기화합물로 바꿀 수 있는 광합성이 가능하다. 광합성 반응 중 명반응에서 만들어진 산물인 ATP와 NADPH를 이용하여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유기 화합물인 탄수화물로 전환시키는 과정인 켈빈 회로가 탄소 고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광도, 이산화탄소, 온도 등의 외적요인이 있고 엽록소, 함수량, 동화물질 축적량 등의 내적요인이 있다. 광합성에서 광도와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광도가 광포화점에 이르기까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데 광포화점에 도달한 이후로는 일정한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유지된다. 광포화점은 작물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광합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광합성을 제한하는 광도를 초과하여 광포화점까지 광도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산화탄소의 농도 또한 광합성과 관련이 있는데 주변 CO2의 농도로부터 영향을 받아 CO2의 동화가 일어나는 기준점을 CO2 보상점이라고 한다. CO2 보상점에 도달한 이후로 CO2의 동화 수치는 가파르게 증가하다가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완만해지는데 C4 식물보다 C3 식물이 더 완만하게 CO2 동화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CO2의 보상점을 확인하고 CO2 동화 수치가 최대로 증가하는 수준까지의 CO2 농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필요한 것이 탄산시비로 이산화탄소시비라고도 한다. 원예작물 등의 시설재배에서 탄산가스를 시설 내에 투입, 작물의 수량과 질을 높이는 것으로 쉽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하우스에서 이용된다. 이산화탄소의 공급원으로는 프로판가스, 천연가스, 정유 등이 좋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분자·세포생물학백과,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http://www.ksmcb.or.kr/.
수목생리학, 이경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수목의학, 이경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식물학백과, 한국식물학회, http://www.kspb.kr/.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강병화, 한국학술정보, 2012.
토양사전, 류순호 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가격4,1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3.03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93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